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영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아프가니스탄의 대외관계)] || [[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100%]] || || [[영국|{{{#ffffff '''영국'''}}}]][br]''{{{#fff United Kingdom}}}''[br]''{{{#fff انګلستان}}}'' || [[아프가니스탄|{{{#fff '''아프가니스탄'''}}}]][br]''{{{#fff افغانستان}}}''[br]''{{{#fff Afghanistan}}}'' || [목차] == 개요 == [[영국]]과 [[아프가니스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 역사적 관계 == === 19세기 === 19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이 [[영국]]과 함께 아프간에 영향을 끼쳤다. 러시아 제국이 영국과 아프간은 19세기에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전쟁]]을 치렀다. 영국은 아프간의 [[바라크자이 왕조]]와 여러차례 전쟁을 치렀지만, 아프간을 지배하지 못하고 [[보호국]]으로 뒀다. 그리고 영국과 러시아 제국이 협정을 체결하면서 [[듀랜드 라인]]이 생겨났다. === 20세기 === 영국은 바라크자이 왕조와 외교관계를 맺었다. 하지만 바라크자이 왕조가 쿠데타가 일어나 [[공산주의]]국가가 되면서 양국은 갈등을 빚었다. 그리고 아프간은 [[소련]]이 침공하고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이란 [[괴뢰국]]이 생겨나자 영국은 아프간과는 외교관계를 단절했다.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이 무너진 뒤, [[탈레반 정권]]이 90년대 중반에 들어선 이후에도 영국은 탈레반 정권과의 외교관계가 없었다. 탈레반의 [[이슬람 근본주의]] 정책에 대해 영국은 탈레반 정권을 비판했다. === 21세기 === [[9.11 테러]]가 발생된 뒤, 탈레반 정권이 무너지자 영국은 아프간과 외교관계를 맺었다. 아프간에도 잠시 [[영국군]]이 주둔했다. 하지만 아프간내에서 [[탈레반]]에 의한 테러가 발생되면서 영국군은 [[해외 주둔 미군|아프간 주둔 미군]]과 마찬가지로 희생자가 생겨났다. 아프간 내전 당시에 일부 [[아프간인]]들이 영국으로 망명하는 경우가 있다. 2021년 7월 8일에 존슨 총리는 아프간내 영국군 철수가 거의 완료됐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513964|#]] 8월 3일에 주 아프간 미국 대사관과 주 아프간 영국 대사관은 칸다하르주 스핀 볼다크 지역에서 최근 자행됐다고 알려진 탈레반의 민간인 학살 의혹에 대해 전쟁 범죄라는 표현까지 동원하며 강력하게 비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574050|#]] 아프간내 탈레반 세력이 확대되고 아프간 정부군과 탈레반 사이에서 전투가 격렬해지자 영국 정부는 아프간내 영국인의 철수와 여행금지를 권고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5528222|#]] 아프간내 영국인들의 탈출을 돕기 위해 병력 600명을 파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5539936|#]] 탈레반이 아프간 영토의 대부분을 점령하고 위기가 다가오자 영국 대사는 귀국을 앞당겼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214&aid=0001142029|#]] 영국 하원 외무특별위원회 위원장인 톰 투겐트하트 하원은 미국의 아프간 철군은 수에즈 위기 이후 최악의 외교 정책 실패라고 비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2600927|#]] 8월 16일에 벤 월러스 국방부 장관은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것을 국제사회의 실패라고 진단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602172|#]]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상황에서 영국 언론들은 현지 체류 중인 자국 기자들을 보호해달라고 존슨 총리에게 촉구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5549678|#]] 영국 정부가 아프간을 탈출한 군인들로 구성된 외인부대 창설을 검토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630414?sid=104|#]] 8월 31일에 도미닉 라브 장관이 영국은 아프간을 공습할 권리가 있다고 밝혔다.[[https://news.v.daum.net/v/20210901001009853?x_trkm=tx_imp=dG9yb3NfY2xvdWRfYWxwaGE=&x_hk=NDBhOGMyNmI3YjUzNmRkNjc3|#]] MI6가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하는 테러를 막기 위해 탈레반과 비밀회동을 가졌다.[[https://m.yna.co.kr/view/AKR202109011333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영국 정부가 아프간 난민들에게 영어와 영국식 가치·문화를 특별 교육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701454|#]] 영국 보안정보국 MI5의 수장이 탈레반의 아프간 장악으로 9·11테러와 같은 사건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5&aid=0001470142|#]] 9월 17일에 영국인 등 민간인 170명이 카불 공항을 통해 아프간을 떠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10728450|#]] 탈레반 정권이 국제사회에서 인정을 받기 위해 카불에서 영국측 대표, 이란측 대표와 만나 회동을 가졌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970009?sid=104|#]] 런던 남서부의 한 운동장에서 10대 아프간 난민이 칼에 찔려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769922|#]] 2022년 2월 19일에 탈레반 정권이 미국과 영국 출신 민간인들을 구금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998986|#]] BBC가 아프간 주둔 SAS가 의심스런 상황에서 비무장한 수감자들을 살해했다고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99928?sid=104|#]] 2023년 1월 6일, 영국의 해리 왕자가 아프간전 참전 당시에 탈레반 대원 25명을 사살했다고 밝히자 탈레반이 반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78397?sid=104|#]] == 대사관 == [[카불]]에는 원래 주 아프간 영국 대사관이 존재했지만, 전술했다시피 2021년 8월 15일부로 탈레반이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아프간 전역을 점령]]하자 철수했다. [[런던]]에는 주 영국 아프간 대사관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영국/외교]] * [[아프가니스탄/외교]] * [[영국/역사]] * [[아프가니스탄/역사]] *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 [[듀랜드 라인]] *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서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중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분류:영국-아프가니스탄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