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성씨)] [목차] [clearfix] == 延 (늘일 연) == [include(틀:조선 좌명공신)]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yyyyy@1.jpg|width=60]]||'''{{{#4a2d5b 조선 좌명공신 가문 [br]{{{+1 谷山 延氏[br]곡산 연씨}}}}}}''' ||}}} || || '''관향''' ||[[황해북도]] [[신평군]] 석암리[*A 원주소는 前 [[곡산군#s-4|황해도 곡산군]] 상도면 웅담리였다. [[1898년]]([[광무]] 2)에 발급된 [[http://cksm.kangwon.ac.kr/dir/list?uci=KNU+GWKSMC+KSM-XD.1902.0000-20170501.2016000046|황해도(黃海道) 곡산군(谷山郡) 상도면(上圖面) 웅담리(熊潭里) 연촌동(延村洞) 제5통 1호]]에 사는 농인(農人) 연봉량(延鳳亮)의 호적표가 발견되었다. ] || || '''중시조'''[br]{{{-3 (실질)}}} ||[[연사종]](延嗣宗) || || '''집성촌'''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58길87[*B [[https://map.naver.com/v5/entry/place/1268278355?lng=127.0730542&lat=37.6364582&placePath=%2Fhome%3Fentry=plt&c=15,0,0,0,dh|연 해피빌 아파트]]][br][[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C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36542|“신림동 터줏대감”, 삼모빌딩 2채 시세 750억 ‘훌쩍’]]][br][[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D [[http://www.gjmh.or.kr/snb-history.html?Table=ins_bbs11&mode=view&uid=115&page=1§ion=|광주문화원 노곡리]] ][br][[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E [[https://www.cultureline.kr/webgear/board_pds/11232/[%2030%20]%20%ED%8F%AC%EC%B2%9C%EC%8B%9C.pdf3|포천시 군내면 직두리]]][br][[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모충동]] 연배티마을[*H [[https://www.cjculture42.org/sub.php?code=198|우리동네 모충동에 오면...]]][br][[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진동마을[*I [[https://www.jincheon.go.kr/home/sub.do?menukey=2627|진천군 초평면 진암리(陣岩里) 진동(陣洞)마을]]][br][[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야동마을[*J [[http://eumseong.grandculture.net/eumseong/dir/GC01101101?category=%ED%91%9C%EC%A0%9C%EC%96%B4&depth=3&name=%EA%B0%80&type=titleKor&search=%EA%B0%80|디지털음성문화대전]]][br][[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br][[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 '''인구''' ||34,766명^^(2015년)^^ 인구의 '''0.070'''%[* [[2015년]] [[대한민국]] 인구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49,705,663명]] ][br]약 8,000명^^(1930년)^^ 인구의 '''0.040%'''[* [[1930년]] [[조선]] 인구 약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71_0060_0050_0020_0050|20,000,000만명]]] || || '''웹사이트''' ||[[http://www.goksan.co.kr/|곡산연씨대동종친회(谷山延氏大同宗親會)]] || 현재 [[황해북도]] [[신평군]] 석암리[*A]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말 [[신평군|곡산]]의 한미한 군소 가문이었지만 '''[[함흥]]'''이 고향인 '''[[연사종]]'''(延嗣宗)의 집안이 후일 동향인 [[태조 이성계]]를 따라 [[조선]] 건국에 일조하고 뒤이은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정안군]]을 왕위에 옹립한데 기여해 [[조선]]의 '''[[공신#좌명공신(佐命功臣)|좌명공신]]'''(佐命功臣) 가문이 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조선 태종|태종]]과 [[조선 세종|세종]] 심지어는 [[인종(조선)|인종]]의 치세동안 공신가문 [[연사종]]의 후손들을 [[보은인사]]로 대거 발탁하는 수혜를 누리며 흥성하였다. 그러다 [[조선]] [[명종(조선)|명종]] 치세에 불어닥친 [[정미사화]]의 피바람에 연루돼 멸문지화에 가까운 군난을 겪고 [[조선]] 중·후기 다시 [[청안군]]·[[광주시|광주군]]·[[노원구|양주군]]의 지방 군소 가문으로 몰락해 현재를 이어왔다. 