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鹽倉驛 / Yeomchang Station}}}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이 역은 취소선 개드립이 많이 발견되는 역입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염 창'''}}} || ||<-3>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30]] || || [[개화역|{{{#!html
개화 방면}}}]][[등촌역|등 촌]][br]← 0.9 ㎞ || [[서울 지하철 9호선|{{{#!html
9호선
(910)
일반
}}}]] || [[중앙보훈병원역|{{{-3 {{{#585858,#a7a7a7 중앙보훈병원 방면}}}}}}]][br][[신목동역|신목동]][br]0.9 ㎞ → || || [[김포공항역|{{{#!html
김포공항 방면}}}]][[가양역|가 양]][br]← 2.6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fff {{{-3 9호선}}}}}}[br]{{{#ffffff '''급행'''}}}}}}]] || [[중앙보훈병원역|{{{-3 {{{#585858,#a7a7a7 중앙보훈병원 방면}}}}}}]][br][[당산역|당 산]][br]3.1 ㎞ → || ||<-3> [include(틀:지도, 장소=염창역, 너비=100%, 높이=225px)]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Yeomchang || || [[한자]] ||<-2> 鹽倉 || || [[중국어]] ||<-2> 盐仓 || || [[일본어]] ||<-2> [ruby(塩倉, ruby=ヨムチャ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대로]] 지하 631 ([[염창동]] 284-84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fff 9호선}}}]] ||<-2> [[서울시메트로9호선|[[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주식회사_CI_가로형.png|width=15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fff 9호선}}}]] ||<-2> 2009년 7월 24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9호선]] 910번.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대로]] 지하 631 ([[염창동]] 284-84번지) 소재. 강서구와 양천구 두 동네의 경계선에 걸쳐 있으며[* [[공항대로]] 자체가 강서구와 양천구의 경계이다.], 목동 자체도 원래는 강서구였다가 1988년 [[공항대로]] 이남이 [[양천구]]로 분구되면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실제가 이름과 다르게]] 돼 일어난 사태다. == 역 정보 == [[파일:external/www.metro9.co.kr/subway10_con1.gif|width=500]] 역 구조도. 역명의 유래는 역이 위치한 행정구역인 [[염창동]]에서 따왔는데, 염창이라는 지명은 과거 각지에서 소금을 실어 모았던 소금 창고(鹽倉)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강서구 최동단의 역이다. 염창동과 목동의 행정구역을 나누는 도로 지하에 있으며, 1~2번 출구는 염창동으로, 3~4번 출구는 목2동으로 뚫려있다. 2016년에는 양천구를 지역구로 하는 김경자 [[서울특별시의회|서울시의원]]이 이 역에 병기역명으로 '구목동'을 붙여줄 것을 청원했지만 기각되었다.[[https://ms.smc.seoul.kr/attach/record/SEOUL/appendix/a09/A0037490.pdf|청원에 대한 검토보고(PDF 다운로드)]] 출퇴근시간에 이 역에 [[급행]]이 진입하는 순간 엄청난 혼잡도를 찍었던 적이 있었다. 안 그래도 [[가양역]]에서 이미 혼잡해진 판국에, 염창역에서는 더 사람들이 육탄전 벌이듯이 밀고 들어온다. 출근시간대에 급행 염창→당산 구간은 혼잡도가 23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37&aid=0000055371|「최악의 지옥철 구간, 염창~당산역 혼잡도 237%…"굉장해"」, 2014-10-21, JTBC]]]로 기록될 정도로 서울 지하철에서 가장 혼잡한 구간이다. [[가양역]]에서 사람들로 가득 찬 급행열차에 염창역 승객들은 구겨 들어가고... 그래서 오전 8시 무렵의 급행 열차는 보통 사람들이 꾹꾹 눌러들어가고도 자리가 없기 때문에 다음 차를 기다리는 사람이 많다. 때문에 염창역 이후의 급행역(당산, 여의도)에서 하차하려면 [[미식축구]] 선수처럼 문을 향해 쇄도해야 간신히 내릴 수 있다. 심지어는 '내립니다!', '비켜요!'라고 큰 소리로 외쳐야 하는 경우도 있다. 또 그마저도 내리지 못해서 가끔 한 두 정거장을 더 지나쳐가는 사람들도 종종 보인다. 특히 출근시간에 당산역 방향 열차라면 그냥 내리는 것을 포기하는 것이 좋다. 더욱 놀라운건 그렇게 사람들에게 밀리고 여기저기 밟히고 해도 아무도 화를 내지 않는다는거. 악의가 없다는 사실을 모두가 잘 알고있다. 매일 겪는 일이니 어느새 적응을 하게된다고 한다. 급행을 타면 손잡이를 잡을 필요가 없다. 몇 년 사이 [[마곡지구]]에 주민들이 점점 늘어서인지 출근시간 [[콩나물시루]] 현상이 더욱 심해졌다. 이미 사람이 열차에 꽉 차서 염창에서는 급행을 못탈 정도. 그래도 어찌어찌 구겨져서 타는 사람이 있다. 그리고, 염창역 자체 일 평균 승차량도 개통 직후와 비교했을 시, 거의 두배 가까이로 뛴 것도 감안하면, 위 현상이 발생하는것이 확실히 이해가 될 만 하다. 가양~신논현 간 셔틀급행열차가 운행되면서 오전 8시 전후에는 일반/급행열차 합쳐서 시각표 상으로 10분에 5대가 지나가는 경우도 있다. 9호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서울도시가스앞역이었다. 막차 시간대에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가 1편성 있다.[* 중앙보훈병원발 염창행 막차. 열차번호는 평일 9225, 토요일/일요일/공휴일 9195] 그리고 반대로 첫차 시간대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중앙보훈병원 방면으로 1편성 있다. 그러나 모두 이역에서 주박하지않고 [[김포차량기지]]에서 입,출고한다. == 역 주변 정보 == [[서울도시가스]] 본부가 근처에 있고, 이 길을 따라 그대로 직진하면 [[안양천]]을 건너 양화 인공폭포를 볼 수 있다. (서로 반대편에 있다.) 