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영도구의 법정동)] ||<-4> '''[[부산광역시|{{{#000000,#dddddd 부산광역시}}}]]의 [[자치구|{{{#000000,#dddddd 자치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영도구 CI.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1 영도구}}}'''[br]影島區[br]{{{-1 Yeongdo-gu}}}}}}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광역시 영도구, 너비=100%, 높이=100%)]}}} || ||<-2> '''구청 소재지''' ||<-2> 태종로 423 (청학동) || ||<-2> '''광역자치단체''' ||<-2> [[부산광역시]] || ||<-2> '''하위 행정구역''' ||<-2> 11[[동(행정구역)|동]][* 21개 [[법정동]], 11개 [[행정동]]] || ||<-2> '''면적''' ||<-2> 14.20㎢ || ||<-2> '''인구''' ||<-2> 106,701명[* 2023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원도심(부산)|원도심]]에서 인구가 제일 많다 2위는 [[서구(부산광역시)|서구]], 3위는 [[동구(부산광역시)|동구]], 4위는 [[중구(부산광역시)|중구]]이다.] || ||<-2> '''인구밀도''' ||<-2> 7,844.08명/㎢ || ||<-2> '''구청장'''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기재(1957)|김기재]] {{{-2 (초선)}}} || ||<|2><-2> '''구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4석[* 영도구 가선거구 (남항동, 영선제1동, 영선제2동, 신선동, 봉래제1동, 봉래제2동, 청학제1동) : 이경민 [br] 영도구 나선거구 (청학제2동, 동삼제1동, 동삼제2동, 동삼제3동) : 최찬훈, 서승환 [br] 비례대표 : 김은명]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3석[* 영도구 가선거구 (남항동, 영선제1동, 영선제2동, 신선동, 봉래제1동, 봉래제2동, 청학제1동) : 김지영, 신기삼 [br] 영도구 나선거구 (청학제2동, 동삼제1동, 동삼제2동, 동삼제3동) : 김기탁]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2석[* 영도구 제1선거구 (남항동, 영선제1동, 영선제2동, 신선동, 봉래제1동, 봉래제2동, 청학제1동) : [[안성민]] (4선) [br] 영도구 제2선거구 (청학제2동, 동삼제1동, 동삼제2동, 동삼제3동) : [[양준모(정치인)|양준모]] (초선)] || ||<-2> [[중구·영도구|{{{#fff '''국회의원'''}}}]]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황보승희]] {{{-2 (초선)}}} || ||<|4> '''상징''' || '''구화''' ||<-2> [[동백꽃]] || || '''구목''' ||<-2> 해송(곰솔) || || '''구조''' ||<-2> [[갈매기]] || || '''구가''' ||<-2> [[http://www.yeongdo.go.kr/00492/00550/00557.web|영도찬가]] || ||<-2> '''지역번호''' ||<-2> '''051''' || ||<-4> [[http://www.yeongdo.go.kr/yeongdo.web|[[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facebook.com/happy.yeongd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eongdonews, 크기=23)] | [[https://blog.naver.com/yeongdonew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신선바위1.jpg.small.jpg]] [[파일:도개사진3.JPG.small.jpg]] [[부산광역시]]의 남부에 위치한 [[자치구]]. 동으로는 부산만, 서로는 [[서구(부산)|서구]], 남으로는 [[남해]]를 통해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시(나가사키)|쓰시마시]], 북으로는 [[중구(부산)|중구]]와 [[남구(부산)|남구]]와 접한다. 1957년 구제(區制) 실시로 영도 지역을 관할로 하는 영도구를 설치하였다. 별칭은 '[[영]][[아일랜드(동음이의어)#s-3|아일랜드]]'('영'의 영어표기 'Young'[* '영'의 영어표기로 'young'이 널리 쓰이긴 하나, 올바른 표기는 'yeong'이다.]+'도'의 뜻인 Island가 합쳐진 일종의 [[언어유희]])[* 다만 영도구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고령층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23년 10월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영도구 인구의 31.4%가 65세 이상이었는데, 부산광역시 16개 시군 가운데 가장 고령 인구가 많다. 2위인 중구(30.39%)와는 1.01%p 차이가 난다.] 동해안과 남해안을 아우러 이르는 섬이기도 하며 면적은 [[여의도]]의 3~5배. 도심 상권인 남포동과 가깝게 위치하고 있지만, 부산 사람들에게는 묘하게 외곽으로 분리된 느낌을 주는 동네다. [[섬]]인데다가 부산 16개 구/군 중에서 유일하게 [[지하철]] 노선도 없고 [[태종대]] 같은 바닷가 갈 일이 아니면 좀처럼 접할 수 있는 게 없는 동네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섬 단위의 행정구역들 중에서 유일하게 [[구(행정구역)/대한민국|구]] 단위이기도 하다.[* 2026년에 예정대로 [[영종도]]가 영종구(가칭)로 분구된다면 하나 더 늘어나게 된다.] 우리나라의 행정구역들 중 섬 단위의 지자체들이 총 10곳인데 [[제주특별자치도]]는 [[특별자치도]], [[거제시]]는 유일하게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고 나머지들은 죄다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전라남도]]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경상남도]] [[남해군]], [[경상북도]] [[울릉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이다. == 역사 == [[신라]] 때부터 [[조선시대]]까지는 [[절영도]](絶影島)라고 불렀다.[* [[삼국지]] 미디어에서 [[조황비전]]과 함께 명마로 자주 등장하는 [[절영]]과 같다.] 과거 [[영도]]에는 나라에서 경영하는 국마장이 있었는데, 절영도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이곳에서 자란 [[말(동물)|말]]은 워낙 빨라 달리면 [[그림자]](影)가 끊어져(絶) 보이기 때문에 절영도라고 했다고 한다. 과거에는 영도가 지금처럼 시가지로 꽉 차있지 않았고 초지가 넓었으며 말 키우는 데 방해되는 맹수도 없고[* 한반도 본토의 산에는 [[호랑이]]가 살았다.] [[서라벌]]에서 가깝기 때문에 말을 키우기 좋은 곳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삼국사기]] 열전 [[김유신]] 조에는 [[신라]] 33대 [[성덕왕]]이 [[삼국통일]]을 이룬 김유신의 공을 치하해 김유신의 손자 [[김윤중]]에게 절영도 명마 한 필을 선물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려사]]와 [[동국여지승람]]에도 926년에 [[후백제]][[왕]] [[견훤]]이 [[고려]] [[왕건|태조 왕건]]에게 절영도산 명마 한 필을 선물했다는 기록도 있다. 지금의 영도구는 [[임진왜란]] 이후 [[공도]] 정책에 따라 일시적으로 [[무인도]]가 되어 조선시대까지 별다른 지명 없이 동래부 소속의 부속도서로 존재했으나, 1881년에 절영도진이 설치되었다. 영도구에 있는 지명의 상당수는 1885년 절영도 첨사를 지냈던 임익준이 [[중국]]의 [[전설]]에 등장하는 장소를 따서 지었다. 섬 중앙에 우뚝 솟은 [[봉래산(부산)|봉래산]]부터 시작해서 [[영선동]], [[신선동]], [[봉래동(부산)|봉래동]] 등이 그 예. [[독립협회]]가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를 막았다는 내용으로 [[근현대사]] [[교과서]]에도 등장한다. [[일제강점기]]에 [[부산항]] 일대가 개발되면서 점점 도시화되었고, 일본인들은 '말을 키우는 목장의 섬'이라는 뜻의 마키노시마([[牧]]ノ島)[*목도]라고 불렀다. 1934년 [[영도대교]]의 개통으로 교통이 편리해져 부산 시가지의 일부가 되었으며, 해방 이후 [[행정구역]]을 조정하면서 '절'자가 빠지고 영도로 바뀌었다. 국내에서 최초로 근대적인 [[조선소]]가 생긴 곳이 영도. 일제강점기 때 [[미쓰비시 그룹|미쓰비시]]사가 1937년 7월 10일 부산 영도에 '''조선중공업주식회사'''(현 [[HJ중공업]])를 설립. 1938년 3,000톤 급 건조대 2기, 6,000톤 급 도크를 갖추면서 본격적으로 조선업을 시작했다. [[6.25 전쟁]] 당시 영도구 태종대에서 첩보부대인 [[영도유격대]]가 창설되어 여기에 본부를 두었다. 또한 최후방어선 지역이었기에 피난민들이 영도로 대거 몰렸고, 이때문에 1950~60년대생 유명인들의 출생지나 성장지가 영도인 경우가 꽤 많다. 대표적인 인물이 [[문재인]].[* 다만, 문재인의 본래 출생지는 [[거제시]]이고, 유년기에 가족들과 이주해 살았던 곳이 영도구였다.] 이렇게 인구가 급증하자 1951년 9월 1일 영도출장소(影島出張所)가 설치되었는데 행정편의상 절(絶)자를 빼고 영도(影島)라고 하였다. 1957년 부산시에 [[구(행정구역)/대한민국|구(區)제]]가 최초로 실시될 당시 설치된 6개 구 중 하나. * 1896년 : 행정구역 개편으로 13부제가 실시되어 동래군 사중면[* 동삼동·청학동. 동삼동의 경우 상구룡리와 하구룡리로 나눠져 있었다.]·사하면[* 현 남항동·대교동·대평동·봉래동·신선동·영선동. 당시에는 이들 동네가 전부 영선리였다.] 