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학교에서 있었던 무서운 이야기/이야기 목록)] [[학교에서 있었던 무서운 이야기]]에 수록되어있는 과담--을 가장한 카자마선생의 세번째 개드립 제 3탄-- [[카자마 노조무]]를 세번째로 선택하면 들을 수 있는 이야기. 1990년대에 유행했던 콧쿠리상에 대한 이야기로 일본의 위저 보드같은 것이다. 카자마는 "엔젤사마, "큐피드씨"같은 이름으로 불리지만 다 같은 거라고 설명한다. 일본의 토착적인 위저 보드라고 할 수 있는 분신사바항목도 참조. 참고로 아라이 쇼지가 말해주는 [[숙박시설에 있는 의문의 4번 침대]] 이야기의 분기 중 '사신 연필'에도 관련 설명이 나온다. [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내용 == 본편 중에는 선택지가 여럿 나오지만 사실 게임의 전개에 영향을 주는 것은 거의 없고 카자마는 자신은 남들과는 다르게 진정한 콧쿠리상을 불러낼 수 있으며 여기에는 보통 사용하는 [[10엔 주화|10엔 동전]]이 아니라 [[500엔 주화|500엔 동전]]이 필요하다고 한다. 여기서 분노한 콧쿠리상이 쓰는 메시지는 제작사인 판도라 박스의 이름을 [[아나그램|거꾸로 쓴 것(...)]]. 여기서 500엔 동전이 없다고하면 일단 카자마가 자신의 10엔 동전을 쓰지만 콧쿠리상이 분노하여 제대로된 점을 칠 수 없다고하고 정말로 500엔 동전이 없는지 묻는다. 만약에 500엔 동전을 카자마에게 제공한다면 --호갱님 감사합니다--평범한 콧쿠리상을 한 다음에 카자마가 500엔 동전을 '''자기 바지 주머니 속'''에 넣는다(...). 그걸로 끝. 아니 진짜다(...). 점 내용도 다 의미없는 것들이며 다 카자마의 개드립으로만 차있는 내용이다. 그리고 주인공의 점을 끝내면 카자마와 관련된 내용으로 점을 치게되는 충격적인 내용으로 넘어가게 된다.[* 사실 페이크 선택지다. 선택해보면 '난 됐다'는 식으로 넘어간다. --아파카자였다면 나르시스트 포텐셜이 폭발했겠지--] 그 외의 선택지에서는 지우개를 강매하려고 하질 않나 계속 500엔 동전이 없다는 선택지를 선택하면 카자마답게 지우개를 주인공에게 던지기도 한다. 여주인공([[쿠라타 에미]]로 플레이할 경우에는 모처럼 점쳐줄려고 했는데 그런 식으로 나가면 자신과 데이트해주지 않으면 허락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또한 카자마의 재미도 없는 개드립이 계속되면 이야기꾼들 중 한명이 꾸벅꾸벅 조는데 카자마는 '''콧쿠리상을 보았다며''' 개그를 치고는 다음 이야기꾼으로 넘어간다.[* 이것도 콧쿠리상과 꾸벅꾸벅의 발음이 똑같은 일본어 장난.] 이걸로 엔딩을 보면 [[주인공의 후배 타구치 마유미]]의 플래그가 선다. 보는 방법은 카자마가 500엔을 달라고 할 때 순순히 500엔을 주고 하나라도 점을 치고 '이제 그만둔다'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이 콧쿠리상은 훗날 사카가미가 다른 작품에서 등장할 때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카자마 때문에 인생이 변했다고 한다. [각주] [[분류:학교에서 있었던 무서운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