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질병]] ||<-2> '''{{{#fff {{{+1 연하곤란}}}[br][[嚥|{{{#fff 嚥}}}]][[下|{{{#fff 下}}}]][[困|{{{#fff 困}}}]][[難|{{{#fff 難}}}]] | Dysphagia}}}''' || || '''{{{#fff 이명}}}''' ||연하장애, 삼킴장애 || || '''{{{#fff 국제질병분류기호[br]{{{-1 ([[ICD-10|{{{#fff ICD-10}}}]])}}}}}}''' ||[[https://icd.who.int/browse10/2019/en#/R13|R13]] || || '''{{{#fff 의학주제표목[br]{{{-1 (MeSH)}}}}}}''' ||[[https://id.nlm.nih.gov/mesh/D003680.html|D003680]] || || '''{{{#fff 진료과}}}''' ||[[내과]], [[재활의학과]] || || '''{{{#fff 관련 증상}}}''' ||[[가래]], [[사레]] || || '''{{{#fff 관련 질병}}}''' ||[[뇌졸중]], [[뇌경색]] || [목차] [clearfix] == 개요 ==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상태로, 연하장애, 삼킴장애라고도 한다. 세부적으로는 물조차 삼킬 수 없는 동성 연하곤란과 고체는 못 삼키지만 액체는 삼킬 수 있는 기계적 연하곤란으로 나뉜다. 뇌경색, 암 등의 후유증으로 음식을 먹기 어렵고, 삼키더라도 [[식도]]로 안 가고 [[기도(신체)|기도]]로 갈 수 있다. 여기에 식도 협착증까지 있으면 위험도는 훨씬 올라간다. 의학적으로 연하곤란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사레]]로 오인될 수 있다. 잘못하면 질식사하거나 음식물이 폐로 넘어가 흡인성 폐렴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하임리히 요법]]을 활용하고 의사를 불러야 한다. 요새는 고령화 사회를 겨냥한 식품이나 보조식품들이 나오는데, 연하곤란 환자 전용으로 점도증진제라 하여 가루를 타면 액체가 푸딩처럼 걸쭉해지는 게 개발되었다. 이것도 못 삼키면 비위관이나 위루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