관할이 됨. * 1910년 10월 1일 : 동래부에서 부산부로 개칭. * 1947년 10월 1일 : 일본식 동명을 한국식 동명으로 개정. * 1951년 9월 1일 : 부산시 영도출장소 설치. * 1957년 1월 1일 : [[구(행정구역)/대한민국|구(區)제 실시]]로 영도출장소가 영도구로 승격, 영선동이 영선1·2가동과 영선3·4가동으로 분리. * 1959년 : 영선1·2가동이 영선제1동으로, 영선3·4가동이 영선제2동으로 개칭. * 1966년 1월 1일 : 신선제2동의 일부가 신선제3동으로 분리. * 1970년 7월 1일 : 청학동이 청학제1동과 청학제2동으로 분리. * 1979년 8월 8일 : 봉래제3동의 일부가 봉래제4동으로 분리. * 1982년 5월 1일 : 법정동 경계조정으로 영선동3가의 일부가 신선동3가로 편입. * 1984년 1월 1일 : 법정동 경계조정으로 신선동3가의 일부가 영선동4가로 편입. * 1985년 12월 1일 : 동삼동이 동삼제1동과 동삼제2동으로 분리. * 1994년 7월 11일 : 동삼제1동의 일부가 동삼제3동으로 분리. * 1998년 10월 1일 : 남항동, 대교동, 대평동이 남항동으로 합병, 봉래제1동, 봉래제2동이 봉래제1동으로 합병. * 2007년 1월 1일 : 봉래제3동과 봉래제4동이 (신)봉래제2동으로, 신선제1~3동이 신선동으로 합병. 봉래동과 신선동은 언제 최초로 분동되었는지는 기록이 없어서 확실히 알 수 없다. == 인구 == || [[파일:영도구 CI.svg|width=50]] '''[[영도구|{{{#000 부산광역시 영도구}}}]]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61.75%,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54,3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74.17%,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85,4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86.47%,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216,1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85.24%,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213,0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84.10%,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10,2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81.80%,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204,5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83.5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08,8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73.8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84,4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65.18%,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62,9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58.7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46,7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51.75%,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29,3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45.3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13,3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42.6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1월 106,70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92.607%, #888 0%, #888 100%, #AAA 0%)" {{{#fff 동삼제1동 27,7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56.023%, #888 0%, #888 100%, #AAA 0%)" {{{#fff 청학제2동 16,8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35.18%, #888 0%, #888 100%, #AAA 0%)" {{{#fff 남항동 10,5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29.847%, #888 0%, #888 100%, #AAA 0%)" {{{#fff 동삼제3동 8,9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25.203%, #888 0%, #888 100%, #AAA 0%)" {{{#fff 영선제2동 7,5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24.697%, #888 0%, #888 100%, #AAA 0%)" {{{#fff 신선동 7,4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24.617%, #888 0%, #888 100%, #AAA 0%)" {{{#fff 봉래제2동 7,3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20.967%, #888 0%, #888 100%, #AAA 0%)" {{{#fff 봉래제1동 6,29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18.443%, #888 0%, #888 100%, #AAA 0%)" {{{#fff 청학제1동 5,5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16.443%, #888 0%, #888 100%, #AAA 0%)" {{{#fff 동삼제2동 4,9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12.393%, #888 0%, #888 100%, #AAA 0%)" {{{#fff 영선제1동 3,718명}}}}}} || || {{{-2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 || === 행정동별 인구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남항동|{{{#000 남항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5e19 15.557%, #2976c3 0%, #2976c3 38.297%, #18ac5e 0%, #18ac5e 85.823%, #AAA 0%)" {{{#fff 1966년 30,038명 (대교동 5,445명 + 대평동 7,959명 + 남항동 16,9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5e19 14.3%, #2976c3 0%, #2976c3 35.82%, #18ac5e 0%, #18ac5e 83.689%, #AAA 0%)" {{{#fff 1970년 29,291명 (대교동 5,005명 + 대평동 7,532명 + 남항동 16,7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5e19 13.131%, #2976c3 0%, #2976c3 33.329%, #18ac5e 0%, #18ac5e 83.76%, #AAA 0%)" {{{#fff 1975년 29,316명 (대교동 4,596명 + 대평동 7,069명 + 남항동 17,65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5e19 12.98%, #2976c3 0%, #2976c3 35.406%, #18ac5e 0%, #18ac5e 88.803%, #AAA 0%)" {{{#fff 1980년 31,081명 (대교동 4,543명 + 대평동 7,849명 + 남항동 18,6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5e19 11.797%, #2976c3 0%, #2976c3 32.96%, #18ac5e 0%, #18ac5e 78.754%, #AAA 0%)" {{{#fff 1985년 27,564명 (대교동 4,129명 + 대평동 7,407명 + 남항동 16,0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5e19 9.223%, #2976c3 0%, #2976c3 27.943%, #18ac5e 0%, #18ac5e 69.869%, #AAA 0%)" {{{#fff 1990년 24,454명 (대교동 3,228명 + 대평동 6,552명 + 남항동 14,6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5e19 7.363%, #2976c3 0%, #2976c3 21.023%, #18ac5e 0%, #18ac5e 52.103%, #AAA 0%)" {{{#fff 1995년 18,236명 (대교동 2,577명 + 대평동 4,781명 + 남항동 10,878명)}}}}}} || || [[1998년]] [[10월 1일]] 대교동, 대평동, '''남항동''' → '''남항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ac5e 40.726%,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4,25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ac5e 35.074%,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2,2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ac5e 34.4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2,06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ac5e 30.769%,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0,7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ac5e 31.417%,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0,9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8ac5e 