전체 26명의 과거급제자를 배출했으며 [[무관#武官|무관]] 출신이 22명으로 다수이고[*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OriginFamilyPeopleList.aks?classCode=MU&className=%EB%AC%B4%EA%B3%BC&originNameGanada=%EA%B0%80&originName=%EA%B3%A1%EC%82%B0(%E8%B0%B7%E5%B1%B1)&familyName=%EC%97%B0%EC%94%A8(%E5%BB%B6%E6%B0%8F)&hyeonjeon=EST&isEQ=false&kristalSearchArea=P|곡산 연씨 무과 급제자 목록]]] [[문관]]은 단지 4명이 있는[*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OriginFamilyPeopleList.aks?classCode=MN&className=%EB%AC%B8%EA%B3%BC&originNameGanada=%EA%B0%80&originName=%EA%B3%A1%EC%82%B0(%E8%B0%B7%E5%B1%B1)&familyName=%EC%97%B0%EC%94%A8(%E5%BB%B6%E6%B0%8F)&hyeonjeon=&isEQ=true&kristalSearchArea=B|곡산 연씨 문과 급제자 목록]] ] [[조선]]의 무반가문(武班家門)이다. [[1930년]] 기준 약 [[https://ko.wikisource.org/wiki/1930%EB%85%84_%EC%A1%B0%EC%84%A0%EC%B4%9D%EB%8F%85%EB%B6%80_%EC%8B%A4%EC%8B%9C_%EA%B5%AD%EC%84%B8%EC%A1%B0%EC%82%AC%EC%97%90_%EB%94%B0%EB%A5%B4%EB%8A%94_%EC%A1%B0%EC%84%A0%EC%9D%98_%EC%84%B1%EC%94%A8%EB%B3%84_%EA%B0%80%EA%B5%AC%EC%88%98_%ED%86%B5%EA%B3%84%ED%91%9C|8,000명]] 인구의 '''0.040%'''[* [[1930년]] [[조선]] 인구 약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71_0060_0050_0020_0050|20,000,000만명]]] , [[2015년]] 기준 34,766명 인구의 '''0.070%'''[* [[2015년]] [[대한민국]] 인구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49,705,663명]] ] 소수성씨이다. [[서울]], [[광주시|경기 광주]], [[충청북도]], [[함경남도]]에 주로 세거한다. === 역사 === ==== 기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연사종영정.jpg|width=500]]}}} || || {{{#ece5b6 '''정후공(靖厚公)의 견본설채(絹本設彩)'''[* [[장군]]의 영정은 [[부원군]](府院君)의 조복(朝服)을 입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크기는 가로 60cmㆍ세로 113cm로서, 무오년 가을 와우산인(臥牛山人) 서봉(瑞奉)이 그렸다고 한다. ]}}} || >[[부원군|곡산부원군]] [[연사종]](延嗣宗)이 졸(卒)하였다. 사종의 자(字)는 불비(不非)요, [[신평군|황해도 곡산]] 사람으로서 '''[[함흥부]]'''로 옮겨 산 지가 [[3대#三代|삼대]]가 되었다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404020_003|《세종실록》 16권, 세종 4년 4월 20일 병오 3번째기사]] >이번의 연정(延侹)[* 중시조 [[연사종]] 장군의 증손]은 그의 [[연사종|증조]]가 곧 '''[[공신#좌명공신(佐命功臣)|좌명공신]]''' 인데, 내사조와 외사조에 모두 현관이 있는 사람이 아니기는 합니다. 그러나 [[공신#좌명공신(佐命功臣)|좌명공신]]의 후손은 [[사족#중국과 조선의 지방 권력자 계층|사족]]임이 분명하니 응당 면제되어야 할 듯한데, 이는 특별한 은전(恩典)이어서 감히 함부로 할 수 없기에 이렇게 아룁니다." >---- >[[https://sillok.history.go.kr/id/kka_12012117_003|《중종실록》 56권, 중종 20년 윤12월 17일 신미 3번째기사 ]]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곡산 연씨 (谷山 延氏)는 [[고려]] 말부터 [[신평군|곡산]] 지역 군소 가문으로[* [[토성(동음이의어)#s-3|토성]](土姓)이란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오는 표현으로 지역의 성씨 중에서 [[고려시대]] 이래로 여러 차례 관직을 지낸 기록이 있어 조선 건국 이전부터 벼슬 품관(品官) 집단(集團)의 성씨 즉 양반 가문으로 인식된 성씨를 말한다. ] 후일 중시조 [[연사종]]의 [[할아버지|조부]] 곡산 연씨[*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출생, 성은 연(延)씨이나 이름은 불명이다.]가 손자 [[연사종]]까지 삼대에 걸쳐 [[함흥]]에서 세거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신평군|곡산군]]의 주요 [[토성(동음이의어)#s-3|토성]](土姓)으로 우(禹)·[[노씨|노]](盧)·[[강씨|강]](康)·[[한씨|한]](韓)·[[용씨|용]](龍)·연(延) 6성이 기록되어 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8001_005|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중시조 정후공(靖厚公) '''[[연사종]]'''(延嗣宗)은 [[조선]] 초기의 [[장군]]으로 現 [[함경도]] [[함흥]] 출신이다. 