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감비아의 대외관계)] || [[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 [[파일:감비아 국기.svg|width=100%]] || || [[영국|{{{#ffffff '''영국'''}}}]][br]''{{{#fff United Kingdom}}}'' || [[감비아|{{{#fff '''감비아'''}}}]][br]''{{{#fff Gambia}}}''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과 [[감비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감비아는 자메 대통령 시절에 잠시 [[영연방]]을 탈퇴하다가 새대통령이 당선된 이후에 영연방에 복귀했다. == 역사적 관계 == === 20세기 이전 === 16세기 후기부터 감비아를 지배한 영국과 17세기 후기부터 18세기 말까지 세네갈을 지배하던 프랑스 사이에 영토 분쟁으로 인한 갈등이 나타나자, 1889년 영국과 프랑스는 감비아 강 유역 일대를 두고 협정을 맺어 지금의 감비아 일대는 영국령이 됐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47&aid=0002191951|#]] === 20세기 === 감비아는 2차 세계대전 때 영국군을 지원하기도 했었다. 감비아는 영국으로부터 1962년에 자치권을 받았다가 1965년 2월 18일 최종적으로 독립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828469?sid=104|#]] === 21세기 === ==== 2000년대 ==== 2002년 2월 3일, 영국이 감비아, 탄자니아, 남아공, 나미비아, 이집트 등 아프리카에 대한 무기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129441?sid=104|#]] 2006년 6월 22일, 영국의 노예상 후손이 감비아에서 440년만에 노예무역에 대해 사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336462?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0095262?sid=104|#2]] 9월 23일, 감비아 총선에 참가한 영국 선거 감시단은 선거 부정이 여전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188147?sid=104|#]] 2007년 10월 6일, 국제앰네스티 소속의 미국과 영국 시민권자 1명과 나이지리아인 1명이 감비아 당국에 의해 구금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779613?sid=102|#]] 2008년 12월 30일, 감비아 법원은 영국인 선교사 부부에게 징역 1년형을 선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2456459?sid=104|#]] 2009년 11월 4일, 영국의 한 47대 백만장자가 감비아에서 만난 40대 여성과 결혼한 뒤, 여성과의 불화로 인해 화재로 사망한 사건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2178347?sid=104|#]] ==== 2010년대 ==== 2010년 6월 10일, 감비아와 영국이 합동 작전을 펼쳐 반줄 인근에서 10억달러 상당의 코카인을 압수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81&aid=0002089216|#]] 2013년 10월 2일, 감비아는 영연방을 신식민주의 기구라고 비판하며 탈퇴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514540?sid=100|#]] 2014년 3월 7일, 자메 대통령이 영어 대신에 월로프어를 쓰겠다는 의사를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797561?sid=104|#]] 8월 4일, 감비아를 출발해 영국 개트윅 공항에 도착한 70대 여성이 에볼라 의심 증상을 보이면서 사망한 일이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056672?sid=104|#]] 8월 28일, 영국의 웰컴재단은 에볼라 백신이 성공하면 감비아와 말리에서 2차 임상실험을 실시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093037?sid=102|#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0528876?sid=104|#2]] 2015년 1월 2일, 감비아에서 쿠데타 시도가 일어나자 자메 대통령은 미국과 독일, 영국이 개입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283470?sid=104|#]] 1월 12일, 자메 대통령은 영국의 쿠데타 가담설을 철회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298947?sid=104|#]] 2016년 10월 26일, 셰리프 보장 감비아 정보부장관은 IOC를 탈퇴하면서 IOC가 이라크 전쟁과 관련해 토니 블레어 전 총리를 기소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2356909?sid=104|#]] 2017년 1월 20일, 러시아, 영국, 미국 대표들도 감비아의 유혈사태를 막고 정치적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해 평화적 수단을 사용한다는데 동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7724285?sid=104|#]] 2월 14일, 감비아는 새대통령이 당선된 이후에 영연방에 재가입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034743?sid=104|#]] 2018년, [[찰스 3세]]가 황태자 시절에 가나에 이어 감비아를 방문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8896515?sid=104|#]] ==== 2020년대 ==== 2020년 3월 19일, 감비아에서는 영국에서 귀국한 감비아인 여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337932?sid=104|#]] 10월 23일, 영국에서 40대 외모를 가진 감비아 이민자 출신 10대 남성이 나이를 증명하지 못해 논란이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133915?sid=104|#]] == 문화 교류 == 감비아는 영국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서아프리카]] 국가들중에서는 [[가나]], [[나이지리아]]와 함께 [[영어권]] 국가에 속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2609386?sid=103|#]] [[영어]]가 공용어이지만, 현지 주민들은 [[월로프어]] 등의 언어들을 쓰기도 한다. 2015년 9월, BBC는 감비아에서 태어난 아이들을 연구한 결과, 6월에 태어난 아이가 9월에 태어난 아이보다 사망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642130?sid=104|#]] 2018년 10월 30일, 영국과 감비아 공동 연구진들이 개들이 훈련으로 말라리아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435426?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410821?sid=105|#2]] == 교통 교류 == 두 나라들을 잇는 취항지, 항공 노선이 존재한다. == 대사관 == 런던시에 주 영국 감비아 대사관이 존재한다. 2014년 1월 30일, 주 영국 감비아 대사관을 포함한 일부 국가의 대사관이 런던시의 땅값이 비싸자 런던시 외곽으로 대사관을 옮기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728762?sid=100|#]] == 여담 == 감비아의 대통령이었던 배로 대통령이 영국에 거주하면서 경호원으로 근무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991984?sid=104|#]] 한국 리그에서 활약한 적이 있는 감비아 출신의 [[모두 바로우]] 축구선수는 영국 프리미어리그에서 활약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872308?sid=102|#]] == 관련 문서 == * [[영국/외교]] / [[영국/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감비아/외교]] * [[영연방]] * [[영국/역사]] * [[감비아#역사|감비아/역사]] * [[영어]] / [[월로프어]] * [[이슬람교]] / [[수피즘]]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서아프리카 국가]] [[분류:영국의 대국관계]][[분류:감비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영연방]][[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분류:구 식민지-지배국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