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덕군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덕군)] [include(틀:영덕군의 교통)] [목차] [clearfix] == 철도 == 일제강점기 말기에 [[동해선]]([[동해중부선]])을 부설할 계획이 있었고 노반까지 남아있었지만 일제의 패전으로 인해 공사가 중단되었다. 이후 지지부진했던 재부설 계획이 70년이 넘는 세월 끝에 결국 마무리되었고, 2018년에 이르러서야 [[동해선]]이 개통되어 영덕군 동부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다. 2018년 1월 25일 오후 [[동해선]] 포항~영덕 구간 개통식을 영덕역에서 가졌으며, 영업은 다음날인 26일부터 개시하였다. [[http://news.joins.com/article/22318523|개통식 관련 기사]] [[KTX]]가 정차하는 [[포항역]]을 출발해 [[장사역]], [[강구역]], [[영덕역]]에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영해역]], [[병곡역]]을 지나 [[강원도]] [[삼척시]]의 [[삼척역]]까지의 공사가 진행중인데 영덕역 북쪽 구간이 완공되면 [[부전역(동해선)|부산]]부터 영덕을 지나 [[강릉시]]까지 동해선 철도가 쭉 이어질 예정이다. 남쪽으로도 [[모량역]]부터 [[경주역]]을 지나 [[태화강역]]까지 이어져서 최종적으로는 동해선의 실질적인 종점인 [[부전역(동해선)|부전역]]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개량 중이다. 동해선 외에도 김천에서 의성을 거쳐 영덕을 이어주는 [[경북내륙선]]을 장기계획으로 추진 중이다. == 도로 == === 고속도로 === 바로 윗 동네인 [[울진군]]과 마찬가지로 2000년대까지만 해도 수도권과의 교통이 상당히 불편한 축에 속했다. 영덕까지 통하는 고속도로가 없어서 수도권에서 영덕까지 오려면 [[중앙고속도로]]를 타고 [[안동시|안동]]까지 온 뒤 안동부터 영덕까지는 [[34번 국도]]를 타야 했는데, [[태백산맥]]을 통과하는 만큼 선형이 불량하여 소요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렸다. 4시간은 기본이고, 도로 사정에 따라 '''4시간 반 ~ 5시간'''까지 걸리기도 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안동까지 2시간이 걸린다면, 안동에서 고속도로를 나와 영덕까지도 '''똑같이 2시간이 걸렸다.''' 그러다 [[2016년]] [[12월]] [[서산영덕고속도로]]의 잔여구간인 상주-영덕 구간이 개통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해당 항목에도 나와 있지만, 소요시간이 기존 대비 최소 30분에서 1시간 이상 줄어들었다. 영덕군은 고속도로 개통의 가장 큰 수혜자라고 할 수 있다.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충청도]]-[[전라도]]에서도 운행 시간이 단축되어 관광객들이 엄청나게 증가했다. [[http://www.gyotongn.com/news/articleView.html?idxno=171229|#]] === [[국도]] === 포항과 울진을 연결하며 남북으로 관통하는 [[7번 국도]]와 서쪽으로 진보, 안동 방면으로 갈 수 있는 횡단도로인 [[34번 국도]]가 있다. * [[7번 국도]]: [[포항시]]에서 북상하여 남정, 강구, 영덕, 축산, 영해, 병곡 등 동해안에 접한 모든 읍면을 관통하여 [[울진군]]으로 넘어간다. 포항~영덕 구간이 왕복 4차로로 개통된 이후 그 이북 구간은 [[티스푼 공사]]로 악명이 높았지만 드디어 [[2010년]]에 전구간 왕복 4차로 이상으로 개통되었다. 다만 7번 국도라고 동해안에 바싹 붙어 가는 것은 아니고, 포항시~강구항 구간과 고래불해수욕장에서 울진으로 넘어가는 구간만 그렇다. * [[34번 국도]]: [[청송군]]에서 넘어와 지품면을 거쳐 영덕읍내에서 7번 국도와 만나면서 끝난다. [[태백산맥]]을 넘어가니만큼 상당히 험한 도로이며,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으로 통행량이 감소했다. 황장재 및 지품면 소재지 부근 구간 선형 개량 중이다. === 지방도 === [[20번 지방도]], [[69번 지방도]], [[914번 지방도]], [[918번 지방도]], [[920번 지방도]], [[930번 지방도]]가 있다. == 버스 == === 시외버스 === [[고속버스]]편을 이용할 때에는 인근의 [[안동시]]나 [[포항시]]를 찾는 것이 편리하다. [[시외버스]]는 [[대구광역시]]나 [[포항시]], 울진 같은 근거리는 많이 다니는 편이고, [[안동터미널|안동]]을 경유해 [[서울특별시|서울]]로 오가는 시외버스도 [[시외버스 동서울-영해,영양,주왕산|동서울행]] 기준으로 거의 1시간 간격으로 있다. [[시외버스 서울경부-안동|서울경부행]] 고속버스도 있으나 1일 3회가 전부다. 시외버스를 이용하고 싶으면 관내의 [[영덕터미널]]이나 [[강구시외버스터미널]], 그리고 [[영해버스터미널]]을 이용하면 좋다. 본래 독자적이었던 2개의 지역이 합쳐진 곳이라서 북쪽의 영해면 소재지인 성내리 지역도 꽤 규모가 있는 지역이다. 이 때문에 영해에도 따로 시외버스터미널이 있고, 영덕과 영해를 오가는 버스는 10~30분 간격으로 다닌다. 영덕보다는 떨어지지만 영해를 거쳐가거나 종착지로 삼는 버스도 꽤 있는 편이다. === 농어촌버스 === [[영덕버스]]가 관내 [[농어촌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기본요금은 일반인 1,300원(카드 1,200원)이며, 군계내에선 기본요금만 수수하는 [[농어촌버스 단일요금제|단일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군계를 넘는 노선은 진보행 [[영덕 버스 190, 191, 192|190번, 191번, 192번]], 영양행 [[영덕 버스 201|201번]]만 2,600원을 징수하며, 후포행 [[영덕 버스 232, 236|232번, 236번]]은 1,300원을 징수한다. == 항구.어항 == *연안항 : 강구항 *국가어항 : 구계항, 대진항, 축산항 *지방어항 : 경정항, 노물항, 백석항, 병곡항, 부경항, 창대항(6개소) *어촌정주어항 : 대부항, 대진1항,대진3항, 사진2항, 하저항(5개소) *소규모어항 : 경정2항, 경정3항, 금곡항, 금진1항, 금진2항, 남호항, 대부항, 대탄항, 부흥항, 사진1항, 사진3항, 삼사항, 석리항, 오보항, 원척항(15개소) 총계 : 30개소 == 헬리콥터 == 1989년, [[울릉군]]과 영덕 삼사해상공원을 오가는 헬기 노선이 개통되기도 했으나 개통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울릉도 관광 헬기 추락 참사|헬기 추락 사고]]로 사라졌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덕군, version=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