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르완다의 대외관계)] || [[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르완다 국기.svg|width=100%]] || || [[영국|{{{#ffffff '''영국'''}}}]][br]''{{{#fff United Kingdom}}}''[br]''{{{#fff Ubwongereza}}}'' || [[르완다|{{{#fff '''르완다'''}}}]][br]''{{{#fff Rwanda}}}''[br]''{{{#fff Rwanda}}}''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과 [[르완다]]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폴 카가메]] 대통령의 집권 이후, 협력이 늘어나고 있다. 영국과 미국은 폴 카가메 대통령을 지지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32&aid=0002808506|#]]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르완다는 폴 카가메 대통령의 집권 이후, 프랑스와 벨기에와의 관계는 줄이고 영국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르완다는 폴 카가메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영연방]]에 가입하고 [[영어]]를 [[키냐르완다어]]와 함께 주요 외국어로 격상시켰다. 또한, 프랑스와의 관계 대신 영국과의 관계를 늘리고 영연방에서도 활동을 늘리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618109?sid=104|#]] 2006년에 영국에서 르완다 학살에 연루된 인물 5명이 검거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1466371|#]] 2009년 4월 8일에 BBC는 1994년 르완다 학살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있는 르완다 출신 영국 시민권자 4명에 대해 영국 고등법원이 추방시켜선 안 된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36&aid=0000019809|#]] 폴 카가메 대통령은 영국 기자와 자국의 인권 문제를 놓고 열띤 논쟁을 벌이다가 르완다 국민하고도 인권에 관한 대화를 해보라는 충고를 들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5&aid=0000463561|#]] 영국 정보기관은 르완다의 어니스트 르와무초 주영 대사에게 영국에 있는 르완다의 반정부 활동가들에 대한 탄압을 중단하라고 경고하기도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8&aid=0002091649|#]] 2012년 11월 30일에 영국 정부는 르완다가 콩고민주공화국 반군을 지원하고 있다는 보도에 따라 르완다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5964597|#1]][[https://www.voakorea.com/a/1556223.html|#2]] 2015년 6월 23일에 영국에서 르완다 스파이 총책이 검거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6596491|#1]][[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7680322|#2]] 2018년 8월 12일에 아스널 FC가 르완다를 후원하자 논란이 일어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3&aid=0003392767|#1]][[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8&aid=0002411744|#2]] 2021년 1월 29일에 영국 정부는 [[코로나19]]가 확산돼 아랍에미리트를 포함해 부룬디와 르완다를 여행 금지 대상 국가에 포함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277&aid=0004838367|#]] 2022년 4월 14일에 영국 정부가 영국에 불법입국한 아프리카 출신 이주민들을 르완다에서 머물게 하는 것을 시험중이라고 밝히자 논란이 일어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3114703|#]] 존슨 총리는 “지난 1월 1일부터 영국에 불법으로 도착한 사람들은 물론 지금 불법적으로 영국에 들어와 있는 사람들은 누구든지 르완다로 옮겨질 수 있다. 르완다는 앞으로 몇 년 동안 '''수억''' 명을 정착시킬 수 있는 수용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르완다는 그 대가로 1억2천만 [[영국 파운드]](1931억원)를 받는다.[[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1039085.html|#]] 돈보다는 르완다 인권탄압국 세탁이라고 보고 있다.[[https://m.yna.co.kr/view/AKR20220421173200099?section=international/all|#]] 5월 19일에 르완다 정부는 영국에 망명을 신청한 사람들 가운데 50명 정도가 수주 내에 도착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93401?sid=104|#]] 영국 정부가 목숨을 걸고 영불해협을 건너온 난민 신청자 등을 르완다로 보내는 계획을 강행하자 비판받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45922?sid=104|#]] == 문화 교류 == 르완다는 영국과의 교류가 늘어나면서 영어가 주요 외국어로 지정됐다. 그리고 영연방에도 가입했다. 영국의 한 자선단체가 르완다에 크리켓을 지원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129651|#]] 폴 카가메 대통령은 아스널 FC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17&aid=0003540066|#]] 2021년에 폴 카가메 대통령은 아스널 FC 개막전 완패에 대해 트위터에서 격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81&aid=0003209166|#]] == 관련 문서 == * [[영국/외교]] / [[영국-아프리카 관계]] * [[르완다/외교]] * [[영연방]] * [[영국 난민 르완다 추방 계획]]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동아프리카 국가]] [[분류:영국의 대국관계]][[분류:르완다의 대국관계]][[분류:영연방]][[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