30.15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3월 10,55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영선동|{{{#000 영선제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87.5%,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8,7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86.74%,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8,6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0,1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92.04%,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9,2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94.94%,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9,49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81.47%,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8,1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65.16%,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6,5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52.85%,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5,2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58.65%,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5,8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49%,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4,9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45.5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4,5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41.67%,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4,1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B8E23 38.1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3월 3,818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영선동|{{{#000 영선제2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71.48%, #888 0%, #888 100%, #AAA 0%)" {{{#000 1966년 17,8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82.276%, #888 0%, #888 100%, #AAA 0%)" {{{#000 1970년 20,5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88.224%, #888 0%, #888 100%, #AAA 0%)" {{{#000 1975년 22,0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77.756%, #888 0%, #888 100%, #AAA 0%)" {{{#000 1980년 19,4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77.192%, #888 0%, #888 100%, #AAA 0%)" {{{#000 1985년 19,2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72.104%, #888 0%, #888 100%, #AAA 0%)" {{{#000 1990년 18,02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60.372%, #888 0%, #888 100%, #AAA 0%)" {{{#000 1995년 15,0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56.268%, #888 0%, #888 100%, #AAA 0%)" {{{#000 2000년 14,0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48.52%, #888 0%, #888 100%, #AAA 0%)" {{{#000 2005년 12,1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46.56%, #888 0%, #888 100%, #AAA 0%)" {{{#000 2010년 11,6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40.348%, #888 0%, #888 100%, #AAA 0%)" {{{#000 2015년 10,0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35.164%, #888 0%, #888 100%, #AAA 0%)" {{{#000 2020년 8,7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FF2F 31.212%, #888 0%, #888 100%, #AAA 0%)" {{{#000 '''2023년 3월 7,803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신선동|{{{#000 신선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일자 미상 신선동 → 신선제1동, 신선제2동 분동 || || [[1966년]] [[1월 1일]] 신선제2동 → 신선제2동, 신선제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C00 18.076%, #00008B 0%, #00008B 45.186%, #006400 0%, #006400 65.474%, #AAA 0%)" {{{#fff 1966년 32,737명 (신선제1동 9,038명 + 신선제2동 13,555명 + 신선제3동 10,14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C00 20.726%, #00008B 0%, #00008B 53.984%, #006400 0%, #006400 82.638%, #AAA 0%)" {{{#fff 1970년 41,319명 (신선제1동 10,363명 + 신선제2동 16,629명 + 신선제3동 14,3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C00 23.528%, #00008B 0%, #00008B 62.214%, #006400 0%, #006400 96.314%, #AAA 0%)" {{{#fff 1975년 48,157명 (신선제1동 11,764명 + 신선제2동 19,343명 + 신선제3동 17,0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C00 20.63%, #00008B 0%, #00008B 53.962%, #006400 0%, #006400 80.946%, #AAA 0%)" {{{#fff 1980년 40,473명 (신선제1동 10,315명 + 신선제2동 16,666명 + 신선제3동 13,4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C00 18.952%, #00008B 0%, #00008B 48.284%, #006400 0%, #006400 72.594%, #AAA 0%)" {{{#fff 1985년 36,297명 (신선제1동 9,476명 + 신선제2동 14,666명 + 신선제3동 12,1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C00 16.584%, #00008B 0%, #00008B 43.372%, #006400 0%, #006400 65.532%, #AAA 0%)" {{{#fff 1990년 32,766명 (신선제1동 8,292명 + 신선제2동 13,394명 + 신선제3동 11,08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C00 12.286%, #00008B 0%, #00008B 35.298%, #006400 0%, #006400 52.256%, #AAA 0%)" {{{#fff 1995년 26,128명 (신선제1동 6,143명 + 신선제2동 11,506명 + 신선제3동 8,4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C00 8.852%, #00008B 0%, #00008B 26.238%, #006400 0%, #006400 39.25%, #AAA 0%)" {{{#fff 2000년 19,625명 (신선제1동 4,426명 + 신선제2동 8,693명 + 신선제3동 6,5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C00 7.554%, #00008B 0%, #00008B 21.46%, #006400 0%, #006400 32.19%, #AAA 0%)" {{{#fff 2005년 16,095명 (신선제1동 3,777명 + 신선제2동 6,953명 + 신선제3동 5,365명)}}}}}} || || [[2007년]] [[1월 1일]] 신선제1~3동 → '''신선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400 29.71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4,8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400 23.23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1,6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400 18.14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9,0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400 15.44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3월 7,72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봉래동(부산)|{{{#000 봉래제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일자 미상 봉래동 → 봉래제1동, 봉래제2동 분동 || || 일자 미상 봉래제2동(?)