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3> {{{+2 '''연희역'''}}}[br]{{{#red '''(폐역)'''}}} || ||<-3> {{{#!folding 경성순환노선(폐지) 운행계통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html
외선순환}}}[[신촌역(경의선)|신 촌]][br]← 0.6 km || [[경성순환노선|{{{#!html
경성순환노선}}}]] || {{{#!html
내선순환}}}[[서강대역#s-3.1|서 강]][br]1.0 km → ||}}}}}} || ||<-3> [include(틀:지도, 장소=창천교회, 너비=100%, 높이=225px)][* 현재 창천교회가 있는 곳 근처 선로에 아직 플랫폼이 남아있다] || ||<-4> '''다른 문자 표기''' || || 가나 ||<-2> 延禧[br](えんき) || || 로마자 ||<-2> Enki[* '연희'의 일본어 표현으로, 발음은 '엔키'. 2000년 한국어 로마자 표기 방식으로는 'Yeonhui'이다. 대부분의 자료에서 '연희'라고 표기한다. 일부 자료에서 '연남'으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연남이라는 지명은 역 폐지 이후 1975년에서야 생겨났다. 연희라는 이름에 더 자세한 정보가 많으므로 연희역으로 등록한다.] || ||<-3> '''주소''' || ||<-3> [[경성부]] 연희면 신촌정[br](現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서울)|신촌동]]) || ||<-3> '''역 운영기관''' || || [[용산선|{{{#ffffff 용산선}}}]] ||<-2> [[조선총독부]] 철도국 || ||<-3> '''개업일''' || ||<-3> 1930년 12월 25일 || ||<-3> '''폐업일''' || ||<-3> 1939년 10월 31일 || ||<-3> '''철도거리표''' || || [[서울역|{{{#!html
경성 방면}}}]][[신촌역(경의선)|신 촌]][br]← 0.6 km || '''[[경의선]]'''[br]연 희 || [[신의주청년역|{{{#!html
신의주 방면}}}]][[수색역|수 색]][br]4.4 km → || || [[서강역#s-3.1|{{{#!html
서강 방면}}}]][[서강역#s-3.1|서 강]][br]← 1.0 km || '''[[신촌연결선]]'''[br]연 희 || [[신촌역(경의선)|{{{#!html
신촌 방면}}}]][[신촌역(경의선)|신 촌]][br]0.6 km → || [목차] [clearfix] == 개요 == 연희역은 [[경의선]]과 신촌연결선, [[경성순환노선]]에 있던 역이다. 역명은 조선시대부터 이 지역의 이름이었던 [[성저십리|연희방]]에서 유래한다. ([[http://seogi.org/170|일제강점기 당시의 열차시간표]]) 해당 지도를 보면 연람역(延藍驛)으로 보일 수 있으나 사실 연희(延禧)라고 적혀 있다. 연남(延南)이라는 지명은 연희(延禧)의 남쪽이라는 뜻이라서 南을 사용한다. 아무래도 禧자가 획이 많고 시간표의 인쇄상태가 불량하여 藍으로 착각한 것 같다. 자세히 보면 藍이 아니라 禧이다. 역 위치는 개업 당시에는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신촌리였고, 1936년에는 경성부 연희면 신촌정. 독립 이후에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서강역]]에서 1km, 신촌에서 600m 정도 떨어져 있다. [[연세대학교]] 앞의 철교를 보면 서울역 방향을 기준으로 본선 오른쪽에 공간이 있는데 그곳에 연결선 전용 철교가 따로 있었고 [[가좌역]] 쪽으로 철교 바로 앞에 역이 있었다. 다시 말해 '''연세대 바로 앞에 역이 있었다.'''[* 연세대의 모태가 바로 연희전문학교.] 역 구조는 1면 2선의 전형적인 [[간이역]] 형태였다고 한다. 이 역에서 신촌연결선이 분기하지만 선로 자체는 [[신촌역(경의선)|신촌역]]에서부터 이어져 있었다. 폐선은 1975년이라 그때까지 연세대 앞 철교는 선로가 3개였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1972년 항공사진에도 신촌역에선 경의선 2개만 나와있고 지금은 출입이 통제된 분기점 부지까지 집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해방과 전쟁통에 선로는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경성순환노선상의 다른 역들보다 가장 빠르게 폐업한(...) 역이다. 가장 빠르게 폐역이 되었지만 [[아현리역]]처럼 역 주변에 철교, 옹벽 등의 장애물이 많아 역 부지는 온전히 보전되고 있다. [[코레일]]이 의지만 가지고 있다면 역 부활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경의선]] [[신촌역(경의선)|신촌역]]이 600여미터 내에 위치해 있어서 이미 역간 거리가 지나치게 가깝다고 여겨지는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간 거리보다 더 가까운 곳에 역이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경의선에서의 부활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서울 경전철]] [[서부선]] [[연세대역]](가칭)이 연세대 앞 [[경의선]] [[철교]] 굴다리 지하에 지어질 예정인데 연희역(또는 연남역)이 부활하여 [[신촌역(경의선)|신촌역]]과 [[환승역]]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의선의 역 목록)] [[분류:193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39년 폐지된 철도역]][[분류:서대문구의 폐지된 철도역]][[분류:경의선의 폐지된 철도역]][[분류:경성순환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