다만 현재는 양화 인공폭포가 월드컵대교 진입로 공사로 철거된 상태며 다시 복원한다고 한다. 대한적십자사 서울서부혈액원이 근처에 있다.(등촌역과 딱 중간 즈음에 있다.) 출근 시간대에 목2동에서 목동 아파트 단지 사이에 사는 사람들이 마을버스에서 대거 하차하여 파리바게트(덕수프라자) 앞에서 염창역까지 100m 달리기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역방향으로 걸어가다간 등촌역이 나와서 봉변을 당할 수 있다.(...) * 1번 출구: 대한적십자사 서울서부혈액원, 서울도시가스, 염창이편한세상, 서울강서생활체육센터, 염창동우체국 * 2번 출구: 현대아이파크아파트,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 * 3번 출구: 목동도심소공원, 양화교 방면 * 4번 출구: 목2동주민센터, 양동중학교, 양화초등학교, 목동롯데캐슬위너아파트 == 일평균 이용객 == 염창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서울 지하철 9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9호선'''}}}]] ||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15,930명 || 19,145명 || 21,629명 || 24,010명 || 25,380명 || 26,705명 || 29,521명 || 30,735명 || 31,234명 || 31,589명 || || 2019년 || 2020년 || || 33,295명 || '''26,781명''' || *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www.metro9.co.kr/site/program/board/basicboard/list?boardtypeid=20&menuid=001003005|서울시메트로9호선 자료실]] 개통 첫해보다 2배가량 승객이 증가했다는 점이 주목할 부분인데, 9호선 급행열차의 미친 듯한 혼잡도 때문에 이탈하는 수요가 적지 않다는 점은 고려하면, 이 문제가 개선될 경우에 추가로 수요가 늘어날 여지가 있다는 점이 긍정적인 부분이다. 9호선들 중에서 8위로 상위권에 속하는 역이다. 이 역은 동쪽에는 [[안양천]]과 용왕산이 있어 평범하고 좁은 역세권을 가졌음에도 하루 평균 31,234명(2017년 기준)이 이용한다. 이것은 본 역이 9호선 급행 정차역중 [[김포공항역]]을 제외한 [[공항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유일하게 연계되는 역이기 때문이다. 9호선 자체는 염창, 등촌역을 제외하면 9호선 연선이 공항대로보다 한 블럭 북쪽의 양천로를 따라가므로 마곡-발산-등촌동 연선의 공항대로를 통한 버스 환승 수요가 염창역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 승강장 == [[파일:염창역1.jpg|width=500]] [br] [[서울 지하철 9호선]] 승강장 [[https://namu.wiki/w/%ED%8C%8C%EC%9D%BC:%EC%97%BC%EC%B0%BD%EC%97%AD1.jpg|크게보기]] [[파일:attachment/Yeomchangi.jpg|width=500]] [br] 역안내도 [[https://attachment.namu.wiki/Yeomchangi.jpg|크게보기]] 염창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4> 일반: [[등촌역|등촌]], {{{#red 급행:}}} [[가양역|가양]]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일반: [[신목동역|신목동]], {{{#red 급행:}}} [[당산역|당산]]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 완행·급행 ||[[가양역|가양]]·[[마곡나루역|마곡나루]]·[[김포공항역|김포공항]]·[[개화역|개화]] 방면|| || {{{#ffffff 하}}} || 완행·급행 ||[[당산역|당산]]·[[동작역|동작]]·[[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중앙보훈병원역|중앙보훈병원]] 방면|| == 연계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c3c6c8 '''염창역.서울도시가스(16001)'''}}}}}} {{{#!wiki style="text-align: left;" * 등촌, 목동, 강서구청, 마곡, 개화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1|{{{#ffffff 601(개화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2|{{{#ffffff 602(양천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4|{{{#ffffff 604(신월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5|{{{#ffffff 605(개화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6|{{{#ffffff 606(부천상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1|{{{#ffffff 661(부천상동)}}}]]}}}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2|{{{#ffffff 5712(가산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14|{{{#ffffff 6514(양천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23|{{{#ffffff 6623(양천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32|{{{#ffffff 6632(개화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4|{{{#ffffff 6714(양천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6|{{{#ffffff 6716(양천공영차고지)}}}]]}}} ||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26|{{{#ffc600 N26(강서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62|{{{#ffc600 N62(양천공영차고지)}}}]]}}}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60|{{{#ffffff 