→ 봉래제2동, 봉래제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48.787%, #F08080 0%, #F08080 91.333%,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3,700명 (봉래제1동 7,318명 + 봉래제2동 6,3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47.28%, #F08080 0%, #F08080 89.84%,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3,476명 (봉래제1동 7,092명 + 봉래제2동 6,3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61.82%, #F08080 0%, #F08080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5,811명 (봉래제1동 9,273명 + 봉래제2동 6,53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50.1%, #F08080 0%, #F08080 85.347%,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2,802명 (봉래제1동 7,515명 + 봉래제2동 5,2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47.973%, #F08080 0%, #F08080 80.41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2,062명 (봉래제1동 7,196명 + 봉래제2동 4,8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41.527%, #F08080 0%, #F08080 68.013%,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0,202명 (봉래제1동 6,229명 + 봉래제2동 3,9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45.253%, #F08080 0%, #F08080 67.26%,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0,089명 (봉래제1동 6,788명 + 봉래제2동 3,301명)}}}}}} || || [[1998년]] [[10월 1일]] '''봉래제1동''' + 봉래제2동 → '''봉래제1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56.26%,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8,4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56.887%,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8,5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52.833%,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7,9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50.68%,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7,60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48.53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7,28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0EE90 43.027%,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3월 6,45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봉래동(부산)|{{{#000 봉래제2동}}}]][*봉래제2동 현재 봉래제2동은 2007년 1월 1일 봉래제3동과 봉래제4동이 합동하여 새로 설치된 봉래제2동으로, 舊봉래제2동(일자 미상~1998.10.01)과는 관련이 없음]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일자 미상 봉래제2동(?)→ 봉래제2동, 봉래제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71.228%, #888 0%, #888 100%, #AAA 0%)" {{{#000 1966년 17,807명 (봉래제3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86.888%, #888 0%, #888 100%, #AAA 0%)" {{{#000 1970년 21,722명 (봉래제3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95.692%, #888 0%, #888 100%, #AAA 0%)" {{{#000 1975년 23,923명 (봉래제3동)}}}}}} || || [[1979년]] [[8월 8일]] 봉래제3동 → 봉래제3동, 봉래제4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46.864%, #B82647 0%, #B82647 100%, #888 0%, #888 100%, #AAA 0%)" {{{#000 1980년 25,047명 (봉래제3동 11,716명 + 봉래제4동 13,3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41.012%, #B82647 0%, #B82647 89.716%, #888 0%, #888 100%, #AAA 0%)" {{{#000 1985년 22,429명 (봉래제3동 10,253명 + 봉래제4동 12,1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37.172%, #B82647 0%, #B82647 80.968%, #888 0%, #888 100%, #AAA 0%)" {{{#000 1990년 20,242명 (봉래제3동 9,293명 + 봉래제4동 10,9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25.772%, #B82647 0%, #B82647 55.196%, #888 0%, #888 100%, #AAA 0%)" {{{#000 2000년 13,799명 (봉래제3동 6,443명 + 봉래제4동 7,3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22.32%, #B82647 0%, #B82647 44.74%, #888 0%, #888 100%, #AAA 0%)" {{{#000 2005년 11,185명 (봉래제3동 5,580명 + 봉래제4동 5,605명)}}}}}} || || [[2007년]] [[1월 1일]] 봉래제3동 + 봉래제4동 → '''(신) 봉래제2동'''으로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40.208%, #888 0%, #888 100%, #AAA 0%)" {{{#000 2010년 10,0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32.548%, #888 0%, #888 100%, #AAA 0%)" {{{#000 2015년 8,1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20.936%, #888 0%, #888 100%, #AAA 0%)" {{{#000 2020년 5,2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700 30.388%, #888 0%, #888 100%, #AAA 0%)" {{{#000 '''2023년 3월 7,597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청학동(부산)|{{{#000 청학제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25,050명}}}}}} || || [[1970년]] [[7월 1일]] 청학동 → '''청학제1동''', 청학제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71.632%,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7,9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90.26%,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22,5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88.196%,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22,0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84.252%,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1,0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76.556%,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9,1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62.276%,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5,5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45.88%,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1,4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35.532%,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8,88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36.70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9,1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31.9%,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7,9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26.82%,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6,7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D537 