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연세대학교/학부)] [include(틀:연세대학교)] [include(틀:연세대학교의 단과대학)]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58.tinypic.com/2u8ung4.jpg|width=100%]]}}}|| || {{{#ffffff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과학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연세과학원.jpg|width=100%]]}}}|| || {{{#ffffff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과학원 }}} || [목차] == 개요 == College of Science > 진군 이과대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지구시스템과학과|| ||천문우주학과|| ||[[연세대학교/학부/이과대학/대기과학과|대기과학과]]|| [[http://science.yonsei.ac.kr|이과대학 홈페이지]] [[연세대학교]]의 [[자연과학대학|자연과학 분야 단과대학]]. 응용기술 성격이 강한 [[공학]]과 달리 이론과 증명, 기초학문연구에 집중하는 [[자연과학]]을 연구하며, 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이 많다. 과학관·과학원·첨단과학기술관·기초과학연구원(IBS) 건물을 사용하는데, 연구 공간이 늘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공계 연구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부 차원에서 [[연세대학교/국제캠퍼스|송도]]에 YSP[* Yonsei Science Park. 국제캠퍼스에 추진이 예정된 산학협력, 창업, 연구소 시설]를 조성중이므로 가까운 미래에 송도에서 RC하는 랩돌이 랩순이를 볼지도 모른다. [[파일:yic masterplan2.jpg|width=360]] === 수학과 === Department of Mathematics |||| 연희전문학교 || ||1915||경신학교 대학부 수물과|| ||1940||연희전문학교 이과|| ||1946||이학원 수학과|| |||| 연세대학교 || ||1958||이공대학 수학과|| ||1962||이공대학 이학부 수학과|| ||1977||이과대학 수학과|| [[파일:연세대학교_수학과_과잠.jpg|width=200]] [[파일:연세대학교수학과독수리.png|width=200]] 연세대학교의 [[수학과]]이다. 자비없는 절대평가로 인해 전공학점이 짜게 나오는 학과로 유명하다. 4학년이어도 점수 안나오면 가차없이 F를 때려버린다. [[연세대학교/학부#s-3|과반 FM]]: 그 중에서 제일 잘 나가는 수학 [[https://math.yonsei.ac.kr/math/index.do|학과 홈페이지]] [[https://instagram.com/math_yonsei|학생회 인스타그램]] === 물리학과 === Department of Physics |||| 연희전문학교 || ||1915||경신학교 대학부 수물과|| ||1940||연희전문학교 이과|| ||1946||이학원 물리기상학과|| |||| 연세대학교 || ||1958||이공대학 물리학과|| ||1962||이공대학 이학부 물리학과|| ||1977||이과대학 물리학과|| [[파일:연세대학교_물리학과_과잠.png|width=200]] 연세대학교의 [[물리학과]]이다. 경신학교 수물과부터 시작하여 국내 최초의 물리학과라는 역사를 갖고있다. 수학과와 마찬가지로 전공학점이 짜게 나오기로 유명하다. 특히 모 전자기학 교수의 수업같은 경우 A+을 오로지 1명만 주기로 유명하다. 과방 문에 "탈물리는 지능순"이라는 문구가 유머 아닌 유머로 붙어있었다. 현재는 떼어내어 사라진 상태. 교육과정이 매우 특이하다. * 양자역학을 듣는 데에 있어 필수적인 선형대수는 학과에 개설되지 않는다. * 공업수학 뒷부분[* 고등미적분학(2)라는 이름으로 개설된다.]에 등장하는 복소해석과 편미분 방정식은 전공 선택으로 빠져있어 중요성을 대폭 낮춘다. * 전자기학, 양자역학, 통계물리학 등의 물리학과 핵심 과목 과목들이 3학년에 '''모두 몰빵'''되어 있다. 2학년 2학기의 경우 전공필수가 일반역학(2)로 '''한 과목'''이며 사실상 필수인 전공 선택을 합해도 '''6~9학점'''에 불과하다. 따라서 수학적 기초가 충분히 쌓이지 못하거나, 언밸런스한 편람으로 3학년 때 매우 고생하는 '''사망년'''을 여과없이 그대로 경험하는 지옥을 선사한다. 심심찮게 공학과 수학을 복수전공하는 학생들을 만날 수 있다. [[연세대학교/학부#s-3|과반 FM]]: 그 중에서 가장 빠른 광속물리 [[https://physics.yonsei.ac.kr/phya/|학과 홈페이지]] === 화학과 === Department of Chemistry |||| 연희전문학교 || ||1915||경신학교 대학부 수물과|| ||1940||연희전문학교 이과|| ||1946||이학원 화학과|| |||| 연세대학교 || ||1958||이공대학 화학과|| ||1962||이공대학 이학부 화학과|| ||1977||이과대학 화학과|| 연세대학교의 [[화학과]]이다. [[연세대학교/학부#s-3|과반 FM]]: 작렬하라 화학과 파이어 [[https://chem.yonsei.ac.kr|학과 홈페이지]] === 지구시스템과학과 ===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 연세대학교 || ||1965||이공대학 이학부 지질학과|| ||1977||이과대학 지질학과|| ||1997||이과대학 지구시스템과학과|| 연세대학교의 [[지질학과]]이다. 이 학과도 학점이 염전마냥 짜기는 마찬가지. 2012년에는 A와 B를 맞은 학생 비율이 교내 최저를 기록하기도 했다. [[박진영]][* 그 JYP 박진영이 맞다.], [[이융남]]이 다녔던 학과로 당시 명칭은 지질학과. [[연세대학교/학부#s-3|과반 FM]]: 개간지템(...) [[http://geo.yonsei.ac.kr|학과 홈페이지]] === 천문우주학과 === Department of Astronomy ||1915||경신학교 대학부 수물과|| ||1940||연희전문학교 이과|| ||1946||연희대학교 이학원 물리기상학과로 승격|| ||1967||연세대학교 이공대학 이학부 천문기상학과|| ||1977||이과대학 천문기상학과|| ||1989||이과대학 천문대기학과|| ||1998||이과대학 천문우주학과|| [[파일:연세대학교_천문우주학과_과잠.png|width=200]] 연세대학교의 [[천문학과|천문우주학과]]이다. 