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역 관련 정보)] [목차] == 개요 == 주로 역명을 둘러싼 [[핌피|지역간 분쟁]]의 결과인 경우가 많다. == 일반철도 == * [[감곡장호원역]] * [[김천(구미)역]][* 결코 부역명이 아니다! 항목참조.] * [[천안아산역]] == 도시철도 == === 수도권 === * [[석계역]](1/6) : 석관+월계 * [[신답역]](2) : 신설동+답십리동 * [[용답역]](2) : 용두동+답십리동 * [[대곡역(고양)|대곡역]](3/경) : 대장+내곡 * [[이수역|총신대입구(이수)역]](4호선 한정) * [[하남풍산역]](5) : 하남+풍산지구. 이 경우에는 경의중앙선 풍산역과의 혼동을 막기 위함으로 보인다.[* 다만 혼동 방지만이라고 하기는 무리가 있다. 애초에 똑같이 5호선과 경의중앙선에 선례로 [[양평역(서울)|역명이]] [[양평역(중앙선)|겹치는 역]]이 있음에도 굳이 하남을 붙인 것에는 하남검단산역 역명 논란과 비슷하게 하남시의 압력이 들어갔다고 할 수 있다.] * [[하남시청역|하남시청역(덕풍ㆍ신장)]](5) : 본 역명은 아니지만 부역명에 두 지명이 동시에 들어간다. * [[하남검단산역]](5) : 하남풍산 - 하남시청 - 하남검단산으로 2호선의 [[잠실나루역|잠실나루]] - [[잠실역|잠실]] - [[잠실새내역|잠실새내]]에 준하는 연속 지역 역명. 명목상으로는 인천의 검단과 혼동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라고는 하나 선정 과정에서 하남시의 입김이 크게 작용했다고 한다. 사실상의 하남 알리기. * [[둔촌오륜역]](9) : 둔촌+오륜 * [[검단오류역]](인2) * [[미금역]](신/분) : 구미+금곡 * [[매탄권선역]](분) * [[백마역]](경의중앙) : 백석+마두 * [[평내호평역]](경춘) : 평내+호평 = (궁평+장내)+(호만+평촌) --두 지명이 아니다!-- * [[걸포북변역]](김포) * [[시청·용인대역]](용) * [[운동장·송담대역]](용) * [[전대·에버랜드역]](용) === 동남권 === * '''[[경성대·부경대역]]'''(부2) : 이런 작명센스의 원조격이다. 석계, 모덕같은 약칭보다 두 지명 모두 풀네임화시키는 유행을 낳은 선구자(?).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부2) : 舊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문전역]](문현+전포) * [[모덕역]](부2) : 모라+덕포 * [[괘법르네시떼역]](김해) === 대구권 === * [[설화명곡역]](대구1) * [[칠곡운암역]](대구3) * --[[서재세천역]](대구산업선)--(예정) === 기타 지역 === * [[오룡역]](대전1) : 오류+용두 * [[학동·증심사입구역]](광주1) [[분류: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