22.9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3월 5,730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청학동(부산)|{{{#000 청학제2동}}}]] {{{#000 인구 추이}}}''' [br] {{{-3 (1970년~현재)}}} || || [[1970년]] [[7월 1일]] 청학동 → 청학제1동, '''청학제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47.626%,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6,6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68.477%,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23,9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74.96%,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26,2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87.30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30,5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87.291%,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30,5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78.991%,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7,6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69.206%,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4,22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64.931%,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2,72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66.846%,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3,3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59.36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0,7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52.60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8,4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BC6B 49.331%,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3월 17,266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동삼동|{{{#000 동삼제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18.929%, #888 0%, #888 100%, #AAA 0%)" {{{#000 1966년 8,0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28.186%, #888 0%, #888 100%, #AAA 0%)" {{{#000 1970년 11,9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47.948%, #888 0%, #888 100%, #AAA 0%)" {{{#000 1975년 20,3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63.327%, #888 0%, #888 100%, #AAA 0%)" {{{#000 1980년 26,9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74.341%, #888 0%, #888 100%, #AAA 0%)" {{{#000 1985년 31,595명}}}}}} || || [[1985년]] [[12월 1일]] 동삼동 → '''동삼제1동''', 동삼제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74.798%, #888 0%, #888 100%, #AAA 0%)" {{{#000 1990년 31,789명}}}}}} || || [[1994년]] [[7월 11일]] '''동삼제1동''' → '''동삼제1동''', 동삼제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95%, #888 0%, #888 100%, #AAA 0%)" {{{#000 1995년 40,3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95.191%, #888 0%, #888 100%, #AAA 0%)" {{{#000 2000년 40,4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88.094%, #888 0%, #888 100%, #AAA 0%)" {{{#000 2005년 37,4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80.577%, #888 0%, #888 100%, #AAA 0%)" {{{#000 2010년 34,2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74.059%, #888 0%, #888 100%, #AAA 0%)" {{{#000 2015년 31,4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67.624%, #888 0%, #888 100%, #AAA 0%)" {{{#000 2020년 28,7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E77F 62.442%, #888 0%, #888 100%, #AAA 0%)" {{{#000 '''2023년 3월 26,538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동삼동|{{{#000 동삼제2동}}}]] {{{#000 인구 추이}}}''' [br] {{{-3 (1990년~현재)}}} || || [[1985년]] [[12월 1일]] 동삼동 → 동삼제1동, '''동삼제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6FC7A 92.4%, #888 0%, #888 100%, #AAA 0%)" {{{#000 1990년 9,2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6FC7A 83.17%, #888 0%, #888 100%, #AAA 0%)" {{{#000 1995년 8,3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6FC7A 76.66%, #888 0%, #888 100%, #AAA 0%)" {{{#000 2000년 7,6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6FC7A 68.89%, #888 0%, #888 100%, #AAA 0%)" {{{#000 2005년 6,8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6FC7A 44.47%, #888 0%, #888 100%, #AAA 0%)" {{{#000 2010년 4,4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6FC7A 39.08%, #888 0%, #888 100%, #AAA 0%)" {{{#000 2015년 3,9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6FC7A 35.45%, #888 0%, #888 100%, #AAA 0%)" {{{#000 2020년 3,5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6FC7A 48.84%, #888 0%, #888 100%, #AAA 0%)" {{{#000 '''2023년 3월 4,88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동삼동|{{{#000 동삼제3동}}}]]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4년]] [[7월 11일]] 동삼제1동 → 동삼제1동, '''동삼제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1,54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93.08%,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8,6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80.475%,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6,0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70.435%,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4,0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62.405%,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2,4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52.005%,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0,4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46.3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3월 9,26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지역 특징 == [[파일:attachment/영도구/YI.jpg]] 2023년 기준 [[부산광역시]]는 물론 [[대한민국]]의 모든 [[자치구]] 중 유일하게 오직 [[섬]]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미래 인천광역시 중구 내륙 지역과 동구가 통합된다면 남은 중구가 영종도, 무의도만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2026 지선까지 [[제물포구]]와 [[영종구]]로 재편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이 구명과 동일한 [[영도]][* 면적 14.0 km²의 작은 섬이지만 대한민국의 모든 섬 중 [[제주도]], [[거제도]], [[영종도]]에 이어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섬이다. 3위 영종도와는 8000여명 차이. 