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과학 연구·실험)] [목차] == 설명 == {{{+1 硏究倫理 / Research ethics}}} [[과학자]], 특히 의료 계열처럼 생명을 직접 다루어야 하는 분야에서 특히 더 중요성을 강조하는 윤리적 가치관이다. [[인체실험|인간]] 혹은 [[동물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을 할 때라든지, [[쓰레기 과학|과학자로서의 권위를 이용하여 정치적 프로파간다를 한다든지]], [[연구부정행위|논문 표절이나 위조, 날조 등 과학자로서 윤리를 저버린다든지 하는 것]]도 문제삼는다. [[과학]]을 너무 이익과 손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결과 창출 등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인간에 대한 도리를 저버렸다간 전쟁 중 생체실험이나, [[T-4 프로그램]] 같은 결과를 낳을 수 있겠다는 과학계의 반성으로 사실상 나치 전범 재판인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이후 나온 [[뉘른베르크 강령]] 때 처음 도입된 개념이다. 뉘른베르크 강령은 국제적 연구윤리 표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이 뉘른베르크 강령을 수정 보완해서 새로 만든게 [[헬싱키 선언]]이고, 미국에서 벌어진 [[터스키기 매독 생체실험 사건]]의 충격으로 [[미국 의회]]에서는 [[벨몬트 보고서]]라는 미국 자체 표준을 만들었다. 바로 이 연구윤리 개념으로 인해, [[사회과학]]자들이 그들의 연구방법론으로서 [[실험]]법을 사용하는 것에 큰 제약이 존재한다. 실험이 엄밀하고 정교하고 설득력 있다는 걸 몰라서 안 쓰는 것이 아니다. 썼다가는 난리가 나기 때문에 함부로 쓰지 못하고 입맛만 다시고 있는 것이다(…). 당장 [[심리학]]의 [[밀그램의 복종 실험]]이나 [[스탠퍼드 교도소 실험]]의 사례를 상기해 보자. 그나마 이것도 현대에 들어서 뒤늦게 강화되고 정립된 측면이 크다. 그래서 20세기 후반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나이 지긋하신 연구자들은 요즈음 하루가 다르게 연구윤리 기준이 강화되고 있다고 생경함을 하소연하기도 한다. 어떤 학생이 [[대학원]]에 입학하게 되면 매 학기마다, 혹은 한 번 이상 반드시 (적어도) 1시간 이상의 연구윤리 교육을 이수해야만 한다. 문제는, 가르치는 사람이나 배우는 사람이나 연구윤리 교육에 대해서 그냥 한 번 의무적으로 듣고 넘겨야 할 무언가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는 것. 연구윤리를 어겼다고 해서 딱히 큰 처벌도 없고 학게에서 인맥만 있으면 얼마든지 덮고넘어가기 때문에 진지하게 신경쓰는 사람은 전무하다고 보아야 한다. 정말로 연구윤리가 위반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학술적, 사회적 후폭풍을 막기 위한 열의를 보이는 사람들은 없다. 모든 학생과 연구원들이 일괄적으로 이수해야 하므로, 생물, 생명 혹은 의료와 전혀 관계 없는 순수 공학자 (예: 로봇공학)들에게도 똑같이 적용 된다. 내용을 해당 전공에 맞게 바꾸는 것도 아니고, [[의료윤리학]] 교육을 그대로 가져오다 보니, 전혀 공감도 못느낄 뿐더러 완벽한 시간낭비로 여긴다. 이는 대표적으로 [[http://edu.cdc.go.kr|질병관리본부 교육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완벽하게 [[공무원]]들 입장에서만 교육과정을 만들어놔서[* 최소한 "학계에서는 이렇다", "출판할 때 이렇게 해야 한다", "이런 건 괜찮아 보이지만 사실은 문제가 된다", 뭐 이런 내용들을 포함하려는 시도 자체가 없다시피하다. 예컨대 공학도들이 의무적인 수강을 위해 접속했는데, 생명윤리법 제정의 역사(…)를 가르친다거나 하면 뭐지? 하는 반응만을 얻게 될 것이다. 학습 동영상들에서 전반적으로 강조되는 포인트 자체가, 나라에서 관리하고 규제하는 데 있어 공무원들로서는 마땅히 신경써야 할 포인트이긴 하지만, 연구자들이 신경써야 할 포인트는 아닌 경우가 많다.] 현장 연구자들에게는 아무런 와닿는 느낌이 없는 경우가 많다. == 관련 문서 == * [[감사 연구]] (audit study) * [[공학윤리]] * [[과학기술사회학]] * [[과학을 위한 행진]] [[https://www.marchforscience.com|#]] [[http://scienceon.hani.co.kr/494296|##]] * [[뉘른베르크 강령]] * [[동물실험]] * [[문맥을 무시한 인용]] * [[문헌오염]] * [[게재 철회]] * COPE 플로우차트 * [[묻지마 연구]] * [[벨몬트 보고서]] * [[윤리학]] * [[언론플레이]] * [[연구동의서]] ([[실험동의서]]) * [[연구부정행위]] * FFP : 위조, 변조, 표절 * 부당한 중복게재 * 부정행위 조사에 대한 방해 * [[연구용역]] * 기업발주 연구용역 * [[연구윤리위원회]] (인간피험자위원회, 임상시험심사위원회) * [[연구투명성]] [[http://www.editage.co.kr/insights/transparency-in-research-and-reporting-expanding-the-effort-through-new-tools-for-authors-and|#]] * [[유령참조]] (phantom reference) [[https://retractionwatch.com/2017/11/14/phantom-reference-made-article-got-almost-400-citations|#RetractionWatch]] * [[인간복제]] * [[인체실험]] * [[재현성]] * [[키메라]] * [[방송교수]] * [[편향#s-2.4]] * [[쓰레기 과학]] * [[폴리페서]] * [[피험자]] : 피험자(subject)라는 단어는 점차 [[참가자]](participant)로 바뀌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 [[학위공장]] * [[헬싱키 선언]] * [[p-해킹]] * [[논문]] * ~~[[매드 사이언티스트]]~~ == 둘러보기 == [include(틀:사회과학 조사연구방법론)] [include(틀:과학 연구·실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version=132)] [[분류:연구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