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연모]][[분류:원작과의 차이점]] [include(틀:연모)] [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개요 == [[KBS 2TV|KBS]] [[KBS 월화 드라마|월화 드라마]] 《[[연모]]》와 그의 원작인 이소영의 만화 《연모》의 차이점을 서술한 문서. == 원작 정보 == || 역사 어디에도 남아있지 않은 숨겨진 여성 왕 휘와 그녀를 사랑한 남자 미수의 궁중 비화 로맨스 || * [[2011년]]~[[2014년]]에 [[이소영#만화가|이소영]] 작가가 잡지 [[이슈#s-3|이슈]]에서 연재한 [[https://blog.naver.com/pure_roman/130186851135|순정만화]]가 원작이다. [[예종(조선)|예종]] 후기~[[성종(조선)|성종]] 초기가 시대적 배경이다. 가상의 인물인 남장왕을 주인공으로 한 창작물이지만 주변에는 실존 인물들이 꽤 등장하고, [[성종(조선)#s-2.1|성종 초기인 수렴청정 시기]]에 기록된 실제 역사의 일화를 꽤 많이 반영하고 있다. == 주요 인물 == === [[연모/등장인물#이휘|이휘]] === * 원작 여자주인공은 [[예종(조선)|예종]]의 딸 이휘이다. 과거 [[예종(조선)|세자]]의 정비인 [[장순왕후|세자빈]]이 [[인성대군|원손]]과 쌍둥이 여아를 낳는다. 왕실의 쌍생은 불길의 징조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쌍둥이의 아버지인 세자가 남아는 살리고 여아는 죽이라고 명령하지만, 차마 자식을 죽이지 못한 세자빈은 갓난아기인 딸을 아무도 모르게 어느 절에 맡겨 살린 뒤 이 사실을 은폐한다. 그러나 3년 후 원손이 어린 나이에 죽게되자 딸을 잊지못한 세자빈은 원손의 여동생을 죽은 원손으로 위장시켜 키우다가 그해에 사망한다. * 드라마의 이휘는 이름은 원작과 동일하지만, 10대 시절에 세손이 되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원작의 캐릭터는 유약하고 미령한 왕이었지만 드라마는 문무를 겸비한 포커페이스로 성격 또한 많이 바뀌었다. === [[연모/등장인물#정지운|정지운]] === * 원작의 남자주인공은 [[경혜공주]]와 [[정종(부마)|정종]]의 아들 '''[[정미수]]'''이다. 이휘의 친할아버지가 [[세조(조선)|세조]]고 [[정미수]]의 외할아버지가 세조의 형인 [[문종(조선)|문종]]이므로, 이휘와 정미수는 6촌 사이이다. 역적의 아들은 죽임을 당해야 했기 때문에, 여장을 하고 궁에서 이름 없이 '별궁 애기씨'로 자라다가 이휘를 처음 만나게 되고 '연선'이라는 이름을 선물받는다. 그러다 궁을 떠나고 몇년 뒤 성장해서 돌아와 이휘를 호위하는 [[금군#조선|호위무사]]가 되었다가, 이휘가 신원을 복원해주며 [[형조]]정랑에 봉한다. * 드라마에서는 '정지운'이라는 이름의 가상의 인물로 각색되었다. 직책 또한 호위무사가 아닌, 일찍이 과거에 급제한 세자시강원 서연관으로 각색되었다. 따라서 원작과 거의 무관한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 [[연모/등장인물#이현|이현]] === * 원작의 [[서브 주인공]]인 [[성종(조선)|자을산군(이혈)]]과 그의 형인 [[월산군]], 이휘의 숙부 [[창원군]]은 실존인물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이다. 드라마에서는 가상의 인물 자은군(이현), [[연모/등장인물#원산군|원산군]], [[연모/등장인물#창운군|창운군]]으로 각색되었다. * 원작의 [[성종(조선)|이혈]]은 이휘를 지키기 위해, 자신의 의지로 왕이 된다. 드라마의 이현은 왕이 되는 과정이 직접 나오지는 않았지만, [[연모/등장인물#원산군|원산군]]과 [[연모/등장인물#제현대군|제현대군]] 등 왕위 계승 자격이 있는 인물들이 모두 사망하고 대비의 지명으로 왕이 된 듯하다. === [[연모/등장인물#김가온|김가온]] === * 이휘의 호위무사 [[연모/등장인물#김가온|김가온]]은 원작에는 등장하지 않는 캐릭터이다. 원작에서는 남자주인공 정미수가 이휘의 호위무사이다. 아버지가 역적으로 몰려 억울한 죽음을 당하였다는 설정이 비슷하다. === [[연모/등장인물#신소은|신소은]] === * 원작에서는 남자주인공 정미수와 혼담이 오가는 상대가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 * 드라마에서는 '신소은'이라는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원작에서는 이휘와 정미수의 관계를 눈치챈 이혈이 정미수의 혼사를 추진하지만, 드라마에서는 정지운의 아버지 [[연모/등장인물#정석조|정석조]]가 추진한다. * 또한, 원작에서 창원군에게 살해당한 여종 '고읍지'가 소은의 여종 [[연모/등장인물#잔이|잔이]]로 각색되어 등장하였다. === [[연모/등장인물#노하경|노하경]] === * 원작에서는 이휘가 왕으로 즉위한 이후에 국혼을 치르기 때문에 바로 중전이 간택되고, 지아비인 이휘가 남장여자인걸 모른 채 사랑해서 독수공방한다. 중전은 [[노사신]]의 손녀라는 점 외에 이름은 따로 언급되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이휘의 기록을 지우는 과정에서 궁인들과 함께 살해당한다. * 드라마의 노하경은 한기재 측 대신인 병조판서의 막내딸로 세자빈 초간택 장면이 나온 후 장면을 건너뛰어 14회에서 중전이 되어 등장한다. 성을 노씨로 설정한 것을 보면 원작의 설정을 어느 정도 참고한 듯 하다. 이휘가 남장여자인 것을 모른 채 외사랑을 하는 캐릭터라는 점은 원작과 동일하다. 