참고로 영도는 '''대한민국 섬 중에서 인구밀도가 제일 높다.''' 영종도는 영도와 인구는 비슷하지만 면적이 무려 9배나 크다.]와 그 부속도서인 [[한국해양대학교|조도(鳥島)]], 태종대 남쪽에 있는 무인도인 생도를 포함한다. 조도는 영도사람들 내에선 주로 '아치섬'이라 불린다. 원래 이 섬에서 [[아침]]을 맨 처음 본다고 하여 [[아침]][[섬]](朝島)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지금은 글자를 더 줄여서 '아침 조'를 쓴 조도라고 부른다 [[파일:영도 구름모자.jpg]] 여름철이면 섬에 [[구름]]이 잔뜩 끼는 일이 잦다. 실제로 내륙에서 영도를 바라보면 허구한 날 [[https://blog.naver.com/lockey13/220777624658|섬의 산자락에 하얗게 구름이 씌워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명 '영도 구름모자'. 이는 영도의 지형적인 요인 때문인데, 낮 동안 해풍이 불어와 영도 중앙의 산을 타고 상승, 상층에서 찬 공기를 만나 [[이슬점]]에서 구름이 생기는 것이다. 그래서 자세히 보면 영도의 구름이 바다에서 내륙 쪽으로 뻗는 것을 볼 수 있고, 산을 탄 공기가 넘어가며 작게나마 [[푄 현상]]도 일으키고 아래의 공기와 만나며 다시 더워짐에 따라 점차 구름이 사라지는 것도 볼 수 있다. [[부산광역시]]에서 타지 출신 사람들이 정착했던 비율이 높은 지역에 속한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 출신 사람들이 영도구에 많이 거주한다. 영도에 거주하는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 출신 사람들은 대부분이 [[제주 4.3 사건]]이 터지면서 뭍으로 피난을 떠나 영도에 정착한 케이스다. 그래서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민회관과 [[제주은행]]의 유일한 부산지점이 영도구에 있다. 활동하는 [[제주특별자치도|제주]] 출신 해녀 할머니만 150여 명이 있으며 제주 돼지고기나 [[고기국수]] 등을 파는 가게도 종종 있으며, 제주자리돔 전문점 들이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 출신들의 사랑방 역할을 하고 있다. [[김철훈]] 당시 구청장 당선도 당적 관계없이 제주도 출신이라서 이들의 영향을 받아 당선되었다는 시각이 있다. 이외에도 [[전라도|호남]] 출신과, [[경상북도]] 출신의 비율도 높은 편이다. 한창 때에는 영도에서 등하교 시간에 버스를 타면 부산 사투리보다 제주도 사투리가 더 많이 들린다고 할 정도로 제주도 사람들이 많았다. == [[영도구/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도구/교통)] == 경제 == 중구, 서구, 동구와 함께 부산의 구도심으로 분류되지만 지리적인 특성상 이들 지역 가운데 존재감이 가장 희박하다. [[태종대]]는 알아도 그곳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사람이 부지기수다. 물론 부산 사람들은 다 안다. [[남포동(부산)|남포동]]을 코앞에 두고 있어서인지 전통적으로 상권이 상당히 미약하다.--그리고 그 흔한 영화관 하나 없다-- 중구로 대표되는 구도심의 상권의 주 고객층이 영도구 주민들이기도 하다.[* 남포동에 원하는 물건이 없을 경우 2 ~ 3순위로 고려하는 정도다.] 소재 주요 기업으로는 [[HJ중공업]] 조선부문 본사가 있다. 이 동네 사람들에게는 지금도 조선공사라고 불릴 정도로 유명한데, [[HJ중공업]] 영도조선소가 청학동에 있다.[* 상륙함인 [[독도급|독도함]] 역시 HJ중공업에서 건조됨] [[공기업]]이었던 대한조선공사는 1989년에 한진그룹으로 흡수되긴 했지만 대기업으로서 지방에 본사를 둔 기업이 흔치 않다. 다만 [[HJ중공업]] 말고도 그 옆에 영세 조선소가 들어서있어 청학동 일대의 주거환경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꼽히고 있긴 하다. 하지만 영도의 경제가 거의 이를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HJ중공업이 [[필리핀]] 수빅으로 조선소 이전을 발표했을 때는 노조와 인근 상인들이 들고 일어나기도 했다. 수빅 조선소에 수주량을 몰아주고 있기 때문에, 2009년 이후 영도 조선소의 선박 수주량은 0이다. 노조와 시민단체는 영도 조선소를 사실상 철수시키기 위해서라고 주장하고 있다. 일단 노조 지도부와 일부 노조원은 사실상 항복을 하고 업무에 복귀한 상태이나, 이에 반발하는 노조원들이 이에 반발하여 계속해서 시위를 벌였다. 3차례의 [[희망버스]] 방문을 거쳐 국회에서는 청문회가 열렸고, 해고 직원들은 이대로 [[틀렸어 이젠 꿈이고 희망이고 없어|꿈도 희망도 없는]] 나날을 보내나 싶었는데 2012년 11월 10일 [[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21110030613158|재취업 형식으로 전원복직이 확정되]]나 싶었는데, 위에 언급한 영도조선소 수주물량 분배문제에다 노조원에게 대한 158억 원의 손해배상 소송으로 인한 갈등의 불씨가 12월 22일 조합원 최강서 씨의 죽음으로 다시 폭발하고 말았다. 한번씩 노사문제로 떠들썩해질 때마다 정문과 담을 업그레이드 해서, 현재 HJ중공업 정문은 거의 성문이 되었다. 현재 콘크리트로 정문을 막아버리고 대선조선 쪽은 철문으로 막아놓았다. 2020년 3월에 [[김해국제공항|부산]] ~ [[헬싱키 반타 국제공항|헬싱키]] 노선으로 취항하는 [[핀에어]]의 부산영업소가 [[https://cafe.naver.com/sheenaringo/93832|영도구]]에 있다. [[2019년]] [[12월 1일]]에 개소했다고. 주소는 [[봉래나루로]] 82 ([[봉래동1가(부산)|봉래동1가]]). 이외에 전국적으로 인지도가 있는 기업은 [[머거본]], [[삼진어묵]]의 본사와 공장이 영도구 동삼동에 위치하고 있다. === 금융 === ||<-4> '''{{{#ffffff 영도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부산영도우체국 (5)'''}}}]] || ||<-4> '''{{{#1d1e23 국책은행 }}}''' || ||<-4> [[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 (1)'''}}}]] || ||<-4> '''{{{#1d1e23 특수은행 }}}''' || ||<-2> [[수협은행|{{{#ffffff '''수협은행 (2)'''}}}]] ||<-2>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3)'''}}}]] || ||<-4> '''{{{#1d1e23 시중은행 }}}''' || ||<-2> [[신한은행|{{{#ffffff '''신한은행 (1)'''}}}]] ||<-2> [[우리은행|{{{#ffffff '''우리은행 (1)'''}}}]] || ||<-2> [[하나은행|{{{#ffffff '''하나은행 (1)'''}}}]] ||<-2> [[국민은행|{{{#ffffff '''국민은행 (1)'''}}}]] || ||<-4> '''{{{#1d1e23 지방은행 }}}''' || ||<-2> [[부산은행|{{{#ff0000 '''부산은행 (6)'''}}}]] ||<-2> [[제주은행|{{{#ffd700 '''제주은행 (1)'''}}}]]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fff 수산업협동조합 }}}''' || ||<-4> [[수협|{{{#00a5e3 '''부산시수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 || [[새마을금고|{{{#afeeee '''영도새마을금고 (2) '''}}}]] || [[새마을금고|{{{#afeeee '''영도중앙새마을금고 (3) '''}}}]] || [[새마을금고|{{{#afeeee '''태종대새마을금고 (2) '''}}}]] || [[새마을금고|{{{#afeeee '''동삼동새마을금고 (1) '''}}}]] || ||<-4> [[새마을금고|{{{#afeeee '''한아름새마을금고 (2) '''}}}]] || ||<-4> '''{{{#ffffff 신용협동조합 }}}''' || ||<-2> [[신협|{{{#ffa500 '''성모신용협동조합 (2) '''}}}]] || [[신협|{{{#ffa500 '''부산항신용협동조합 (1) '''}}}]] || [[신협|{{{#ffa500 '''태종대신용협동조합 (1) '''}}}]] || [[제주특별자치도|제주]]와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서 [[제주은행]]이 있는 유일한 곳이다.. == 관광 == * '''[[태종대]]''' : 자갈마당, 공원, [[태종대온천]] 등, 다누비 순환열차를 운행한다. * [[흰여울문화마을]] * [[깡깡이예술마을]] * 75광장, 절영해안산책로, 중리바닷가 * [[국립해양박물관]] * 동삼동패총전시관 * '''[[영도대교]]''': 국내 유일의 '''[[도개교]]''' * [[동삼혁신지구]] [[관광]]지로 [[태종대]]가 유명하기는 하지만 정작 영도구 주민들은 [[초등학교]], [[중학교]] [[소풍]]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아웃 오브 안중.(가족 단위로 가끔 오는 사람들이거나 '''운동삼아'''가기도 하다만.) 하지만 2010년 [[1박 2일]] 촬영장소로 다시 각광을 받고있다.([[이승기]]와 [[이대호]] 선수 방문) 태종대 옆의 태종대 자유랜드내의 곤포의 집은 '''여름에 만남의 장소로 일품'''이었다. 