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영국 여인{{{#69AEBD 과}}} 공작}}}''' (2001)[br]L'Anglaise {{{#69AEBD et}}} le duc}}}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1 영국 여인과 공작 오리지널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시대극]], [[역사]], [[로맨스]], [[드라마]] || || '''감독''' ||<|2>[[에릭 로메르]] || || '''각본''' || || '''원작''' ||그레이스 엘리엇의 회고록 <프랑스 혁명 중 나의 일기(Ma vie sous la révolution)> || || '''제작''' ||프랑수아 에체게레이 || || '''주연''' ||루시 러셀, 장클로드 드레퓌스 || || '''촬영''' ||다이앤 바라티에 || || '''편집''' ||메리 스티븐 || || '''미술''' ||안토인 폰테인 || || '''의상''' ||피에르 장 라로케 || ||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Compagnie Eric Rohmer (CER), [[파테]], 프랑스 3 시네마, KC Medien || ||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파테]] || || '''개봉일'''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2001년 9월 7일 || || '''화면비''' ||1.85 : 1 || || '''상영 시간''' ||2시간 9분 || || '''제작비''' ||'''3900만 프랑''' || || '''월드 박스오피스''' ||'''$1,128,137''' || || '''북미 박스오피스''' ||'''$331,051'''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에릭 로메르]] 감독 및 각본의 2001년작 시대극 영화. 로메르 감독의 세번째 시대극 영화로, [[프랑스 혁명]] 당시 스코틀랜드의 귀부인이었던 그레이스 엘리엇이 쓴 회고록 <프랑스 혁명 중 나의 일기(Ma vie sous la révolution)>를 토대로 영화화한 작품이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6j8ZQl5_YM)]}}}|| || {{{#ffffff '''▲ 예고편'''}}} || == 시놉시스 == > 그레이스는 루이 16세와 사촌지간인 오를레앙 공작과의 연애를 청산하고 좋은 친구 사이로 지내기로 한다. > 하지만 혁명이 닥치면서 오를레앙 공작에 대한 믿음과 신의를 지키려다가 그녀는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는데... == 등장인물 == * 루시 러셀[* [[크리스토퍼 놀란]]의 [[미행(영화)|미행]]으로 주목받은 배우로, 이 작품으로 첫 주연을 맡고 이후 [[토니 에드만]]에도 조연으로 출연했다.] - 그레이스 엘리엇 역 * 장클로드 드레퓌스[* [[델리카트슨 사람들]], [[잃어버린 아이들의 도시]], [[인게이지먼트]] 등 [[장피에르 죄네]] 감독의 영화에 주로 출연했다.] - [[루이필리프 2세|오를레앙 공작]] 역 * 알랭 리볼트 - 바이런 공작 역 * 샤를로트 베리 - 플루셰리 역 * 로제트 - 팡셰트 역 * 레오나르 코비앙 - 샹스네 역 * 프랑소아 마르투레 - 뒤무리 역 * 카롤린 모린 - 나농 역 * 엘레나 두비엘 - 마담 메일러 역 == 설정 ==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lady-and-the-duke, critic=72, user=8.2)]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lady_and_the_duke, tomato=72, popcorn=67)] [include(틀:평가/IMDb, code=tt0239234, user=6.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lady-and-the-duke, user=3.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9072, presse=4.3, spectateurs=3.4)]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la-nobildonna-e-il-duca, MYMOVIES=3.00, CRITICA=X.XX, PUBBLICO=3.22)]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코드, user=3.8)]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17326,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qrnNO,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3389, light=XX.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X.XX, audience=X.XX, user=X.XX)]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35341, user=7.0)]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XX)]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MRQE, code=langlaise-et-le-duc-m100065315, user=68)]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X±)] [include(틀:평가/TMDB, code=2894-l-anglaise-et-le-duc, user=64)]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die-lady-und-der-herzog, user=6.3)] [include(틀:평가/RogeEbert.com, code=the-lady-and-the-duke-2002, user=3.0)]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 code=영화코드, user=X.XX)] > Visually stunning, The Lady and the Duke uses current technology to elegantly bring the past to life. >---- > '''시각적으로 아주 탁월한 시대극 <영국 여인과 공작>은 과거를 현재로 우아하게 재현하기 위해 현 세대의 최신 기술을 사용한다.'''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원작 도서의 일기 형식을 빌린 연극적 구성과 회화적 이미지가 특징으로, 시대극 영화임에도 당시로서는 드물게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화제가 되었던 작품. 또한 모든 장면이 실내 세트에서 촬영이 되었고, 그 배경은 화가들이 직접 그려낸 그림들을 스크린 프로세스로 배치해 촬영한 독특한 시도로 주목받기도 했다. 동시에 에릭 로메르의 우파적 가치관을 엿볼 수 있는 작품으로 평가 받기도 하는데, 극 중에서 프랑스 혁명은 통제불능의 난장판으로 묘사되는 반면에 주인공이 소속된 왕당파는 품위있게 다뤄지면서 프랑스 내에서는 프랑스 혁명을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는 점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흥행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27회 [[세자르상]] 미술상, 의상상 후보 * [[카예 뒤 시네마]]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2001년 베스트 10 중 '''2위''']] == 기타 == ## 문단 분리가 되지 않은 잡다한 정보들을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 (내용1) * (내용2) [[분류:프랑스의 역사 영화]][[분류:프랑스의 로맨스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2001년 영화]][[분류:도서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