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역옹패설.jpg]] {{{+2 [[櫟]][[翁]][[稗]][[說]] }}} [목차] == 개요 == [[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이 [[충혜왕]] 복위 3년(1342)에 저술한 시화문학서(詩話文學書)이자 잡록집(雜錄集). 총 4권. 현재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소장 중이고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1893호로 지정되었다. 제목은 '역옹패설'로 읽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낙옹비설'이라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 내용 == 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제현이 1342년에 56세의 나이로 관직에서 모두 은퇴한 후 자기 집에 거처하면서 저술한 책으로, [[이인로]]의 [[파한집]](破閑集), [[최자]]의 [[보한집]](補閑集)과 함께 고려시대 3대 문학비평서 중 하나로 꼽힌다. 주로 1300년대 당시 고려 내에 돌아다니던 각종 고사 및 잡록이 수록되어 있는데 전집에는 62칙, 후집에는 57칙으로 총 119칙의 역사, 인물일화(人物逸話), 설화, 우스갯소리, 잡록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도 시화집의 일종으로 당시 유행하던 [[시]]들을 저자인 이제현이 품평한 내용 또한 수록되어 있다. 책에 수록된 당시 작품들의 주요 특징은 1) 원 간섭기에 대한 반발로 반[[몽골]] 및 반[[사대주의]] 성향, 2) [[무신정권]]의 전횡 및 폐단 폭로, 3) 몽골을 핑계로 고려의 백성들을 협박하고 부녀를 강제로 겁탈했던 [[삼별초]] 정권의 부정 등이다. 훗날 [[조선시대]] 문학비평론의 길잡이 구실을 한 고전 저작으로, 고려 후기 문학론에 대해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2016년 2월 22일, 조선 세종 14년인 1432년에 판각된 책이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역옹패설|한국어 위키백과 : 역옹패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1371&cid=46644&categoryId=46644|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역옹패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6293&cid=40942&categoryId=33382|두산백과 : 역옹패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93031&cid=60533&categoryId=60533|국어국문학자료사전 : 역옹패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77084&cid=41708&categoryId=41737|한국문학 : 역옹패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69051&cid=60544&categoryId=60544|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역옹패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18716&cid=62047&categoryId=62047|한국고중세사사전 : 역옹패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9999&cid=47319&categoryId=47319|Basic 고교생을 위한 문학 용어사전 : 역옹패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594&cid=50223&categoryId=51051|한국민속문학사전: 설화 편 : 역옹패설]] == 보물 제1893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18930000,22&pageNo=5_2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역옹패설]] >「역옹패설」은 고려시대 말기의 대표적인 문신이며 학자인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1287~1367)의 시문평론집으로 4권 1책본이다. 처음 간행된 것은 저자 생존시기인 1363년(공민왕 12)에, 그의 차자 이장로(李彰路)와 장손 이보림(李寶林)이 편집하여 경주에서 간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초간본은 전하지 않는다. 본 계명대 소장본은 조선시대에 처음 간행된 것으로, 세종의 명에 따라 1432년에 원주에서 판각한 목판에서 인출한 책이다. 이 판본의 특징은 판각 후 초기에 인출한 것인 듯 본문의 상태가 매우 선명한 선본(善本)이라는 점과 함께, 조선이 개국한 지 40년이 지난 후에 판각한 책임에도 불구하고 고려의 국왕을 높이기 위한 간자(間字)의 방식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외에 고려본의 문집에서 자주 보이는 바와 같이 같은 자가 반복될 때에 쓰이는 기호인 ‘ 〟’표가 자주 보이는 것도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조선전기의 시문의 비평에 대한 연구는 물론 당시의 출판문화와 서지학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 같이보기 == * [[삼별초]]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고려의 도서]][[분류:조선의 도서]][[분류: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품]][[분류:대구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