한국인 최초의 이학박사인 [[이원철]] 박사가 연세대 수물과를 졸업한 천문학자다. 그 덕분에, 연세대학교(구 연희전문학교)에는 조선 최초로 서양식 천문학 강의가 개설되었다. ~~사실 수학, 물리, 화학 수업 전부 조선에서는 연희전문에서 최초로 개설되었다.~~ 연세대학교의 천문우주학과는 흔히 알려져있는 순수천문학 외에도 응용천문학과, 우주과학도 큰 비중을 두어 수업한다. 실제로, 광학이나 로켓, 인공위성 관련 연구를 하시는 교수님들이 상당히 많으며,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소속 대학원인 인공위성시스템학과는 [[KAI]]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포함한 항공우주 기업들의 후원을 받아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https://spacecraft.yonsei.ac.kr/spacecraft/intro/scholarship.do]]]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에서는 한국 천문학계 최초로 [[네이처]][* [[이영욱(천문학자)|이영욱]] 교수,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9061|오메가 센타우리라는 천체의 정체를 밝히며 기존의 은하 형성이론을 뒤집다(1999년 11월 4일자 ‘네이처’)]]]와 [[사이언스]][* [[이영욱(천문학자)|이영욱]] 교수,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9061|63년 동안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던 난제를 풀어 우리은하의 나이를 밝혀내다(2002년 7월 26일자 ‘사이언스’)]]]에 논문을 게시하였으며, [[이영욱(천문학자)|이영욱]], [[이석영(동명이인)#s-4|이석영]], 지명국 교수 등 많은 교수님들이 최근까지도 활발히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지명국 교수,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6152|초기 은하단에서 은하단내광 검출에 성공하여 떠돌이별의 기원을 밝혀내다(2023년 1월 5일차 '네이처')]]] 이영욱 교수의 영향으로 [[예일대]]와 인연을 가지고 있다. 많은 교수님들이 예일대에서 박사과정을 보내셨고, Y2(Yonsei-Yale) Stellar evolutionary tracks[* [[http://www.astro.yale.edu/demarque/yystar.html]]]와 같은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국내 연구기관 중에선 처음으로 [[NASA]]와 공동연구를 했다. [[이영욱(천문학자)|이영욱]] 교수님과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소속 연구팀의 주도로 [[갈렉스 자외선 망원경]]을 제작하였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1999/03/07/1999030770279.html]]] [[연세대학교/학부#s-3|과반 FM]]: 그 중에서 제일 빛나는 반짝반짝 천문우주 [[https://astro.yonsei.ac.kr/|학과 홈페이지]] [[https://astronomy.yonsei.ac.kr/|학부생 홈페이지]] === [[연세대학교/학부/이과대학/대기과학과|대기과학과]] ===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1915||경신학교 대학부 수물과|| ||1940||연희전문학교 이과|| ||1946||연희대학교 이학원 물리기상학과로 승격|| ||1967||연세대학교 이공대학 이학부 천문기상학과|| ||1977||이과대학 천문기상학과|| ||1989||이과대학 천문대기학과|| ||1998||이과대학 대기과학과|| 연세대학교의 대기과학과이다. [[연세대학교/학부#s-3|과반 FM]]: 그 중에서 내가 제일 사랑하는 폭풍대기 자세한 사항은 [[연세대학교/학부/이과대학/대기과학과]] 문서 참조. == 동아리 및 자치기구 == ★표 처리는 생명시스템대학과의 연합 동아리.[* 생명대 1,2반(시스템생물/생화학)은 2007년까지 이과대학 소속이었기 때문에 연합동아리 형식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동아리가 많다.] * 청년★(어쿠스틱기타)[* 과거에는 노래패였다] * 한얼(풍물패)[* 문과대는 한'울'이고 이과대는 한'얼'이다.] - 이리농악을 한다[* 2015년 기준 제주교대와 함께 이리농악을 전수받는 유이한 대학교 풍물패] * 가이아★(락밴드) * 이학(이과대학교지) * 이연극회(연극) * 공사랑(농구) * FC백태클스(축구) * 매쓸리츠(야구) * 페스포트(페미니즘)[* '고양이발바닥'에서 명칭을 변경하였다.] * --Four Body Dynamics(당구)--[* 유령 동아리화가 진행되다 재등록 서류 조작으로 퇴출되었다.] * --연세대학교 전산자원 봉사회★(YCV; Yonsei Computer Volunteers)--[* 과학관 1층 컴퓨터실에서 인쇄 업무를 하고 있으며, 바로 옆에 동아리방이 있었다. 2019년 이과대 컴퓨터실 폐지로 동아리가 폐지되었다.] == 연혁 == |||| 연희전문학교 || ||1915||연희전문학교 수물과|| ||1940||연희전문학교 이과|| ||1946||연희대학교 이학원 || |||| 연세대학교 || ||1950||이공대학|| ||1962||이공대학 이학부|| ||1977||이과대학|| ||2008||이과대학과 생명시스템대학 분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연세대학교/학부,version=97)] [[분류:연세대학교]][[분류:자연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