그의 [[부모]]는 모두 [[함흥]] 사람이고 또한 [[조부]]는 [[신평군|곡산]] 사람이다. 그는 [[태조 이성계]]와 [[지연#地緣|동향인]]으로 [[위화도 회군]]에서 장군 진무로 활약하며 [[조선]] 건국 후 회군공신(回軍功臣) 3등 및 [[개국원종공신녹권|개국원종공신]]에 녹봉되었고 뒤이은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정안군]]을 왕위에 옹립하는데 기여해 [[전주 이씨|왕실]]로부터 [[공신#좌명공신(佐命功臣)|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었다. 조정의 상장군(上將軍)에 임명되고 [[동북면]]에서의 경험을 인정받아 [[조선 태종|태종]]과 [[조선 세종|세종]]하에서 군 최고 직위인 [[동북면]][[병마절도사|병마도절제사]][* 現 [[국군]] [[중장]]급 ][* [[https://sillok.history.go.kr/id/kca_11001016_003|태종실록 19권, 태종 10년 1월 16일 계미 3번째기사]] ]와 판중군도총제부사등을 역임해 [[동북면]]을 방어하는 [[장군]]으로 활약했다. 후일 [[조선 태종|태종]]에 의해 조정은 그를 [[한성부]]로 소환하고 [[한성판윤|판한성부사]][* 現 [[서울시장]] ]를 역임하며[*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710003_001 |.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 1월 15일 을해 2번째기사 ]] ] 따라서 집안도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로 다시 옮겼다. 후일 [[조선 세종|세종]]에 의해 다시 삼군 도진무[* 도총관(都摠管), 現 [[수도방위사령관]]] 및 중군 도총제[* 도총제사(都摠制使) ]로 소환되었고 [[조선 세종|임금]]의 명으로 [[조선 환조|환조]]의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0144|정릉]]을 정비하고 사자비를 세우는 중임을 도맡기도 하였다. 후일 자녀로 [[https://sillok.history.go.kr/id/kea_10004015_001|연경]], [[https://sillok.history.go.kr/id/kga_10605010_003|연비]],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507_002259&category=dirSer|연음]](延廕) 세 아들을 득남하였다. 現 [[황해도]] 이남의 모든 곡산 연씨는 [[연사종]] [[장군]]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문중은 그를 실질적인 시조로 여긴다. 후일 [[곡산 연씨]]들은 선대가 조정의 [[공신#좌명공신(佐命功臣)|좌명공신]]이었던 이유 때문에 따라서 [[보은인사]]로 대거 발탁되거나 혹은 중죄가 아닌 죄라면 모두 면책의 대상으로 보는등의 수혜를 입었다. 사종의 아들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2202022_002|연경]](延慶)은 [[1438년]] 판안주목사에 임명되었고[*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2202022_002|세종실록 88권, 세종 22년 2월 22일 을미 2번째기사]]] 후일 [[1450년]] [[조선]]을 대표하여 사은사로 [[명나라]]의 수도 [[북경]]에 파견되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ea_10009001_007|문종실록 3권, 문종 즉위년 9월 1일 임인 7번째기사]]] 둘째 아들 [[https://sillok.history.go.kr/id/kga_10605010_003|연비]](延庇) 또한 [[조선 세조|세조]] 6년 [[당상관]]에 임명되었고 셋째 아들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507_002259&category=dirSer|연음]]의 아들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0505012_001|연정렬]](延井冽)은 옥천군수를 역임한 뒤 20개월이 채 지나지 않아 연안부사로 승진해 사헌부대사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4656|이서장]](李恕長)등이 부당함을 아룄으며 정렬의 아들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1510007_002|연보]](延保)는 내력이 없음에도 [[조선 성종|성종]] 15년 1명만을 뽑는 [[당상관]] 사재감 정에 임명되었고 심지어 [[중종(조선)|중종]] 20년 [[https://sillok.history.go.kr/id/kka_12012117_003|연정]](延侹)은 사종의 증손이라는 이유로 입거를 면책해주었다. ==== 정미사화와 그 여파 ==== 그러다 [[1547년]] [[조선 명종|명종]] 2년에 발생한 [[정미사화]]에 곡산 연씨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0505012_001|연정렬]](延井冽)과 [[동서#호칭|동서]] 관계였던 [[광주 이씨]]와 함께 연루되어 [[https://sillok.history.go.kr/id/kma_10405018_015|연애]](延璦)·[[https://sillok.history.go.kr/id/kma_10405011_002|연백재]](延百載)·[[https://sillok.history.go.kr/id/kma_10405006_004|연의]](延義)등이 [[능지처참|능지처사]] 당하였다.