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시에라리온의 대외관계)] || [[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width=100%]] || || [[영국|{{{#ffffff '''영국'''}}}]][br]''{{{#fff United Kingdom}}}''[br]''{{{#fff Yunaytɛd Kiŋdɔm}}}'' || [[시에라리온|{{{#fff '''시에라리온'''}}}]][br]''{{{#fff Siera Liɔn}}}''[br]''{{{#fff Sierra Leone}}}''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과 [[시에라리온]]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시에라리온은 [[영국]]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했고 [[영연방]] 회원국이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이전 === 19세기에 시에라리온 일대는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당시 시에라리온 일대는 [[나이지리아]], [[가나]], [[감비아]]와 함께 영국령 서아프리카의 일부였다. 시에라리온은 영국의 지배하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기도 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2364651|#]] 1961년에 시에라리온은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났다.[[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1129010015070|#]] === 21세기 === 시에라리온은 영국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영연방]] 회원국이다. 그리고 영국과의 교류가 많다보니 시에라리온인들중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영국으로 건너가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 2000년대 ==== 2000년 5월 11일, 영국 정부는 시에라리온 내전 조짐속에서도 군대를 파병하지 않는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01901?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02658?sid=104|#2]] 8월 26일, 영국군 11명과 시에라리온군 1명이 프리타운 인근에서 반군에 의해 억류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22980?sid=104|#]] 9월 10일, 영국군이 반군 기지를 공격해 인질들을 구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25650?sid=104|#]] 10월 11일, 영국군이 시에라리온군 지휘권을 사실상 접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31158?sid=104|#]] 10월 29일, 영국 정부는 유엔의 요청에 따라 병력을 시에라리온에 파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34308?sid=104|#]] 2007년, [[토니 블레어]] 총리가 시에라리온을 방문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440374?sid=104|#]] ==== 2010년대 ==== 2010년대 중반에 시에라리온에서 에볼라가 발생하자 영국 정부는 시에라리온에 의료진들을 파견한 적이 있었다. 2014년 6월 3일, 영국 광산기업이 시에라리온에서 직원들을 철수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6942623?sid=104|#]] 8월 1일, 영국에서 개최된 시에라리온 출신 선수가 잠적하자 관계당국이 수색을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0055925?sid=104|#]] 8월 23일, 시에라리온에서 구호활동을 하던 영국인이 에볼라에 첫 감염된 사례가 발생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2514768?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084219?sid=104|#2]] 9월 11일, 에볼라에 감염되다가 완치된 영국인이 시에라리온으로 되돌아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0535284?sid=104|#]] 10월 17일, 영국 정부는 시에라리온에 구호병력을 파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6/0000336642?sid=104|#]] 11월 22일, 영국의 에볼라 민간의료 봉사단이 시에라리온으로 파견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261873?sid=104|#]] 12월 16일, 영국 보건기구는 시에라리온의 에볼라 상황이 4~6주 내에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1172061?sid=104|#]] 2015년 1월 1일, 시에라리온에 파견된 뒤에 에볼라에 감염된 간호사가 영국에서 치료를 받고 완치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332831?sid=104|#]] 1월 5일, 세이브더칠드런은 시에라리온에 파견된 영국 의료진들에 대한 보호조치를 강화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337866?sid=104|#]] 3월 11일, 영국군 의료진이 시에라리온에서 에볼라에 감염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2795850?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1308202?sid=104|#2]] 2016년 1월 15일, 영국 보건기구가 시에라리온 북부에서 사망한 여성 시신에서 에볼라를 검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8121457?sid=104|#]] 2017년 8월 16일, 시에라리온에서 산사태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하자 영국 정부는 시에라리온 정부와 협조해 지원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000639?sid=104|#]] == 문화 교류 == 시에라리온은 영국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영국식 영어]]를 주로 쓰고 있다. 다만, 시에라리온에서 쓰이는 영어는 영국식 영어를 기초로 한 영어와 크리오어라는 영어 크레올이 함께 쓰이고 있다. 영국, 프랑스, 시에라리온 연구진들이 시에라리온에서 스테노필라라는 커피나무종을 발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138767?sid=104|#]] == 교통 교류 ==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시에라리온은 항공노선을 통해 영국과 자주 교류하고 있다. 시에라리온인들중에는 항공노선을 통해 영국으로 이주하기도 한다. 2014년 8월 6일, 영국항공은 에볼라로 인해 8월말까지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노선 운항을 중단하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6001479?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090526?sid=104|#2]] 12월 31일, 영국인이 에볼라에 감염된 사례가 발생하자 시에라리온, 기니, 라이베리아 등에서 입국한 여행객들에 대한 검사를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1061617?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7331076?sid=102|#2]] == 시에라리온계 영국인 == 영국내에는 시에라리온 출신 [[영국 흑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시에라리온 출신 흑인들은 영국 흑인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리즈 트러스 내각]] 시절에 임명된 [[제임스 클레벌리]] 장관은 영국인과 시에라리온인 사이에서 태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32416?sid=104|#1]][[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322010?sid=104|#2]] == 여담 == 한국에서 최소로 유엔사 부사령관에 임명된 앤드루 해리슨 영국 육군 중장이 2000년에 시에라리온에 파견될 당시, 12일 동안 반군에 억류된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02421?sid=100|#]] == 관련 문서 == * [[영국/외교]] / [[영국/외교/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시에라리온#외교|시에라리온/외교]] * [[영연방]]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프리카 국가/서아프리카 국가]] [[분류:영국의 대국관계]][[분류:시에라리온의 대국관계]][[분류:영연방]][[분류:구 식민지-지배국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