[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보)]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국보|{{{#f39100 대한민국 국보 제4호}}}]]''' || ||<-2> {{{#fff {{{+1 '''여주 고달사지 승탑'''}}}[br]{{{-1 驪州 高達寺址 僧塔}}}}}}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1-1, 너비=100%, 높이=100%)]}}}|| || '''{{{#fff 위치}}}''' ||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1-1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 '''{{{#fff 수량/면적}}}''' || 1기 || || '''{{{#fff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 '''{{{#fff 제작시기}}}''' || 연대미상([[고려]]전기)[*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는 여주 고달사지 승탑의 제작시기를 밝히지 않았다.] || || [[파일:여주시 고달사지 승탑 정밀실측조사 용역 4.jpg|width=100%]] || || 여주시 고달사지 승탑 정밀실측조사 용역 || [목차] == 개요 == [[경기도]] [[여주시]] [[고달사|고달사지]]에 있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승탑]]. 1962년 [[대한민국의 국보|국보]] 제4호로 지정되었다. == 내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yeoju.go.kr/a0123_001.jpg|width=100%]]}}} || || {{{#fff ''' 여주 고달사지 승탑 '''}}} || 여주 고달사지 승탑은 전형적인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승탑으로 높이 4.36 m에 이른다.[* 기존의 백과사전이나 책에는 3.4 m로 나와있는데, 정밀실측조사보고서에서 4.36 m라고 밝혔다. 3.4m는 반올림한 값인듯.] 고달사지 승탑의 정확한 제작 시대는 알 수 없지만 고달사지(高達寺址)에 같이 남은 원종대사의 승탑보다는 오래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일설에는 [[신라]] 말의 고승 원감대사(圓鑑大師)의 승탑이라고도 하나 자세한 기록이 전해지는 것이 없어 확실치는 않다. 다만 신라 말 고려 초 양식을 따르므로 고려 초에 만들었으리라 추정할 뿐이다. 1962년 12월 30일 국보 제4호로 지정됐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여주_고달사지_승탑|한국어 위키백과: 여주 고달사지 승탑]]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267&cid=46656&categoryId=46656|한국민족문화대백과: 여주 고달사지 승탑]]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75910&cid=46710&categoryId=46710|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고달사지 승탑]]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522&cid=42840&categoryId=42842|답사여행의 길잡이 7 - 경기남부와 남한강: 고달사지 부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1301&cid=40942&categoryId=33382|두산백과: 여주 고달사지 승탑]] == 국보 제4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0040000,31&pageNo=5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여주 고달사지 승탑 (驪州 高達寺址 僧塔)]] >고달사터에 남아 있는 높이 4.3m의 고려시대의 승탑이다. 고달사는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된 절로, 고려 광종 이후에는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사찰로서의 면모를 유지하기도 하였으나, 조선시대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 탑은 바닥의 형태가 8각을 이루고 있으며,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잘 남아있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기단(基壇)은 상·중·하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대의 각 면에는 내부에 꽃 형태의 무늬가 있는 안상(眼象)이 2구씩 새겨져 있고 윗면에는 16엽의 연판이 돌려졌다. 중대는 이 승탑에서 가장 조각수법이 뛰어난 부재로써 거의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용과 같은 얼굴의 거북은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사실감이 느껴진다. 가운데 거북을 중심으로 총 네 마리의 용이 보주를 쥐고 있으며, 나머지 공간은 구름무늬를 가득 채웠다. 상대석에는 큼지막한 8엽의 앙련이 조각되어 탑몸돌을 받치고 있다. > >탑몸돌에는 문비와 자물쇠, 사천왕상(四天王像), 광창(光窓)이 표현되어 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꽤 두꺼운 편으로 아랫면에 비천과 구름을 표현하였다. 지붕돌 윗면 각 모서리를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면 그 끝마다 큼직한 귀꽃이 달려 있는데, 일부는 파손된 상태이다. 상륜부에는 둥글넓적한 복발 위로 보개(寶蓋)와 보주(寶珠)가 올려져있다. > >전체적으로 통일신라 승탑의 기본형인 팔각원당형 구조를 잘 따르면서도 조각의 세부수법에서는 고려 특유의 양식을 보이고 있어 고려시대 전기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보]][[분류:승탑]][[분류:여주시의 문화재]][[분류:고려의 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