[* [[https://sillok.history.go.kr/id/kma_10405006_004|명종실록 9권, 명종 4년 5월 6일 을해 4번째기사]]] 따라서 문중 일부는 [[한성부]]를 떠나 [[청안군]] 및 [[영남]]지방으로 낙향(落鄕)하였다. 따라서 [[1621년]] [[광해군]] 13년 다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b_1621_005300&category=dirSer&isEQ=false&kristalSearchArea=P|연섭]](延涉)이 문과에 급제하기 그 전까지 문과 급제자는 나오지 않았다. [[1682년]] [[조선 숙종|숙종]] 8년 치당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b_1682_007032&category=dirSer&isEQ=false&kristalSearchArea=P|연최적]](延最績)이 병과 4등에 급제하며 [[인현왕후]]와 연을 맺으며 [[도승지]]등을 역임하였으나 [[인현왕후]]가 정적 [[희빈 장씨]]에게 밀려나 폐위되었고 최적은 인현왕후 폐위의 부당성과 당시 화를 입은 자들의 용서를 상소하다가 형장에서 옥사하였다.[[https://sillok.history.go.kr/id/ksb_11908006_001|숙종실록보궐정오 25권, 숙종 19년 8월 6일 정축 1번째기사]] >"듣건대 충숙공(忠肅公) 이세화(李世華), '''의민공'''(懿愍公) '''연최적'''(延最績), 충간공(忠簡公) 이동표(李東標)는 그처럼 충성과 절개가 있었는데 그들의 [[후손|사손]](祀孫)들은 [[몰락#沒落|영락]]하였다고 한다. 전조(銓曹)에 분부하여 이름을 물어서 초사(初仕) 자리가 나는 대로 의망(擬望)하여 들이도록 하라." >---- >[[https://sillok.history.go.kr/id/kza_110090|《고종실록》 10권, 고종 10년 9월 12일 정사 2번째기사]] 따라서 곡산 연씨는 겉보기에 몰락한 가문이 되어버렸다. 후일 [[영조]] 14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1014|송인명]](宋寅明)의 청으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b_1682_007032&category=dirSer&isEQ=false&kristalSearchArea=P|연최적]](延最績)을 증 이조판서로 추존하며 동시에 최적의 후손 곡산 연씨들에게 관직을 내리고[* [[https://sillok.history.go.kr/id/kua_11411014_001|영조실록 47권, 영조 14년 11월 14일 임술 1번째기사]]] [[영조]] 51년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c_1775_010498&category=dirSer&isEQ=false&kristalSearchArea=P|연동헌]](延東憲)이 곡산 연씨로는 93년만에 문과에 합격하였다. [[정조(조선)|정조]] 8년 조정은 최적을 재평하여 의민(毅愍)으로 증시하였으며[* [[https://sillok.history.go.kr/id/kva_10308015_002|정조실록 8권, 정조 3년 8월 15일 병인 2번째기사]]] [[조선 고종|고종]] 10년 가문이 몰락하여 관직없이 생업을 이어가는 최적의 후손 곡산 연씨들에게 관직을 내렸다. === 분포 ===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곡산 연씨는 '''[[함흥]]'''에서 출발하여 [[16세기]] 즈음 [[한성부]]와 [[청안군]] 그리고 [[광주시|경기도 광주군]] 지역을 거점으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現 곡산 연씨 최대 세거지는 [[서울]]·[[경기도|경기]]·[[충북]]·[[함남]]이다[* [[https://ko.wikisource.org/wiki/1930%EB%85%84_%EC%A1%B0%EC%84%A0%EC%B4%9D%EB%8F%85%EB%B6%80_%EC%8B%A4%EC%8B%9C_%EA%B5%AD%EC%84%B8%EC%A1%B0%EC%82%AC%EC%97%90_%EB%94%B0%EB%A5%B4%EB%8A%94_%EC%A1%B0%EC%84%A0%EC%9D%98_%EC%84%B1%EC%94%A8%EB%B3%84_%EA%B0%80%EA%B5%AC%EC%88%98_%ED%86%B5%EA%B3%84%ED%91%9C|1930년 조선총독부 실시 국세조사에 따르는 조선의 성씨별 가구수 통계표]]] [[조선]]의 도읍 [[한성부]][* [[서울특별시]] 전역]는 [[연사종]] 장군의 아들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507_002259&category=dirSer|연음]](延廕)의 장남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0505013_001|연정렬]](延井冽)이 낳은 아들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1510007_002|연보]](延保)와 그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3명[* 포도군관(捕盗軍官)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84_100136&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신흠]](延愼欽)[br]별대마병(別隊馬兵)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84_100095&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용서]](延龍瑞)[br]수문장(守門將)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37_10470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응룡]](延應龍) ], [[문과]] 급제자 1명[* 연구령(延九齡)], 생원시 1명[* 연사의(延士義)]·[[진사|진사시]] 2명[* 연창령(延昌齡) 연충보(延忠輔) ]·의과 1명[* 연수담(延壽聃)]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이뤘다. 