60(오류왕길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60-3|{{{#ffffff 60-3(대명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69|{{{#ffffff 69(검단신도시)}}}]]}}}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ffffff 70(상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2|{{{#ffffff 70-2(춘의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3|{{{#ffffff 70-3(상동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88|{{{#ffffff 88(강화터미널)}}}]]}}} || || [[직행좌석|{{{#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3000|{{{#ffffff 3000(강화터미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8000|{{{#ffffff 8000(대명항)}}}]]}}} || || [[공항버스(서울)|{{{#ffffff 공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6000|{{{#ffffff 6000(김포공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6008|{{{#ffffff 6008(인천공항)}}}]]}}}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c3c6c8 '''염창역.서울도시가스(16002)'''}}}}}} {{{#!wiki style="text-align: left;" * 당산, 여의도, 영등포, 신촌, 시청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정차한다.}}}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1|{{{#ffffff 601(혜화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2|{{{#ffffff 602(서소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4|{{{#ffffff 604(중구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5|{{{#ffffff 605(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6|{{{#ffffff 606(조계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1|{{{#ffffff 661(영등포)}}}]]}}}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616|{{{#ffffff 5616(가산동)}}}]]}}}{{{+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712|{{{#ffffff 5712(홍대입구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514|{{{#ffffff 6514(서울대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23|{{{#ffffff 6623(여의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632|{{{#ffffff 6632(당산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4|{{{#ffffff 6714(이대부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716|{{{#ffffff 6716(이대입구)}}}]]}}} || || [[심야버스|{{{#ffc600 심야}}}]]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26|{{{#ffc600 N26(중랑공영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62|{{{#ffc600 N62(면목동차고지)}}}]]}}} || || [[시내버스|{{{#ffffff 일반시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60|{{{#ffffff 60(영등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60-3|{{{#ffffff 60-3(영등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69|{{{#ffffff 69(영등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ffffff 70(당산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2|{{{#ffffff 70-2(국회의사당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부천 버스 70-3|{{{#ffffff 70-3(영등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9; font-size: .95em;" [[김포 버스 88|{{{#ffffff 88(영등포)}}}]]}}} || || [[직행좌석버스|{{{#ffffff 직행좌석}}}]]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3000|{{{#ffffff 3000(신촌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00; font-size: .95em;" [[김포 버스 8000|{{{#ffffff 8000(영등포)}}}]]}}} || || [[공항버스(서울)|{{{#ffffff 공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6000|{{{#ffffff 6000(잠실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6008|{{{#ffffff 6008(영등포)}}}]]}}} ||}}}}}}}}} ||}}} [[분류:200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9호선]][[분류:서울 강서구의 교통]][[분류:서울 양천구의 교통]][[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