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말레이시아의 대외관계)] || [[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100%]] || || [[영국|{{{#ffffff '''영국'''}}}]][br]''{{{#fff United Kingdom}}}''[br]''{{{#fff United Kingdom}}}'' || [[말레이시아|{{{#gold '''말레이시아'''}}}]][br]''{{{#gold Malaysia}}}''[br]''{{{#gold Malaysia}}}'' || [* 영어와 말레이어 모두 똑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과 [[말레이시아]]의 관계. 영국과 말레이시아는 [[영연방]]회원국이다. 말레이시아는 영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영연방 회원국으로써 영국과 교류가 활발하다. 영국에도 [[말레이시아인]]들이 일부 거주하고 있고 유학생들도 거주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나집 라작]] 전 총리는 영국에서 유학생활을 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379377?sid=104|#]]] == 정치 == 영국과 말레이시아는 정치체제면에서 입헌군주제에 속해 있다. 다만, 영국과 달리 말레이시아는 왕국이면서 술탄이 따로 존재하는 등 차이점이 존재한다. 영국과 달리 말레이시아는 술탄들이 5년마다 교체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196508?sid=104|#]] 영국식 내각제가 말레이시아에 도입돼 있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0510010004897|#]] [[영미법]] 체계는 말레이시아에 도입돼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3997865?sid=102|#]] 말레이시아는 영국의 영향을 받아 정치와 경제가 분리돼 있다.[[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30&CONTENTS_NO=1&bbsGbn=246&bbsSn=246&pNttSn=183725|#]] 영국의 지배를 받던 시절에 영국의 인프라도 도입되는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36&item=&no=54584|#]] 영국식 작위제도가 말레이시아에 도입돼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0520794?sid=104|#]] == 역사적 관계 == === 18세기 === 1795년부터 말레이시아는 말라카를 포함한 전역이 영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2318265?sid=004|#]] === 19세기 === [[사라와크]]는 1830년대 후반 영국인 [[제임스 브룩]]이 [[사라왁 왕국]]을 세운 적이 있었고 사바도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말레이시아는 영국의 지배하에서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말레이시아내에도 [[중국인]]들이 많이 들어왔다. 또한, [[영국인]]들도 일부는 말레이시아에 거주했다.[* 영국의 영향으로 [[영어]]도 말레이시아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영국의 지배시절에 말레이시아는 광산이 개발됐다. 그리고 벌목이 자주 이뤄지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195718?sid=103|#]] 광산업과 관련해 [[중국인]] 노동자들이 말레이시아에 많이 이주 및 정착했다. 1870년, 영국의 팜오일을 말레이시아에 들여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2738157?sid=101|#]] 말레이시아의 조지타운시는 영국의 지배시절에 영국 극동무역의 거점항구로 이용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0190009?sid=103|#]] === 20세기 === 1940년대에 [[일본]]이 말레이시아를 침략하면서 영국은 [[일본 제국]]에 전쟁을 선포했다. 말레이시아는 일본이 잠시 점령했을 때에 화교들의 피해가 매우 컸다. 이에 말레이시아에서도 일본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1945년 8월 15일에 일본은 항복하고 말레이시아도 일본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1948년에 영국이 선동법을 제정했다.[[http://kor.theasian.asia/archives/150422|#]] 1957년 8월 31일, 말레이시아는 영국에서 독립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394756?sid=104|#]] 영국에서 독립한 이후, [[싱가포르]]와 함께 말레이 연방을 결성했지만, 말레이 연방이 화교들을 견제하기 시작하면서 싱가포르는 강제로 독립되었다. [[툰 푸아드 스티븐스]]가 말레이시아로 귀화한 뒤에 사바의 총독으로 부임한 적도 있었다. 1999년 10월 12일, 한 영국인이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중국, 브루나이,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6개국 도메인을 선점해 고가에 판 사실이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477456?sid=104|#]] === 21세기 === 영국과 말레이시아는 같은 [[영연방]]회원국으로 교류가 활발한 편이다. 양국은 영연방 회원국이자 입헌군주제 국가에 속해 있다. ==== 2000년대 ==== 2001년 10월 8일, 마하티르 빈 모하맛 총리는 미국과 영국의 아프간 공격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100553?sid=101|#]] 2003년 9월 1일, 미국, 영국에 이어 말레이시아에서도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0069098?sid=101|#]] ==== 2010년대 ==== 2014년 1월 13일, 말레이시아의 축구팬이 영국으로 축구경기를 보러 갔지만, 축구경기가 취소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6/0000289630?sid=104|#]] 4월 13일, 영국 국방부는 인도양에서 실종된 말레이시아 항공기 수색을 지원하기 위해 핵잠수함을 보냈다고 밝혔다.[[https://www.ajunews.com/view/20140403154133803|#]] 8월 7일, 말레이시아에서 영국인 의대생 2명이 사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0424053?sid=104|#]] 말레이시아 여객기가 피격된 사건과 관련해 캐머런 총리는 충격과 슬픔을 느낀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020335?sid=104|#]] 영국은 말레이시아 여객기 피격 사건과 관련해 유엔 안보리 긴급 회의를 요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050589?sid=104|#]] 7월 18일,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말레이시아 여객기가 격추된 사건과 관련해 영국의 한 부부가 표를 구하지 못해 목숨을 구한 사실이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050868?sid=104|#]] 2016년 6월 8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연구진들이 말레이시아에서 높이 89m의 나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459847?sid=104|#]] 2018년, 중국의 플라스틱 쓰레기 규제로 인해 영국산 플라스틱 쓰레기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로 들어오는 경우가 증가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150401?sid=102|#]] 2019년 6월 19일, 마하티르 빈 모하맛 총리가 영국 방문중에 반유대 발언을 하자 영국내 유대인들이 반발해 항의시위를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398176?sid=104|#]] 8월 5일, 말레이시아의 