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DS(Thermal desorption spectroscopy) 시료의 온도를 올리면서 시료의 표면에서 탈출하는 분자들을 관찰하는 방법. 많은 연구자들이 이 방법을 '''TPD''' (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승온탈착분석)라고 부르는데, 이 방법은 분광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레니우스식을 통해 이론적으로 유추할 수 있다. [목차] == 탈착 == 시료의 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분자나 원자는 표면에 흡착하여 에너지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시료와 분자 및 원자의 결합에너지는 흡착물질의 조합과 표면에 따라서 다른 값을 가진다. 분자나 원자가 흡착되어있는 시료의 표면을 가열하면 에너지가 전달되어 특정 지점에서 분자나 원자가 종류별로 분리된다. TDS를 통해 각 분자 및 원자의 결합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측정과 분석 == ||
<:> [[파일:wFiLO6s.jpg|width=100%]] || ||<:> [[백금|Pt]]-[[로듐|Rh]] (100) 단결정에 흡수되어 있는 일산화질소(NO)의 열탈착 스펙트럼|| TDS는 진공챔버 안의 가스를 질량분석으로 관찰하여 시료의 표면에 흡착되어있던 분자를 알아낼 수 있다. 때문에 측정 대상의 결합에너지를 모르는 상태에서 재수없으면 질량수가 겹치는 다른 분자와 구분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측정 하고자 하는 양은 피크의 높이로 알 수 있고, 흡착되어있는 총량을 알고 싶다면 스펙트럼 전체를 적분하면 된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진공|초고진공]]이상의 진공이 필요하며, 질량분석에는 사중극자 질량분석기를 주로 사용한다. 측정 중에는 시간에 따라 온도와 질량별 측정치가 나오지만 분석을 위해서는 온도에 따른 그래프로 바꿔줘야 한다. == 관련 문서 == * [[질량분석기]] [[분류:분석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