한기재의 사병을 키우는 데 일조했다는 아버지 [[연모/등장인물#노학수|노학수]]의 역모로 폐서인의 위기에 처하지만, 이휘가 자신이 여인임을 밝히고 사과하며 중전이었던 기록을 지우고 출궁해서 살 수 있도록 해준다. === [[연모/등장인물#혜종|혜종]] === * 이휘의 아버지 [[예종(조선)|예종]]은 실제로 20살에 사망하였고, 원작에서도 휘를 남기고 요절한다. * 드라마에서는 '혜종'이라는 가상의 왕으로 설정되었고 이 배역을 맡은 [[이필모]]는 40대 후반으로 나이 설정이 달라졌다. == 그 외 인물 == * 원작은 실제 역사를 기반으로 한 픽션이기 때문에 [[한명회]], [[창원군]] 등의 악역이 사망하지 않고 역사대로 끝까지 생존한다. [[월산군]]은 왕위를 노리기는 하지만, 마지막 순간에 남자주인공 정미수가 여자주인공 이휘에게 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드라마의 [[연모/등장인물#한기재|한기재]], [[연모/등장인물#창운군|창운군]], [[연모/등장인물#원산군|원산군]]은 권선징악의 결말로 사망했다. == 주요 서사 == * 여자주인공과 남자주인공의 첫 만남부터 각색되었다. 원작에서는 이휘가 3살에 병사한 쌍둥이 오라비를 대신해 남장 세손이 된 후 궁에서 여장을 한 정미수를 처음 만나지만, 드라마에서는 10대까지 여자로 자라다가 궁녀가 된 뒤 정지운을 처음 만나게 되고, 어떤 사건으로 오라비 세손이 살해되면서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정지운과 이별하게 된다. * 연선(蓮膳)이라는 이름은 원작에서는 여자주인공 이휘가 이름을 감춘 남자주인공 정미수에게 선물했다가, 훗날 정미수가 이휘에게 돌려주는 이름이지만, 드라마에서는 처음부터 남자주인공 정지운이 여자주인공 이휘에게 선물하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 원작에서는 이휘가 왕위계승을 한 뒤 성인이 된 정미수와 재회하지만, 드라마에서는 세자시강원 스승으로 정지운과 재회한다. 그로 인해 세자 시절의 비중이 커졌다. == 결말 == * 원작은 여주인공 이휘가 죽은 것으로 알려져 연선으로 숨어서 살아가는 결말이다. 그러나, 드라마에서는 정지운이 [[연모/등장인물#대비|대비]]에게 병사로 처리되었던 담이의 신원을 살려달라 청하여 이휘는 세손이 되기 전 원래 자기 자신의 신원으로 살아가게 된다는 결말이다. == 관련 문서 == 원작 만화는 모티브가 된 실존 인물들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였지만, 드라마에서는 창작 서사의 비중이 커지면서 이름이 바뀌고 가상의 인물로 각색되었다. 아래는 모티브가 된 인물들과 관련된 문서이다. 그러나 모두 가상의 인물로 각색된 만큼 실제 역사와 다르게 전개되었고 결말 또한 달랐다. 또한 원작에 등장하지 않는 오리지널 캐릭터들은 정확한 실존 인물 모티브를 알 수 없다. * '''원작과 드라마에 등장하는 인물''' * [[인성대군]]: 이휘의 [[연모/등장인물#세손|쌍둥이 오라버니]]의 모티브가 된 인물. 어느 날 갑작스럽게 요절하고, 여자주인공 이휘가 남장을 하며 이 인물의 인생을 대신 살아가게 된다. * [[성종(조선)|이혈(자을산군)]]: [[연모/등장인물#이현|이현(자은군)]]의 모티브가 된 인물. * [[한명회]]: 이휘의 외조부인 [[연모/등장인물#한기재|한기재]]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예종(조선)|예종]]: 이휘의 부친인 [[연모/등장인물#혜종|혜종]]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정희왕후]]: 이휘의 조모인 [[연모/등장인물#대비|대비]]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장순왕후]]: 이휘의 친모인 [[연모/등장인물#빈궁|빈궁]]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월산군]]: 이휘의 사촌이자 이현의 형인 [[연모/등장인물#원산군|원산군]]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창원군]]: 이휘의 숙부인 [[연모/등장인물#창운군|창운군]]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제안대군]]: 이휘의 이복동생인 [[연모/등장인물#제현대군|제현대군]]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원작에는 등장하나 드라마에는 등장하지 않는 인물''' * [[정미수]]: 원작 만화의 남자주인공. 드라마의 [[연모/등장인물#정지운|정지운]]은 실존 인물과 관계없는 가상의 인물로 각색되었다. * [[노사신]]: 원작에서 직접 등장하지는 않지만 [[연모/등장인물#노하경|노하경]]의 조부로 언급된다. 드라마에서는 조부가 아닌 부친 [[연모/등장인물#노학수|노학수]]가 등장한다. * '''원작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혈연관계로 모티브를 추측할 수 있는 인물''' * [[안순왕후]]: 이휘의 계모인 [[연모/등장인물#중전|중전]]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청천부원군 한백륜: [[연모/등장인물#창천군|창천군]]의 모티브가 된 인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연모, version=893, paragraph=9, title2=연모/등장인물, version2=312, paragraph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