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여주시]][[분류:여주시의 교통]][[분류:경기도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여주시)]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여주시의 교통)] [[여주시]]의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철도 == [[철도]] 교통의 경우 수원과 여주를 잇던 [[수려선]](水驪線)이 [[영동고속도로]]에 밀려 1972년 폐선되었고, 이후 44년만에 [[수도권 전철 경강선]]으로 부활하여 2016년 9월 24일부터 운행 중이다. [[경강선]]의 [[여주역]]과 [[세종대왕릉역]]이 여주시 내에 있다. 경강선의 수도권 전철은 추후 연장되어 [[시흥시]] [[월곶역]]까지, 경강선의 일반열차는 [[서원주역]], [[강릉역]]까지 운행될 예정이며 또한 [[충주시]], 향후 [[문경시]] 방향으로 갈 수 있는 [[중부내륙선]]이 2021년 12월 31일 개통되었다. 이 노선의 [[가남역]]이 여주시에 있다. 향후 [[여주원주선]] 철도도 만들어질 예정이라 강원도 원주와 강릉.동해로 연결될 전망이다. == 도로 == === [[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가 각각 여주시의 남부, 서부, 북부를 지나간다. 나들목은 영동고속도로 [[여주IC]], 중부내륙고속도로 [[북여주IC]], [[서여주IC]], [[남여주IC]], 광주원주고속도로 [[흥천이포IC]], [[대신IC]], [[동여주IC]](하이패스전용)이 있다.[* 여담으로 여주시는 전국의 모든 지방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동, 서, 남, 북 그리고 도시 이름 자체 IC를 가진 유일한 곳이다. 다음 주자로는 세종포천고속도로가 개통될 시 천안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버스는 차가 막히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빠르면 1시간이면 도착한다. === [[일반국도]] === [[3번 국도]], [[37번 국도]], [[42번 국도]]가 있다.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70번 지방도]], [[84번 지방도]], [[98번 지방도]] *[[지방도]] : [[333번 지방도]], [[341번 지방도]], [[345번 지방도]], [[349번 지방도]]가 있다. 관내 점유하고 있지 않지만 [[49번 지방도]]와 [[531번 지방도]]가 점동면 삼합리와 가깝게 접하고 있다. == 버스 == === [[시내버스]] === [[KD 운송그룹]]([[경기고속]] 농어촌사업부, [[대원고속]] 농어촌사업부)이 운행하고 있으며, [[금강고속]]에서 운행하는 [[양평 버스 1|양평 - 여주 간 시내버스]][* 노선번호가 있긴 하지만 큰 의미는 없다. 대부분 버스 앞에 놓인 행선지를 보고 탄다.], [[백성운수]] [[안성 버스 37|37번]]도 다닌다. 2013년 1월 말쯤에 기존 50번대 노선을 900번대로 변경하며 시간표와 일부 노선을 바꾸며 주민들의 혼란이 극심했다. 개편 전에 제대로, 자세히 공지해주지 않아서 [[여주종합터미널]]과 [[여주시청|군청]](당시)에 항의 전화가 빗발쳐서 시간표를 잠시동안 개편 전 시간표로 환원했다.[* 이천시도 여주군 개편후에 여주군과 비슷하게 개편을 했으나, 여주군과 같이 항의 전화가 빗발쳐서 여주군과는 다르게 개편 전으로 다시 환원했다.] 노선을 개편하며 버스 도착 정보 시스템의 설치가 확대되어서 여주시 거의 모든 버스 정류장에 설치가 되어 있다. 시내버스 목록은 [[여주시 버스 목록]]에서 확인하도록 하자.[* [[KD 운송그룹]]은 여주시 공영버스는 여주시 면허를 발급받지만, 여주시 시내버스는 '''광주'''시 면허를 발급받아 운행한다.] 여주시내와 이천시내를 잇는 유일한 버스인 [[경기광주 버스 111|111번]] 버스가 다니고 있고 [[여주역]]과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을 잇는 [[여주시의 공영버스/점동면#929번|929번]] 버스가 다닌다. === 시티투어버스 === 참고로 여주시는 [[시티투어버스]]를 운영한다. 주로 [[신륵사]] 인근이나 [[남한강]] 인근을 중심으로 운영하여 해당 시티투어버스 브랜드명은 [[세종대왕]] 관광순환버스다. 지역 관광버스 업체에 위탁 운영하여 [[6시 내고향]] 에서도 해당 버스 리포트하러 나오기도 했다. === 광역버스 === 2023년에 [[안성시]]에 [[안성 버스 4401|양재행 노선]]이 개통되면서 서울행 [[직행좌석버스]]가 다니지 않는 마지막 경기도 지자체가 되었다.[* [[동두천시]]는 자체 면허 빨간버스는 없지만 잠실행 [[경기 프리미엄버스]]가 동두천시 면허다.] 2021년 10월에 안성 [[안성 버스 8200|8200번]], [[안성 버스 8201|8201번]]이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면서부터 여주시는 지금까지 직행좌석버스가 아예 다니지 않는 마지막 지자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사실 개통한다 쳐도 시계외규정 때문에 강남행이나 잠실행은 최소 '''여주시내 기준으로 15~20km 이상 떨어진''' [[북여주IC]]/[[흥천이포IC]]나 '''이천시 [[덕평IC]]'''까지 가야 해서 소요 시간이 많이 증가한다. 이 규정 때문에 [[평택 버스 6600|평택 6600번]]과 [[광역급행버스 M5438|M5438번]]은 가까운 송탄IC를 지나치고 오산IC까지 올라간다. 다만 [[이천역]]에서 [[이천 버스 G2100|G2100]]과 [[이천 버스 3401|3401번]]으로 환승하거나, 경강선 타고 [[판교역]]에서 신분당선이나 다른 직행좌석버스로 환승하면 된다.] ===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 [[여주종합터미널]]에서 [[고속버스]],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자전거 == '''4대강 사업'''으로 자전거 길이 생겼다. 강천보~여주보~이포보를 잇는 자전거도로가 형성됐다. 그에 따라서 강천보 근처[* 정확히는 금모래 은모래 캠핑장이다.]과 이포보 캠핑장이 크게 발달되었다. 이포보에서는 경기도 양평으로 갈 수 있으며, 강천보에서는 강원도 원주를 지나서 충청도쪽으로 갈 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여주시, version=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