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전간기]][[분류:바이마르 공화국]] Young Plan [목차] == 개요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발생한 독일의 [[전쟁배상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29년]] [[국제연맹]]이 채택한 해결안. 이미 1924년에 국제연맹은 독일의 전쟁배상금 부담을 완화시키고자 [[도스 안]]을 채택하였지만, 이조차도 문제가 많았다. 우선 도스 안으로 줄어든 부담액 조차도 독일이 감당하기에는 너무 많은 금액이라는 것이 20년대 중반이 넘어가면서 분명해졌으며 결정적인 문제로 도스 안은 독일이 부담해야 할 총액을 명시하지 않았다. 이러자 국제연맹은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였고, 결국 영 안이 채택된다. 영 안은 제안자 오언 영의 이름을 딴 것인데, [[도스 안]] 채택 당시 미국 대표자로 협상에 파견되기도 했으며, [[록펠러]] 재단의 이사 및 [[RCA#s-1|RCA]]의 사장으로 활동한 기업인이다. == 진행 == 영 안에 따라 베르사유 조약 체결 당시 1320억 금 마르크에 달했던 독일의 부담은 약 20% 정도 경감된 1210억 금 마르크 정도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납부 기한도 지정되어서 원안에 따르면 [[1988년]]에 모든 전쟁배상금을 지불하게 되어있었다. 하지만 영 안이 계획대로 진행되는 일은 없었다. 1929년 영 안이 채택된 직후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검은 목요일]]로 인하여 미국의 증시가 폭락하는 사태가 일어났고, 이에 따라 도산 위기에 빠진 미국의 금융기업들은 독일을 비롯한 유럽에 투자한 금액을 모조리 회수해버린다. 여기에 1930년으로 넘어가면서 주식시장 붕괴가 실물경제의 위기, 즉 [[대공황]]으로 번져버렸고 전 세계의 경제가 절단나버린다. 식민지를 통해 블록 경제권을 만들어 최소한 버틸수는 있었던 여타 유럽국들과 달리 얼마없던 식민지는 진작에 1차대전으로 상실해버린데다가 미국에서 유입된 달러로 경제를 지탱하고 있던 신생 [[바이마르 공화국]]에게 대공황은 말 그대로 재앙이었고 [[실업|실업률]]이 40%로 치솟는 등 독일의 경제는 파탄에 놓이게 된다. 이에 다시 한번 [[허버트 후버]] 미국 대통령의 주도 하에 전승국 사이에서 협상이 진행됐고, 배상금의 축소를 핵심으로 하는 협상안이 재도출됐지만 [[미국 의회]]에서 부결되면서 추락에 날개가 달리고 말았다. 경제가 박살난 독일은 일찌감치 채무불이행을 선언했고 1933년 이후로는 [[베르사유 조약]]의 철폐를 주장하는 [[나치당]]이 집권하면서 더더욱 배째라 모드[* 히틀러는 야당 시절에 다른 우파 세력과 함께 소위 자유법(Freiheitgesetz)이라고 불리는 법을 제정하려고 시도했었다. 이 소위 자유법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독일의 베르사유 조약 불이행을 아예 법으로 제정시켜버리자'는 것. 당시 바이마르 헌법에 의하면 독일 전체 유권자 중 10% 이상이 특정 안건에 서명하면 [[제국의회|라이히스탁]]에서 해당안건을 승인할 지 여부를 투표에 붙였어야 했는데 나치와 극우세력들은 실제로 10% 이상의 서명을 받아서 이 자유법을 라이히스탁에 상정하기도 한다. 결과는 부결.]로 나와버린다. 이에 따라 도스 안과 영 안, 더 나아가서 베르사유 체제 자체가 완벽한 실패로 돌아가게 된다.[* 1933년 이전까지 독일이 연합국에게 지불한 전쟁 배상금은 원래 요구됐던 132억 마르크의 13% 가량.] 1차대전의 배상금 문제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종결 이후 다시 논의되기 시작했고, 1953년 전승국은 [[독일 재통일|통일]] 이후에 배상금을 지불할 것을 독일에게 요구한다. 이에 따라 1990년 이후 본격적으로[* 본격적이라고 한 것은 통일 전이었던 1985년부터 지불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보상금 지불이 시작됐고 1차대전 종결 92년만인 2010년 10월 3일에 마침내 독일은 모든 보상금 지불을 완료한다. 아직 이자는 지불하고 있으며 이자까지 다 갚는 시점은 [[2020년]] 정도로 추정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