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영광의 30년 (Les Trente Glorieuses)'''은 [[1945년]]에서 [[1975년]]까지 30년간 [[프랑스]]의 경제적인 호황기를 일컫는다. 한마디로 [[프랑스]]판 [[라인강의 기적]]. 시작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 그리고 끝은 [[1973년]] 1차 [[오일 쇼크]]로 널리 여겨진다. 오늘날 [[프랑스/경제|프랑스 경제]]의 중추가 되는 자동차 산업이나 프랑스의 자존심으로 꼽히는 [[콩코드]], [[TGV]], 항공우주산업 등이 이 시기의 산물이며 [[1964년]]에는 [[1870년]] 이후 처음으로 [[영국]]의 본토 GDP를 뛰어넘기도 했으니 말 다했다. 해당 명칭는 프랑스 인구학자 [[https://en.wikipedia.org/wiki/Jean_Fourasti%C3%A9|장 푸라스티에]]가 [[1979년]], 본인의 저서 "''영광의 30년, 아님 1946년에서 1975년간 보이지 않은 혁명?''"에서 처음 사용했다. 또한 푸라스티에 본인은 해당 명칭을 [[1830년]] [[7월 혁명]]이 성공한 3일 ([[7월 27일]] ~ [[7월 29일]])을 "영광의 3일 (Les Trois Glorieuses)"에서 기인했다. == 상세 == 이르게는 [[1944년]]부터 [[샤를 드골]]과 프랑스 임시정부는 미국의 [[뉴딜 정책]]에서 영감을 받은 [[지도주의]]적 경제체제를 천명하여 경제에 대한 정부 개입을 통해서 전후 복구를 해 나가게 된다. [[1940년대]] 프랑스의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은 상태였는데, 프랑스의 [[GDP]]는 전쟁 이전의 40%까지 추락한 상태였고 늦게는 [[1948년]]까지 일부 지역에서 배급제를 시행해야만 했다. --[[1954년]]까지 시행했던 [[영국]]보다는 낫다만-- 따라서 [[1940년대]] 프랑스는 [[르노]]와 같이 [[비시 프랑스]]와 [[나치 독일]]에 부역한 기업들에 대한 처벌도 겸하여 많은 기업들을 공영화했고 CGT와 같은 노동조합들과의 협력을 통해서 생산성을 높히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또한 외교적으로도 경제복구에 [[1946년]]에는 [[레옹 블룸]]을 [[미국]]으로 보내서 전시부채 탕감을 요청하는 한편 프랑스 시장을 대가로 높은 금액의 [[마셜 플랜]] 지원액도 받아냈다. 또한 완전히 실현되지는 않았으나 [[제1차 세계대전]] 전후 복구 때 했던 것과 같이 독일로부터 공업시설과 자원을 뜯어내 프랑스 전후 복구에 사용하는 '모네 계획'도 입안해서 [[자를란트]]를 [[자르 보호령]]으로, 그리고 [[루르 공업 지대]]를 [[루르 국제 통치령]]으로 분리하는데도 성공했다. [[1946년]] [[5개년 계획]]에서는 [[1950년]]까지 [[1929년]][* [[대공황]] 이전]의 생산력을 회복하고 [[1952년]]까지 1929년 생산량의 125%를 이룬다는 목표를 세워 철강, 석탄, 시멘트와 전기 생산에 주력을 다했다. 이 시기 마셜 플랜 지원은 가히 필수적이었는데 [[프랑스 프랑]]의 가치를 폭락시키지 않으면서 그 많은 개발 비용을 충당할 수가 없었기 때문. 이 시기 경제복구는 성공을 맛보긴 했으나 급격한 복구로 인해 [[인플레이션]]을 겪어 [[1948년]]까지 명목상 임금은 3배로 뛴 반면 실제, 실질 구매력은 1/3토막이 나 다른 전후 복구시기의 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프랑스인들은 낮은 임금과 긴 노동시간에 고통 받아야만 했으며 [[1947년]]에는 대규모 파업사태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렇듯 힘겹게 시작한 전후 복구였으나 [[1952년]] 뚜껑을 열어보니 기존 5개년 계획의 거의 모든 목표치들이 달성되거나 뛰어넘은 상태였으며 영국과 서독이 1954년까지 배급제를 시행한 한편 프랑스는 1949년에 벌써 식량배급제를 중단해도 될 정도로 복구가 성공적이었다. 