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2013년 이전 출시된 카트바디]] [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PRO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연습카트 시리즈)] [목차] || [[파일:연습카트 PRO_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연습카트 PRO.png|width=120px]] || || 외관 || == 개요 == 연습카트의 PRO 엔진 대응 카트바디이다.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연습카트 PRO || || '''획득 방법''' ||<(>골드 마블 카드 || [[카트라이더 레볼루션|레볼루션]] 업데이트로 기존의 라이센스 제도가 사라지면서 기본 카트바디로 채택되었으며 이후 2019년 1월 31일 패치로, 기본 카트바디가 [[연습카트 X]]로 변경되면서, '''2955일'''동안 함께 했던 연습카트 PRO는 더 이상 획득이 불가능되었다. 하지만 이후 유저들의 반발로 인하여 총 두번의 이벤트를 통해 별개의 카트바디로 배포를 실시했다. 2019년 3월 28일 ~ 4월 10일과 2019년 10월 10일 ~ 10월 23일, 두번에 걸쳐서 영구제로 배포했으며 이후 서비스 종료 기념으로 열린 붐힐마블 이벤트 보상으로 골드 마블 카드에서 기간제가 등장했다.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 75 || ? || ? || || '''가속력''' || 49 || ? || ? || || '''코너링''' || 725 || ? || ? || || '''부스터 시간''' || 440 || ? || ? || || '''부스터 충전량''' || 200 || ? || ? || ||<-4> '''속도''' || || '''직선 속도''' ||<-3> ?km/h || || '''부스터 속도''' ||<-3> ?km/h || || '''출발 부스터''' ||<-3> ?km/h || || '''헤어핀 감속''' ||<-3> ?km/h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 || || '''접지력''' ||<-3> ? || || '''몸싸움''' ||<-3> ? || || '''무게중심''' ||<-3> ? || R 시리즈 및 흑기사 PRO 이전까지 실질적으로 마지막으로 출시된 PRO 등급 카트바디인 만큼 의외로 PRO급 중에서는 상위의 성능을 보여준다. X 엔진 이후로 공개된 능력치를 보면 무려 [[버스트 PRO]] 보다 더 좋게 나온 부분도 있을 정도. 그외에 연타 드래프트가 매우 잘된다는 강점도 있다. 물론 PRO 등급인 이상 이걸 실전에서 써먹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카트라이더 2014]] 패치 이전과 더불어, 연카 X 이후 재 배포판에서는 파츠 장착이 가능하다. == 탑승 선수 == == 여담 == * [[연습카트]] 이후로 굉장히 오랫동안 기본 카트 바디로 자리 매김한지라 유저들 사이에서는 거의 카트계의 상징 처럼 받아들여지고 있었으며, 연카전과 같은 유저 룰을 통해서 종종 다함께 타서 주행하기도 했다. * [[카트라이더 2014]] 이전에는 마이룸에서 탈 수 없었고, 오직 게임 대기실에서만 탑승이 가능했다. * [[카트라이더 2014]] 패치 직후 카트가 1대라도 있으면 탑승하지 못했으나, 2014년 2월 6일 패치로 다시 탈 수 있게 변경되었다. * 외관 자체는 과거 라이센스 시절의 L1 채널 적용 형태를 기반으로 했다. == 관련 문서 == * [[연습카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연습카트, version=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