그 당시엔 에어컨이 시원하게 나오는 곳이 근처에 없는지라. 다만 유원지가 시설 노후화와 입장객 감소로 문을 닫아버렸고 2008년 말에 철거된 후 2010년 9월에 [[공원]] 및 [[주차장]]으로 조성되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신혼여행]] 코스 중의 하나였다. [[2000년대]] 초반 [[원도심(부산)|원도심]]에 거주하였던 [[초등학생]]들은 아마 [[소풍]]으로 태종대 자유랜드를 한 번쯤은 와 봤을 것이다. 그리고 상당히 낡고 노후화된 놀이기구를 타고 [[충공깽]]에 빠진 경험이 있었을 것이다.) 태종대 앞에서 [[말(동물)|말]]을 태워주는 [[할아버지]]가 오래도록 영업하고 있었는데 2008년까진 확인했으나 2010년 이후로는 그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마지막으로 봤을 때는 말등이 굽어 있었다. 아마 돌아가셨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 주변 여러 가게에서 [[공기총]]이나 [[다트]]를 쏘아 풍선 터뜨리기 등 [[카니발]]놀이를 할 수 있다.[* 무려 8~90년대부터 운행되어온 상당히 오랜 역사가 있다.] 물론, 난이도는 '''[[엑스퍼트]]'''. [[공기총]] 쏘기의 경우 총이 오래돼서 그런지 쏴도 맞질 않고, 공기총으로 쏴서 맞춰도 인형이 '''쓰러지질 않는다.'''(가게에 따라 다르긴 하다. 2018년 요즘은 '''꽝 없음!''' 이라는 팻말을 내건다.) 이래저래 이미 쇠락해버린 관광지의 느낌. 따라서, 개인 혹은 단체 단위로 오는 사람들은(단체 관광은 거의다 [[중국인]]&[[일본인]] [[관광객]]들이 대다수이다.) 거의가 부산 사람이 아닌, 태종대의 현실을 모르는 타지 관광객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태종대공원 내 순환도로를 타고가는 다누비열차를 타거나, 도보로 갈 수 있는 [[태종대]] [[등대]]+등대 인근 자살바위는 태종대의 상징이기도 하다. 태종대 자갈마당은 바다를 보며 [[조개]]구이를 섭취할 수 있는 명소다. 정작 영도구 주민들은 태종대보다는 절영해안산책로를 더 많이 찾는 편이다. 정비를 잘 해놔서 산책로가 깔끔하고, 해변 경치를 만끽하면서 운동할 수 있다. 사실 말이 산책로지 계단이 많고 고저차가 심해서 거의 산행 수준의 운동량이 요구된다. 이 코스에 익숙해진 동네 어르신들은 밤낮으로 이곳을 가뿐하게 다니신다. [[봉래산(부산)|봉래산]]을 올라가는 등산코스도 잘 갖춰져 있는데(주로 [[남부여객]] 종점 근처에서 등산코스가 시작된다), 꼭대기까지 올라가면 [[부산타워]]에서 바라보는 풍경 싸다구를 날릴 수준의 절경을 볼 수 있다. 부산타워와는 또다른 절경이 바로 리아스식 해안선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서쪽 끝으로 거제도, 가덕도로 시작해서 다대포, 송도, 신선대, 해운대 [[달맞이고개]]까지 경치를 감상할 수 있고 부산의 해안선을 다 볼 수 있는 곳은 영도 봉래산이 유일하기 때문에 부산타워에서 보는 풍경과는 또 다른 부산의 멋을 느낄 수 있다. 상기했듯 나름의 천혜의 관광자원을 가지고 있어 아름다운 도시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는 불법 적치물에 대해서 부산 내 단속이 빡센 지역 중 하나. 특히 난립하는 상업적 아파트 불법현수막에 대해서는 '''얄짤없이 칼같이 정리하고 과태료 후려버리는 곳으로 유명하며''', 이 때문에 부산 내 광고대행사 업계에서는 영도구는 기피지역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전단지나 벽보에도 칼을 대고 있는 모양. 심할 경우 10초 정도 걸고 난 후에 바로 철거되어버린다. 다른 구에 비해 시야적으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이유다. [[국사]] [[교과서]] 등에서 [[선사시대]] 유물로 중요하게 평가받는 동삼동패총이 영도구에 있다. 실제로 가보면 매우 아담한 규모로 3분이면 다 둘러볼수 있다. 이 패총의 조개유적을 이미지로 한 마스코트 '''영가비(영도+조가비)'''가 영도의 공식 마스코트로 지정되었다. 차 타고 돌아다니다 보면 심심찮게 보이는 조개껍질 모양의 마스코트 캐릭터가 그것이다. 영도구 지역 활성화를 위해 청년 사업 지원, 커피 산업 지원 등 여러모로 혜택을 주고 있으며, 2010년 후반부터 인디마켓이 종종 열리기도 하고 최신 트랜드 스타일의 [[카페]]가 청학동 와치로 일대와 흰여울문화마을에 대거 들어서는 중이다. 특히 카페는 영도구에 2010년만 해도 4개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144개로 무려 36배가 증가하며 폭발적인 성장 중이다. 이는 같은 기간 도심상권 남포동이 위치한 [[중구(부산)|중구]]의 카페 증가율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섬이라는 독특한 지형과 분위기가 해운대나 광안리같은 큰 관광지와는 또다른 매력이 있어서 젊은층의 방문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젊은층이 자주 사용하는 [[인스타그램]]과 [[브이로그]] 등을 바탕으로 SNS에서 인기가 있는 편이다. == 교육 == 주요 소재 대학교로는 [[한국해양대학교]], [[고신대학교]]가 영도구에 있다. [[한국해양대학교]]는 영도 옆에 방파제로 연결되어 있는 조그만 섬인 [[조도]](鳥島)를 통째로 캠퍼스로 쓰고 있다. 다만 대학가 풍경을 기대하지 말자. 참고로 말하자면 이 학교 앞에는 매립지랑 횟집 몰려있는 하리선착장이 전부다. 하지만 2010년 부터 매립지에 [[동삼혁신지구]]의 입주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원학교로 유명했던 [[부산해사고등학교]](舊교사는 드라마 [[친구]], 영화 [[고死: 피의 중간고사]] 촬영지)와 [[해기사]] 양성시설로 유명한 [[한국해양수산연수원]](구 해기연수원)이 이 학교 앞 매립지로 이전했으며, 기타 해양 유관기관들이 입주할 예정이어서 수년 후에는 이 일대의 모습이 크게 변모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2년 7월에는 국내 유일의 국립 해양테마 박물관인 [[국립해양박물관]]이 개관하였다. [[원도심(부산)|구도심]]에 위치한 학교 특성상 [[남자중학교]]랑 [[여자중학교]]로 크게 양분되어 있는 중학교들을 [[남녀공학]]으로 전환시킨 케이스가 상당히 많다. [[동삼중학교]], [[영도제일중학교]], [[영선중학교]], 태종대중학교 등이 있다. 괜찮은 학교들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영도구의 낙후된 이미지 탓에 다소 평가절하되는 부분이 있다. 실제로 [[광명고등학교(부산)|광명고등학교]]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인지도가 별로 없지만,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는 상당히 우수한 사립학교로 평가하고 있으며, 남도여자중학교와 해동중학교 또한 부산교육청에서 우수 사립학교로 평가하기도 하였다. [[부산남고등학교]]도 흡연 등 경미한 교칙 위반을 저지르는 학생들은 있으나 일진 등 중범죄까지 갈 수 있는 사건을 저지르는 학생들은 없고, 펜싱부 학생들과도 마찰이 없으며 인근에 위치한 [[부산체육고등학교]] 등 다른 학교와도 마찰이 없어서 수준 차이가 좀 난다는 것만 빼면 역사와 전통이 상당히 오래되어 좋은 학교라는 평이 다수이다. 또 다른 일반계 고등학교인 영도여자고등학교 또한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명문 학교라는 평가가 대다수이다. 사실 영도는 특성상 아무리 다른 학교를 나와도 초/중/고등학교에서, 그리고 학원 등 사교육을 통해 한번씩은 스쳐 지나게 되어있어 서로 다 아는 사이라 학교간 마찰이 생길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파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서로 조심하는 분위기다. 사실상 "영도고등학교"라는 큰 틀의 고등학교에 3개의 분교처럼 굴러가는 시스템이라 보면 되며, 이로 인해 어떠한 방법으로든 12년 지기가 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여건으로 인해 수준은 좀 낮을지는 몰라도 면학분위기 하나는 보장되는 준명문 학교라 보면 된다. 다만 학령 인구 감소 현상이 가장 심각한 곳이다보니 학교가 잇따라 폐교되고 있는데 2019년 3월 1일부로 [[동삼중학교]]가 폐교되어 바로 옆 영도중학교와 통합하여 [[영도제일중학교]]로 출범하였다. 향후 대규모 재개발이 예정되었다고는 하지만 저출산 여파로 학생 수요가 불분명해진 상황이라 작은 학교 여러개로는 버틸 수가 없는데다 향후 학교총량제와 관련, [[에코델타시티]] 입주에 대비해[* 원도심에 있는 학교 1~2개가 에코델타시티로 옮겨가야하기 때문이다.] 중학교 4개, 90개 학급 수용을 대비한 캠퍼스형 고등학교 1개[* 다만 변수를 대비해 북쪽 지역에 36개 학급 규모 고등학교 부지 1개가 더 필요하다. 고등학교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남구 지역에 대해 [[부산항대교]]를 통한 교차배정까지 고려하거나 강서구 지역 사정으로 학군이 조정되어 영도구가 동구, 남구와 같은 남부 학군으로 조정된다면 더 필요할 수도 있다.] 체제로 개편하는 게 필요해보인다. === 대학교 === * [[고신대학교]] (동삼동 516-36) * [[한국해양대학교]] (동삼동 1) === 고등학교 === [include(틀:부산광역시 영도구의 고등학교)] * [[광명고등학교(부산)|광명고등학교]] (동삼동 226-118) * [[부산남고등학교]] (동삼동 616) * [[부산보건고등학교]] (영선동4가 200): 구.영도여자상업고등학교→한국테크노과학고등학교. 개그우먼 [[신봉선]]의 출신 모교다. *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신선동3가 71-1) * [[부산체육고등학교]] (동삼동 525) * [[부산해사고등학교]] (동삼동 1125-21) * 영도여자고등학교 (동삼동 514-13): 국회의원 [[이언주]], [[황보승희]] 당선인이 나온 고등학교다. 특이하게 [[일반계 고등학교]]가 아닌 고등학교가 많기 때문에 영도구 바깥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특성화고등학교]]로 통학하는 비율이 매우 많다. 특히 [[부산해사고등학교]]는 2010년 3월 1일부로 [[마이스터고등학교]]로 지정되어 전국단위로 학생들을 선발하기 때문에 부산 출신이 아닌 학생들이 더욱 많을 정도다. 