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산일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EDD200> {{{+1 '''{{{#000000 역대}}}''' [[대종상|[[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width=120]]]]}}} || ||<#FFFFFF,#191919><-5> [[파일:daejongawards.png|width=50]] || ||<#EDD200><-5> {{{#000000 '''최우수작품상'''}}} || || 제25회[br]([[1986년]]) || {{{+1 →}}} || '''제26회[br]([[1987년]])''' || {{{+1 →}}} || 제27회[br]([[1989년]]) || || [[안개기둥]] || {{{+1 →}}} || '''연산일기''' || {{{+1 →}}} || [[아제 아제 바라아제]] || ||<#EDD200><-5> || ----- [include(틀:임권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1980년 이후 제작))] ----- [include(틀:연산군 시리즈)] ----- }}} || ||<-2> {{{+1 '''연산일기'''}}} (1988)[br]燕山日記 | ''The Diary of King Yons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연산일기 포스터.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다른 포스터 ▼ [[파일:연산일기 포스터 2.jpg|width=100%]]}}}}}} || || '''감독''' || [[임권택]] || || '''각본''' || 이상현 || || '''기획''' || 김진문 || || '''제작''' || 여정호 || || '''주연''' || [[유인촌]], [[김진아(영화배우)|김진아]] || || '''촬영''' || 구중모 || || '''조명''' || 강광호 || || '''편집''' || 임권택 || || '''음악''' || 신병하 || || '''미술''' || 도용우 || || '''장르''' || 시대극 || || '''제작사''' || 풍정흥업주식회사 || || '''개봉일''' || [[1988년]] [[2월 18일]] || || '''개봉관''' || 중앙극장 || || '''OTT''' || [[유튜브|[[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70]]]] |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70]]]] | [[카카오페이지|[[파일:카카오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br][[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70]]]] | [[wavve|[[파일:wavve 로고.svg|width=70]]]] || || '''관람인원''' || 11,128명 || || '''상영시간''' || 113분 || || '''상영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25]]]] {{{#000000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임권택]] 감독의 1988년 개봉 영화. [[연산군]]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다. 같은 해에 [[연산군]]이라는 똑같은 소재를 두고 [[이혁수]] 감독의 《[[연산군(1987)|연산군]]》과 맞붙게 됐는데, 이는 과거 1961년 같은 해에 [[춘향전]]을 소재로 홍성기 감독의 《[[춘향전(1961)|춘향전]]》과 [[신상옥]] 감독의 《[[성춘향]]》이 맞붙은 사건의 재판이라 화제가 됐다.[* 특히 당시 양쪽 영화의 감독과 주연 여배우가 모두 부부 사이(홍성기-[[김지미]] vs [[신상옥]]-[[최은희(배우)|최은희]])라서 '홍춘향'과 '신춘향'의 대결이라면서 떠들썩 했다.] 기존에 연산군을 다룬 [[신상옥]] 감독의 《[[연산군(1962)|연산군]]》·《[[폭군 연산]]》(1962) 2부작이나, 요번 이혁수 감독의 《연산군》(1987)이 모두 월탄 [[박종화]]의 〈금삼의 피〉를 원작으로 하는 데 반해 이 작품은 이상현의 오리지널 시나리오다. 그러다 보니 《연산군》은 원작에 충실한 반면 《연산일기》는 [[정신분석학]]적으로 접근하여 [[모성애]] 결핍에 기인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적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또 다른 점은 기존의 연산군 역의 [[신영균(배우)|신영균]], [[이대근]]이 거칠고 투박한 풍모였다면 이 작품에서 [[유인촌]]은 섬세하지만 신경질적인 면모여서 대조를 보인다. [[전주 이씨]] 월산대군파 종회가 제작중지 가처분 신청을 내는 소동을 겪는 바람에 개봉이 늦어졌다. 이유는 연산군이 [[월산대군]]의 부인으로서 백모인 박씨를 범하는 내용이 들어있어 종중 조상을 욕되게 했다는 것. 결국 판사 배석하에 영화를 실사한 결과 이같은 내용이 없음을 확인하고 취하했다. [[이경영(1960)|이경영]]의 스크린 데뷔작으로 [[중종(조선)|중종]] 역을 맡았다. == 출연진 == * [[유인촌]] - [[연산군]] 역 * [[김진아(영화배우)|김진아]] - [[장녹수]] 역 * [[김영애]] - [[폐비 윤씨]] / [[월산대군]] 부인 박씨 역 (1인 2역) * [[한은진]] - [[인수대비]] 역 * [[반효정]] - [[정현왕후]] 역 * [[김인문]] - [[김자원]] 역 * [[이경영(1960)|이경영]] - [[중종(조선)|중종]] 역 * 윤양하 - [[성종(조선)|성종]] 역 * [[권재희(배우)|권재희]] * [[강계식]] * [[김길호]] * [[나한일]] * [[김하균]] * [[이도련]] == 줄거리 == [[성종(조선)|성종]](윤양하)의 뒤를 이어 등극한 조선조 10대 [[연산군|연산]]([[유인촌]])은 즉위 3개월 만에 접한 [[폐비 윤씨|생모 폐비]]([[김영애]])에 대한 역사 기록으로 본능적 모성 욕구에 갈등한다. 연산은 즉위 4년에 [[무오사화]]를 계기로 군주로서의 자신과, 의와 효 사이에서 방황하는 개인으로서의 위상이 무시로 혼합됨을 괴로워한다. 모성에 대한 욕구는 연산의 내외면의 지배의식이 되어 [[장녹수]]([[김진아(영화배우)|김진아]])를 비롯한 총녀들의 편애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정사는 뒷전에 밀리게 되고, 결국 즉위 10년 만에 [[갑자사화]]라는 일대의 참화를 겪게 된다. 황폐의 극대점에 이르자 뜻있는 대신들에 의해 [[중종(조선)|진성]]([[이경영(1960)|이경영]])이 [[중종반정|왕으로 옹립되고]], 연산은 2개월 후 [[교동도|교동]]에서 파란 많은 인생을 마감한다. == 수상 == * 1987년 제26회 [[대종상]] 최우수작품상 · 감독상([[임권택]]) · 미술상(도용우) · 기획상(김진문) * 1988년 * 제2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인기상([[유인촌]]) * 제8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상([[유인촌]]) [[분류:한국 영화]][[분류:1988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한국의 역사 영화]][[분류:한국의 전기 영화]][[분류:임권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