現 [[신림역]] 주변은 곡산 연씨 기업 [[연제원(정치인)|삼모흥업]] 일가가 [[삼모더프라임타워]] 및 삼모스프렉스·스파등의 랜드마크 건물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0505013_001|연정렬]](延井冽)은 또한 [[연안군|연안]]부사[* 現 [[황해남도]] [[연안군]]] 및 [[동래]]현령[* 現 [[부울경]] 지역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1803017_001|성종실록 201권, 성종 18년 3월 17일 정사 1번째기사]]]과 [[옥천군|옥천]]군수[* 現 [[충청북도]] [[옥천군]]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0505012_001|성종실록 42권, 성종 5년 5월 12일 병신 1번째기사]]]를 지냈는데 그의 복무지 가운데 하나였던 [[옥천군|옥천]] 주변 前 [[청주군]]과 [[청안군]] 지역[* 現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오창읍 일부와 [[괴산군]]·[[증평군]]·[[음성군]] 원남면·[[진천군]] [[초평면]]등]은 現 곡산 연씨가 두번째로 많이 사는 지역이 되었다. 前 청안군 지역의 주요 집성촌 4곳은 [[충북]]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와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아울러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진동마을과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야동마을등이며 무과 급제자 4명[* 충의위(忠義衛)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51_008854&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윤]](延潤) [br]충의위(忠義衛)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51_00846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진길]](延震吉) [br]한량(閑良)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805_026394&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태훈]](延泰勲) [br]전력부위(展力副尉)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70_000291&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집]](延㠎)], 생원시 7명[* 연명좌(延命佐) 연명회(延明會) 연섭(延涉) 연세관(延世觀) 연주운(延周運) 연형(延瀅) 연혜증(延惠增) ], [[진사|진사시]] 3명[* 연기회(延耆會) 연세화(延世華) 연진경(延震卿)]을 배출하였다. 現 [[충북]] [[증평군]] 도안면 지역은 화성리에 중시조 [[부원군|곡산부원군]] [[연사종]] 장군의 묘가 이장돼 있고 더욱이 전체 인구의 48%가 곡산 연씨이며 따라서 문중이 기초의원 선거를 좌우 하고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3591998#home|기초의원 1석에 갈린 연씨 종친회]]] [[연병호]](延秉昊), [[연철흠]](延哲欽), [[연종석]](延宗錫)등의 [[정치인]]을 배출하였다. 前 [[청주군]][* 現 [[충청북도]] [[청주시]]] 지역의 곡산 연씨는 문인 치당 [[https://sillok.history.go.kr/id/ksa_11908006_001|연최적]](延最績)외 생원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b_1675_013940&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인로]](延寅老)·어모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b_1675_013940&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재희]](延再熙)등의 인물을 배출하였다. 現 [[충북]] [[청주시]] [[서원구]] [[모충동]] 연배티마을에 집성촌을 이뤘으며 [[https://sillok.history.go.kr/id/ksa_11908006_001|연최적]]을 기리는 연최적충효양전문(延最績忠孝兩全門)이 조성되어 있다. 