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chromatin thread}}} 염색질 섬유는 [[진핵세포]]에 존재하는 [[DNA]] 거대분자와 [[단백질]] 거대분자(및 [[RNA]])의 복합체이다. 긴 DNA 분자를 이름처럼 [[실]]과 같은 모양으로 응축한 것으로, DNA가 [[히스톤 단백질]]에 감싸져 있는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응축은 DNA를 엉키지 않게 하고 [[세포분열]] 시 DNA를 강화하고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메틸화]]나 [[아세틸화]]에 따라 응축의 정도를 달리 하여 유전자 발현과 DNA 복제의 조절을 한다. 메틸화가 된 경우 응축이 더 엄밀하게 되고 아세틸화가 된 경우에는 응축이 덜 엄밀하게 된다. 분열기에는 염색사가 더 응축하여 X자 형태를 갖추게 된다. == 분류 == DNA가 비교적 덜 응축된 염색질을 [[퍼진염색질]](euchromatin)이라고 하고 비교적 더 응축된 염색질을 [[뭉친염색질]](heterochromatin)이라고 한다. 퍼진염색질에 존재하는 유전자는 거의 전사에 참여하며, 뭉친염색질에 존재하는 경우는 침묵된다. 퍼진염색질에는 전사에 필요한 [[RNA 중합효소]]와 [[전사조절인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메틸화가 적고 아세틸화가 많은 형태를 가지지만 뭉친염색질은 그 반대의 형태를 가진다. 뭉친염색질은 일반적으로 중심절 주변에 국한되며 유전자 침묵을 하면서 DNA 손상을 복구하고 [[복제(생물학)|복제]]를 정확하게 하도록 격려하는 역할을 하지만 [[텔로미어]] 근처에서 후성유전학적으로 히스톤 수정에 관여하기도 한다. mRNA로의 [[전사(생물학)|전사]]에 참여하는 퍼진염색질과 다르게 후성유전학적인 역할을 하기에 학자들의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는 부분. == 관련 문서 == * [[염색체]] * [[염색질]] * [[전사]] * [[후성유전학]] * [[생물학 관련 정보]] [[분류:유전학]][[분류:세포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