경제가 본궤도에 오른 [[1950년]]부터는 급격한 성장을 겪으며 [[1950년]]에서 [[1975년]]간 노동자의 구매력은 170% 증가, 그리고 민간소비량은 175% 증가했다. 이 시기의 상당기간동안 프랑스는 완전고용상태에 있어 오히려 이민자들을 받아들여 부족한 인력을 충당했으며 위 구매력 증가에서 보여지듯이 프랑스인들의 삶의 질은 매우 높아졌다. 또한 1차 세계대전기부터 2차 세계대전기까지 30년 가까이 정체세였던 프랑스의 인구도 출산율이 2명대 후반~3명대 초반으로 올라갔고, 출생아수도 60만명대에서 80만명대로 올라감에 따라 19세기 후반부터 골칫덩어리였던 인구정체 현상을 단박에 해결하는데 성공하였다. 1945년 종전 직전에 프랑스 인구는 4000만이 채 안되었던것이 1975년에는 5260만명으로 대략 30%가 늘어났다. 물론 이 당시에 자식 다섯은 기본으로 낳던 타 국가들의 인구증가율과 비교해보면 초라한 수치이지만, 어쨌든 오랜고민을 해결해준 셈이다. 또한 [[금본위제도]] 하 대미국수출이, 그리고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와 [[유럽 공동체]]와 같은 유럽 경제 통합 기관들에 창설국으로 참가해서 대유럽 수출량 증가 또한 겪어 경제개발에 수혜를 보았다. 사회적으로는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돼서 [[파리(프랑스)]], [[코트다쥐르]]와 [[로렌]]과 같은 경제중심지들의 도시들은 가파른 인구 성장을 겪은 반면 농촌인구 유출로 공동화가 일어나기도 했다. 사회 전반적으로 먹고 사는게 나아지니 대중문화와 소비생활도 자연스럽게 풍요로워졌다. 문화생활에 투자할 여윳돈이 생긴, 이제는 중산층이 된 프랑스의 노동계급은 여행이나 여가를 대규모로 즐기면서 시트로엥, 르노 같은 자가용 자동차나 대규모 관광객 수용을 위한 TGV 같은 대중교통 인프라도 확충됐고, 민간 시장에선 우리에게도 익숙한 많은 프랑스제 패션, 소비제 명품들이 이 시절 기반을 다지기 시작했다.[* 물론 사실 프랑스 국내에선 예나지금이나 유명한 프랑스제 명품은 외수용이란 인식이 있었지만 어쨋든 50-60년대 이 시절 유럽 전체가 먹고살만해지면서 '고급 프랑스제'란 상품 이미지를 적극 개발한 프랑스제 명품들이 크게 성장한건 사실이다] 국민생활이 전반적으로 풍요로워지면서 세계대전 이전만 하더라도 소수 상류층의 전유품이었던 각종 고급 소비재 명품이나 고급 식문화, 연극, 무용, 예술 같은 취미도 더욱 대중적으로 보급되면서 프랑스 대중문화는 세계적 경제 패권을 쥔 미국,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일본 같은 비서구권의 대중문화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여러 분야에서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는 자체적인 경쟁력을 키울 자산과 여건이 되었다. 이렇듯 급격히 오르는 삶의 질과 경제성장의 시기였던 만큼 이 시기를 살아온 많은 현 프랑스 중장년층은 여전히 이 시기를 그리움을 가지고 바라보며 현대 프랑스 문화에 큰 영향을 끼친 시기로 여겨진다. == 관련 문서 == * [[벨 에포크]] * [[라인강의 기적]] [[분류:프랑스의 역사]][[분류:프랑스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