前 [[광주군]][* 現 [[경기도]] [[광주시]] ] 지역은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0505012_001|연정렬]](延井冽)과 [[동서#호칭|동서]]인 [[광주 이씨]]의 영향으로 곡산 연씨가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주요인물은 선략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12_02065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승천]](延承天)등이며 [[무과]] 급제자 5명[* 부사과(副司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84_100725&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덕항]](延德恒)[br] 무관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90_009714&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도원]](延道源) [br]부사과(副司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12_02065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만성]](延萬成)[br] 부사맹(副司猛)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30_004916&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봉령]](延鳳齡)[br]한량(閑良)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26_003826&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오징]](延五徵)]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에 이뤘다. 前 [[양주군]][* 現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은 중시조 [[연사종]] 장군의 묘가 위치했었으며 [[전주 이씨|조선 왕실]]이 하사한 사패지(賜牌地)였다. 주요 문종으로는 첨지사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37_105403&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학서]](延鶴瑞)와 어모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70_00011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정일]](延精一)등이고 [[무과]] 급제자 3명[* 겸사복(兼司僕)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37_105403&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대징]](延大澄)[br]부사과(副司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84_100770&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제민]](延濟民)[br]어모장군(禦侮將軍)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70_00011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탁립]](延卓立)]을 배출하였다. 집성촌은 現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58길87([[하계동]] 168-2))에 이뤘었으며 후일 [[하계역]] 방면 집성촌 자리는 곡산 연씨 대종회 사무실과 종친회 아파트가 들어섰다. 아울러 前 [[포천군]][* 現 [[경기도]] [[포천시]] ]를 연고로 하는 충의위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23_002809&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재명]](延再鳴)과 그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1명[* 충의위(忠義衛)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23_002809&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연후설]](延後卨)]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에 이뤘다. === 집성촌 ===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58길87[*B]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C]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D]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E]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모충동]] 연배티마을[*H] *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진동마을[*I]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야동마을[*J]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 *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 항렬자 === [[파일:연-곡산.jpg]] === 분파 === * 상주공파(尙州公派) * 연안공파(延安公派) * 별좌공파(別坐公派) * 별좌공파(別坐公派) * 감역공파(監役公派) * 지평공파(砥平公派) * 정랑공파(正郞公派) * 사과공파(正郞公派) * 충위공파(忠衛公派) * 충사공파(忠司公派) * 교위공파(校尉公派) * 장영공파(掌令公派) * 