리조트에서 영국인 소녀가 실종된 사건이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410937?sid=104|#]] 실종된 소녀는 사망한 채로 발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400137?sid=104|#1]][[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3064|#2]] 12월 24일, 영국에 망명한 말레이시아 출신 동성애자가 영국에 망명승인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294577?sid=104|#]] ==== 2020년대 ==== 2020년 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로 퍼지면서 양국에서 확진자가 크게 발생하는 등 피해가 크게 발생했다. 12월 22일, 말레이시아는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사와 코로나19 백신 640만회분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256381?sid=104|#]] 12월 24일, 말레이시아 보건부는 영국발 변이 코로나19 바이러스도 주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394261?sid=104|#]] 2020년 1월 20일, 영국에 거주하던 말레이시아인 소년이 멘사 회원이 되자 화제가 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1627251?sid=104|#]] 2021년 11월 27일, 영국의 업체 다이슨은 말레이시아의 아동착취 문제에 항의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전자가전업체 ATA와의 계약을 해지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233441?sid=104|#]] 2022년 10월 10일, 말레이시아의 압둘라 국왕이 [[찰스 3세]] 국왕을 만나기 위해 영국으로 떠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93668?sid=104|#]] == 경제 교류 == 말레이시아는 영국과 교류가 많은데다가 경제적인 교류도 활발하다. 영국은 말레이시아의 19번째 무역상대국이다.[[https://www.bbc.com/korean/features-62910648?xtor=AL-73-%5Bpartner%5D-%5Bnaver%5D-%5Bheadline%5D-%5Bkorean%5D-%5Bbizdev%5D-%5Bisapi%5D|#]] 말레이시아는 라텍스 시장이기 때문에 영국, 일본 등에서 진출했다.[[https://www.newspim.com/news/view/20190503000541|#]] 말레이시아는 영국, 싱가포르 등 금융중심지와 경제교류가 활발하면서도 [[이슬람 금융]]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2910517?sid=104|#]] [[브렉시트]]가 일어났을 때엔 말레이시아 경제도 영향을 받은 적도 있었다. 2003년, 영국의 다이슨사가 영국 공장을 말레이시아로 옮긴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029116?sid=104|#]] 2013년 7월 3일, 나집 라작 총리는 영국 부동산 투자를 늘린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2920320?sid=101|#]] 2018년 1월 22일, 영국 배터시 발전소가 말레이시아 국부펀드에 16억 파운드로 매각됐다.[[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80122152258279e8b8a793f7_1/article.html?md=20180122155249_U|#]] == 문화 교류 == 영국의 파인우드 스튜디오 그룹이 말레이시아에 진출해 합작회사를 만들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8001842|#]] 2011년 2월 9일, [[토니 페르난데스]] 에어아시아 회장이 대영제국 훈장을 수여받았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2/0002167453?sid=101|#]] === 언어 === 영국의 지배와 영향으로 [[영어]]는 말레이시아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0/0000009448?sid=101|#]][* 말레이시아는 국어가 [[말레이어]]이지만, 말레이시아내 다른 민족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영어도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그러다보니 말레이시아도 [[영어권]] 국가에 속해 있다.] 말레이시아내에서 쓰이는 영어는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영국식 영어]]를 바탕으로 일부 말레이어 표현, 중국어 표현과 어휘가 포함된 영어가 쓰이고 있다. 말레이시아내에선 맹글리시라고 불리고 있다. 전반적으론 영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20년 2월 1일, [[마하티르 빈 모하맛]] 총리가 학교에서 영어로 수학과 과학을 가르쳐야 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371378?sid=104|#]] === 교육 === 말레이시아는 영국의 영향을 받아 교육제도는 영국식을 운영하고 있다.[[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42750|#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298645?sid=101|#2]] 말레이시아는 영국과 학위를 공유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2465206?sid=102|#]] 그리고 영국 대학들이 말레이시아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영국의 대학 엡솜(EPSOM) 칼리지가 말레이시아에 첫 분교를 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241942?sid=102|#]] === 스포츠 === 2022년 8월 1일, 커먼웰스 게임 배드민턴 종목에서 말레이시아팀이 영국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www.ibadminto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802|#]] == 군사 교류 == 말레이시아는 영연방 회원국이기 때문에 [[영국군]]과의 교류도 활발하다. 말레이시아는 스페인, 튀르키예, 한국, 영국, 독일에서 방위제품을 수입하고 있다.[[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194903|#]] [[남중국해]]분쟁이 일어나자 말레이시아는 주변국들과 협력하면서 미국, 영국, 호주와 협력하고 있다.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영국과 말레이시아는 항공노선을 통해 자주 왕래하고 있다. 말레이시아가 관광지로 유명하기 때문에 영국인 관광객들이 말레이시아를 자주 방문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https://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10713000367|#]] 2019년 10월 2일, 말레이시아 항공이 영국항공(BA)와 코드쉐어 협정을 체결했다.[[https://www.ajunews.com/view/20191004151110003|#]] == 대사관 == 말레이시아에는 주말레이시아 영국고등판무관사무소[* 대사관에 해당된다.]가 존재한다. == 여담 == 영국의 디자이너 [[지미 추]]는 말레이시아 출신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0433647?sid=103|#]] == 관련 문서 == * [[영국/외교]] / [[영국/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말레이시아/외교]] * [[영연방]] * [[영국/역사]] * [[말레이시아/역사]] * [[영국/경제]] * [[말레이시아/경제]] * [[영국인]] / [[말레이시아인]] / [[말레이인]] * [[영어]] / [[마인어|말레이어]]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분류:영국-말레이시아 관계]][[분류:영연방]][[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