주부공파(主簿公派) * 호군공파(護軍公派) * 첨정공파(僉正公派) * 목사공파(牧使公派) * 옥천공파(沃川公派) * 판서공파(判書公派) * 승지공파(承旨公派) * 안음공파(安陰公派) * 작달파(爵達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눌문파(訥文派) * 금당파(金塘派) * 부위공파(副尉公派) * 감찰공파(監察公派) === 세보 === [[파일:연동헌지음.jpg|width=80%]] || • 곡산연씨경신보(谷山延氏庚申譜) : 1740년 || === 인물 === ||<-4> '''26세(羽) ''' || || [[연기우]](延基羽) || ? ~ 1911 || [[독립운동가]] || ||<-4> '''27세(秉) ''' || || [[연병호]](延秉昊) || 1894 ~ 1963 || [[정치인]] || ||<-4> '''29세(圭) ''' || || [[연규횡]](延圭鐄) || 1921 ~ 1989 || 교육인 [br] [[충북대학교]] 제6·제9·제10대 총장, 제2대 [[충청북도교육청|충청북도교육감]] || || [[연규진]](延圭眞) || 1945 ~ || [[배우]] [br] [[연정훈]]의 父 || || [[연규성]](延圭成) || 1980 ~ || [[가수]] || ||<-4> '''30세(欽) ''' || || [[연철흠]](延哲欽) || 1960 ~ || [[정치인]] || || [[연경흠]](延卿欽) || 1983~ || [[야구선수]] [br] 前 [[한화 이글스]] 외야수 || ||<-4> '''31세(濟) ''' || || [[연제원(정치인)|연제원]](延濟源) || 1927 ~ 2010 || [[기업인]] [br] 삼모흥업 회장·정치인 || || [[연제욱]](延濟旭) || 1987 ~ || [[배우]] || || [[연제형]](延濟亨) || 1995 ~ || [[배우]] || || [[연제민]](延濟民) || 1993 ~ || [[축구선수]] || || [[연제운]](延濟運) || 1994 ~ || [[축구선수]] || ||<-4> '''32세(模) ''' || || [[연형모]](延形模) || 1991 ~ || [[프로게이머]] [br] [[리그오브레전드]] || * '''[[연사종]]''' - [[조선]]의 [[장군]]·[[부원군]]· '''[[공신#좌명공신(佐命功臣)|좌명공신]]'''·[[개국원종공신녹권|개국원종공신]] * '''[[연형묵]]''' - [[북한]] 제7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무원총리|총리]]'''. [[유엔#한국과의 관계|남북유엔동시가입]](1991)·[[남북기본합의서]] 채택(1991) * [[조선국군준비대|연정]] - [[켈로부대]] 유격대장·[[국군준비대|조선국군준비대]] 외교관 * [[홈플러스#역대 임원|연태준]] - 유통기업 [[홈플러스]] 대표이사 부사장 * [[한신대학교|연규홍]] - [[한신대학교]] 제 18대 총장 * [[연보흠]] - [[언론인]], [[MBC]] 기자 * [[연병해]] - [[언론인]], 前 [[대한배구협회]] 부회장 * [[연철호]] - '''[[노무현]]''' 전 대통령의 형 [[노건평]]의 사위 * [[한국프로골프협회 #상세|연덕춘]] - [[골프]]선수. [[한국프로골프협회]]이사장 * [[틀:신민당 제7대 국회 전국구|연주흠]] - 정치인 * [[연종석]] - 정치인 * [[김태정(법조인)|연정희]] - [[김태정(법조인)]]의 부인 * '''[[연상호]]''' - 애니메이션/영화 감독 《[[부산행]]》(2016) 감독 * [[제이쓴|연제승]] - 인테리어 디자이너, 방송인 제이쓴 * [[연광철]] - 성악가 * [[연빛나]] - [[아나운서]], 前 [[YTN]] 여자 앵커 * [[연상은]] - [[아나운서]], 前 [[XTM]] 아나운서 * [[연미정]] - [[대성마이맥]] 수능 [[한국사]] 강사 * [[연서영]] - 여배우. [[미스코리아/충북-세종/2015년|미스코리아 진]] * [[연송하]] - 여배우 * [[연미주]] - 여배우 * [[연운경]] - 여배우 * [[흐림|연지예]] - 가수 겸 유투버 * [[연아루]] - 모델 겸 인터넷 방송인 * [[연지은]] - 레이싱 모델 * '''[[연정훈]]''' - 남배우, [[한가인]]의 남편 * '''[[연상엽]]'''[* 미국명 스티븐 연(Steven Yeun)] - [[한국계 미국인]] 남배우.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남우주연상|제93회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 * [[연준석]] - 남배우 * [[연승빈]] - 남배우 * [[맨즈헬스/역대 표지모델#2008년|연준모]] - [[맨즈헬스/역대 표지모델]] * [[포도네|연지수]]- 트위치 스트리머, 유튜버 포도네 * [[딩동댕댕|연세련]] - 유튜버 딩동댕댕 * [[연제훈]] - 운동선수 * [[Jaykeeout|연제민]] - 유튜버 Jaykeeout * [[연정흠]] - 인터넷 방송인 * [[연제영]] - [[대한민국 해군]] [[대령]] * [[Cherry Filter|연윤근]] - [[Cherry Filter]] 기타리스트 * [[서도밴드|연태희]] - [[서도밴드]] 기타리스트 === 예명 === * [[연민지]] - 배우[* 본명은 이민지] * [[연우진]] - 배우[* 본명은 김봉회.] === 가상인물 === * [[Paradox Live]] - [[연하준]], [[연동하]] * [[광기(무협소설)|광기]] - [[연자심]] * [[귀곡의 문]] - [[연나랑]] * [[나우(만화)|나우]] - [[연아란]], [[연아린]] * [[내 ID는 강남미인!]] - 연우영 * [[다시쓰는 연애사]] - [[다시쓰는 연애사/등장인물#s-4.3|연주홍]] * [[동생친구]] - 연가은 * [[홍시는 날 좋아해!]] - 연가을 * [[레코닝]] - [[연우연]] * [[리멤버 - 아들의 전쟁]] - [[연보미]] * [[베리베리 뮤우뮤우 뉴~♡]] - [[미도리카와 레타스|연그린]] [* 구작에서는 배레티로 나왔음] * [[마기(만화)]] - [[연홍염]], [[연백룡]], [[연옥염]], [[연홍옥]], [[연홍명]], [[연홍패]], [[연백영]] * [[맘마미안]] - 연금옥 * [[미르모 퐁퐁퐁]] - [[연우진(미르모 퐁퐁퐁)|연우진]] * [[소문난 칠공주]] - [[연하남]] * [[수호전]] - [[연청]] * [[스카드 잼 정령석의 구애]] - [[연가을]] * [[신데렐라 일레븐]] - [[연유란]], [[연유아]] * [[신석기녀]] - [[연소연]] * [[신의 탑]] - [[연 한아]], [[연 이화]], [[연 운]] * [[약한영웅]] - [[연시은]] * [[연록흔]] - 연록흔 * [[왔다! 장보리]] - [[연민정]] * [[위험한 약속]] - [[연두심]] * [[은사(웹툰)|은사]] - 연민희 * [[존잘주의]] - [[연하늘]] * [[좀비고등학교]] - [[연선우]] * [[주몽(드라마)|주몽]] - 연타발, 연채령 * [[천뢰무한]] - [[연자심]] * [[클로젯]] - 연상원, 연이나 * [[클라우드]] - 연하늘 * [[테러맨]] - [[연하연]]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파워레인저 돈브라더즈]]:[[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기타 등장인물#s-4.6|연채신]] * [[한백무림서]] - [[연선하]] * [[흥부전]] - [[흥부|연흥부]], [[놀부|연놀부]][* 초기 판본인 홍보만보록에서는 [[장(성씨)|장씨]]로 나온다. 연씨라는 설정은 이후의 판본에서 처음 나온다.] * [[Fate 시리즈]] - [[신주쿠의 어새신|연청]] * [[연우의 순정]] - [[연우(연우의 순정)|연우]] == 連 (이을 연, 련) == 한국의 성씨.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 연주(連珠)이며 본관은 [[전주]] 단본이다. 2015년도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59명으로 조사되어 매우 흔치 않은 성이다. 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 [[나주]] 6가구와 본관 불명 등 전국에 7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당시 평안남도 [[성천군]]에 나주 연씨 6가구가 모두 살고 있었으며, 충청남도 [[예산군]]에 살던 1가구는 본관 불명으로 나타났다. 이 때 평안남도 [[성천군]] 영천면 유동에 살던 나주 본관의 연상섭(連相燮)씨는 전설에 의하면 延씨를 잘못 기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증언한 바 있고,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갈전리에 살던 본관 불명의 연국분(連國分)씨는 당시로부터 2, 300년 전에 자신들의 선조가 중국에서 귀화해와서 살기 시작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 외국계 인물 === * [[롄성원|연승문]](롄성원) - 대만의 정치인. [*連] * [[롄샤오|연소]](롄샤오) - 중국의 바둑 기사 [*連] * [[롄잔|연전]](롄잔) - 대만의 정치인 [*連] == 燕 ([[제비]] 연) == 본관은 정평, 영평, 전주, 평주, 곡산 등 이 문헌에 전한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대성팔족]]의 하나였다. 2015년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는 20명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16명이 전주연씨에 속한다. 백제에서 연씨는 연비(燕比)라는 복성으로 표기되기도 했으며[* 제비를 표기한 것이란 가설이 있다. 앞 글자는 훈을 나타내고 뒷 글자는 음차를 나타낸 거라면 딱 맞기 때문.] 중국에서는 [[연나라]]의 성씨이다. 참고로 [[흥부전]]의 [[흥부]], [[놀부]] [[형제]]가 바로 이 성씨다.[* 그리고 [[흥부전]]의 가장 오래된 판본인 [[흥보만보록]]에서는 두 형제의 성씨가 [[장(성씨)|장씨]], 그것도 [[덕수 장씨]]로 나온다. 아마도 이후에 내용이 구전되면서 [[제비]](燕)가 나오는 이야기라는 뜻에서 연씨라는 설정이 붙었다고 추정된다. 그런가 하면 [[제비]]가 [[흥부]], [[놀부]] [[형제]]에게 박씨를 가져다 줬다고 해서 [[박씨]]라는 설정이 붙기도 한다.] == 淵 ([[연못|못]] 연) == [[고구려]]의 권신 [[연개소문]] 가문의 성씨이다. 한국에서는 완전히 소멸된 성씨이다.[[한국의 성씨/사라진 성씨]] 참고. 일본 측 기록에서는 연씨가 '이리(伊梨)' 씨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이리거세사]], 이리가수미(=연개소문)가 나온다. === 연개소문과 그의 가족 === 연개소문의 성씨인 淵씨이다. 자세한 사항은 [[연개소문#s-3.1.2|여기]] 참조. * [[연자유]] * [[연태조]] * [[연개소문]] * [[연정토]] * [[연남생]] * [[연남건]] * [[연남산]] * [[연헌충]] * [[연헌성]] * 연현은 * [[연비#s-4.2]] == 그 외 인물 == * [[연갱요]][* 연개소문하고는 상관없는 청나라 인물로 年씨이다.] [[분류:연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