또한 셋 뿐인 일반계 고등학교는 '''남녀공학이 하나도 없고 모두 단성학교로 운영된다.[* 물론 나머지 학교들은 모두 남녀공학이다.]''' 때문에 남녀공학 고등학교 지망을 희망한다면 무조건 영도 바깥으로 나가야만 한다.[* 영도에서 가장 가까운 남녀공학 고등학교인 [[부경고등학교]]로 가는 듯 하다.] 심지어 북영도 (영선동, 남항동 등) 거주 여학생들의 경우 과거에는 영도여고의 수용 인원 문제로 인해 반강제적으로 중앙동에 있는 남성여고로 나가야 했던 적도 있었다 (남학생은 학교가 2개나 있어서 해당 없음). 반면 영도 바깥에서 특성화고등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이 많은 반면 일반계 고등학교로 통학하는 비율은 거의 없다. 그나마 역사와 전통이 오래되고 기숙사까지 있는 [[부산남고등학교]]로 오는 학생들이 드물게나마 있지만 거의 다 [[경남고등학교]]로 가버린다(..) 2022년 부산남고등학교의 명지국제신도시 이전이 확정되었다. 현재 상황을 본다면 광명고등학교도 아예 폐교시키거나 [[에코델타시티]]로 내보내고[* 광명고 재단 혼자서 토지를 산 이후 건물을 짓는 방식이 아니라 다 지어진 정부 소유 건물에 광명고 하나만 세들어 사는 방식이다.] 영도여자고등학교를 남녀공학으로 개편하면서 72개 학급 규모로[* 캠퍼스형 고등학교, 일반학급 72개, 특수학급 8개, 총 2016명 수용(영도구 재개발 대비), 최대 90(9)개 학급 수용 대비] 확장이전 시키는 게 낫다. === 중학교 === [include(틀:부산광역시 영도구의 중학교)] * 남도여자중학교 (신선동2가 102) * [[부산남중학교]] (남항동2가 217-1) * [[신선중학교]] (신선동3가 40) * [[영도제일중학교]] (동삼동 510-5): [[동삼중학교]]와 영도중학교가 2019년 3월 1일부로 통합하여 영도제일중학교로 출범하였다. * [[부산영선중학교]]: 구.부산남여자중학교 (신선동3가 8) * 태종대중학교: 구.영도여자중학교 (동삼동 523-1) * 해동중학교 (동삼동 산57) 참고로 영도의 중학교는 남도여중과 부산남중을 제외하면 모두 [[남녀공학]]이다. 예전에는 단성학교가 많았으나 [[동삼중학교]], 영도중학교, 태종대중학교, 영선중학교, 신선중학교 등등 모두 남녀공학으로 형간전환되었다. === 초등학교 === [include(틀:부산광역시 영도구의 초등학교)] * 남항초등학교 (영선동4가 247): [[문재인]] 대통령의 모교이다. * 대교초등학교 (봉래동4가 18) * [[대평초등학교(부산)|대평초등학교]] (남항동2가 65-9) * 동삼초등학교 (동삼동 258) * 봉삼초등학교 (동삼동 510-8) * 봉학초등학교 (청학동 389-53) * 상리초등학교 (동삼동 1123-11) * 신선초등학교 (신선동3가 76-6) * [[영도초등학교(부산)|영도초등학교]] (신선동1가 251) * 절영초등학교 (동삼동 1124-5) * 중리초등학교 (동삼동 454-34) * 청동초등학교 (청학동 71-1) * 청학초등학교 (청학동 412-3) * 태종대초등학교 (동삼동 962) == [[영도구/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도구/정치)] == [[영도구/행정|하위 행정구역]] == [[파일:attachment/영도구/map.jpg]]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도구/행정)] == 여담 == * 영도에는 '영도할매'에 관한 [[전설]]이 있는데, 사람을 너무나 좋아하는 영도할매가 봉래산 꼭대기에서 영도를 내려다보며 지키고 있다고 한다. 때문에 영도로 이사를 들어오는 사람은 너무나 좋아하면서 그 사람의 하는 일이 잘 되도록 도와준다고 한다. 그러나 영도 사람이 밖으로 나가버리면 그 사람은 영도할매의 저주가 내려서 3년 만에 쫄딱 망해서 다시 영도로 들어오게 된다고 한다. 회피하는 방법은 영도할매가 볼 수 없는 먼 곳으로 이사하거나, 할매가 잠든 새벽에 (도망치듯이)이사해야 화를 피할 수 있다고 [[카더라]]. 여기까지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표준 설정이고, 소수설로는 10년 넘게 살았으면 이미 많이 살았으니까 영도에서 나가도 봐준다거나, 반대로 10년 이하만 봐준다거나 하는 말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1년에 몇번 정도 할매신이 지정한 날이 있는데 그날 이사를 하는 방법이 있다. ~~그날이 되면 이사센터의 업무량은 폭발한다~~ 이 이사해도 괜찮은 기간 설정은 [[제주도]]의 [[신구간]] 풍습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영도에 제주도 출신 인구가 꽤 많이 모여있기 때문. 대도시 안의 섬이라는 특수한 지리적 조건 때문인지, 이게 단순한 지역 전설치고는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아는 이야기라, 영도구민은 물론 영도 밖 부산시민이나 심지어 부산 밖에 사는 젊은이들도 가끔 아는 사람들이 있다. [[봉래산(부산)|봉래산]] 꼭대기에 영도할매 바위가 있다. 이 전설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견해가 있는데, [[6.25 전쟁]] 이후 영도로 몰린 피난민들이 전쟁이 끝나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영도에 정착해버린 것이 유래라고 하는 설이 있다. * [[하일(방송인)|하일]]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인]]으로 귀화한 [[미국]] 출신의 방송인 [[로버트 할리]]가 처음 한국에 정착했던 곳과 현재 사는 곳 또한 영도구. 그래서 그는 '[[영도 하씨]]'라는 본관을 새로 부여받았다. 대한민국에서 영도 하씨의 인구는 [[2016년]] 현재 4명. * 2014년 2월 15일 남외항에서 [[화물선]]과 유류공급선이 충돌하면서 바다에 기름이 약 23만 7,000리터가 유출되었다. 이는 지난 1월말에 있었던 [[여수시]]에서의 사고보다 더 많은 양이 유출되었으며 다행히 아직 해안 근처에는 기름띠가 보이지 않고 있으며 대략 양식장이나 해안 등과는 6km 떨어진 곳이고 당장 오일펜스가 설치되어 작업 중이지만 하필이면 기름이 [[벙커C유]]라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 2016년 4월 17일. 절영산책로 해안가에서 강풍에 배가 휩쓸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 여파로 기름이 유출됐는데 영도구 공무원 및 해경이 일요일부터 나와서 방제 작업을 실시했다. * [[6.25 전쟁]] 피난민들이 많이 정착한 까닭에, 주거환경이나 도로구조가 난잡해진 부분도 있다. 정상적인 도시발전 과정을 거쳤다면 현재 [[해운대]]와 비슷한 분위기가 되었거나, 아예 [[멕시코]] [[칸쿤]]의 호텔 구역처럼 분리되어 부산 도심, 동래 지역과는 다른 분위기가 되었을 수도 있다. * 개발 중단의 여파로 폐가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버려진 공원, 간혹 가다가 [[우물]]도 있다. 거기다가 지역 토착민이 아니면 잘 모르는 뒤숭숭한 이야기들도 존재한다. 일례로, [[부산 해양대학교 맨홀 변사 사건]]과 [[부산 대교동 여관 살인사건]] 같은 미제 살인 사건도 있다. * 1980년대까지도 영도 해안가 근처에서 [[간첩]]들이 침투하다 검거되기도 하는 등 [[북한]]의 침입 노선 중 하나이기도 했다. * 2003년에 [[러시아 마피아]] 야쿠트파의 두목 바실리 나우모프가 이곳의 고급 [[아파트]]에 숨어지내다가 반대파 히트맨에게 총격을 당해 암살당하는 일이 있었다. * 1885년, [[조선시대]] 수군 부대인 절영진을 다스린 [[임익준]] 첨사의 공을 기리는 송덕비가 중리해안가 인근에 2개가 세워졌고 훗날 2개가 추가되어 총 4개의 송덕비가 있었다. 그런데 2003년 태풍 매미가 [[부산]]에 상륙했을 때 송덕비 4개가 모두 유실되어 사라졌으며 이후 3개를 찾았으나 1개는 끝내 찾지 못했었다. 2017년, 한 주민이 자갈밭에 파묻힌 비석을 발견하여 신고해 14년만에 발견되었다. * [[Apple TV+]]의 드라마 [[파친코(드라마)|파친코]] 주 배경이 되는 곳 중 하나가 영도다. 4회에서 [[윤여정]]이 분한 선자가 택시를 세우고 바다로 걸어가는 신이 있는데 이 배경이 태종대 자갈마당으로 부르던 동삼2동 [[https://www.yeongdo.go.kr/tour/01462/01463.web?amode=view&idx=2183&cpage=2|감지해변]]이다. * 이쪽에 있는 TV 송신소 때문에 일본에선 혼신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NTSC-M의 VHF-High와 UHF는 NTSC-J와 호환이 된다. || NTSC-J || NTSC-M || 비고 || ||<-3> VHF-Low || || 01 || 95 ||<|3> NTSC-M에서는 CATV대역이다. || || 02 || 96 || || 03 || 97 || ||<-3> VHF-High || || 04 || 22 || 마찬가지로 CATV대역이다. || || 05 || 07 ||<|7> || || 06 || 08 || || 07 || 09 || || 08 || 10 || || 09 || 11 || || 10 || 12 || || 11 || 13 || || 12 || 23 || 이것도 마찬가지로[br] CATV 대역이다. || ||<-3> UHF || || 13 || 14 ||<|3> VHF대에 CATV대역이[br] 끼여있는것과 다르게[br] UHF는 그런거 없다.[br] NTSC-J의 CATV대역 구분은[br] Mid와 SuperHigh가 끝이다.[* NTSC-M은 Low/Mid/SuperHigh/Ultra/Jumbo로 구성되어있으며 Ultra부터는 UHF대역이다.] || || ~ || ~ || || 62 || 63 || ==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 * [[권지웅]]: [[더불어민주당]] 청년미래TF 위원. * [[최원봉]]: [[제2대 국회의원]] * [[이주헌(축구)|이주헌]]: 유튜버, 축구 해설위원 * [[강다니엘]]: 가수, [[금정구]]에서 태어났으나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을 영도구에서 보냈다. * [[강지섭]]: 배우 * [[김나율]]: [[대원방송]] 2기 성우 * [[김비오]]: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 * [[김영애]]: 배우 *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 배구선수 * [[남주혁]]: 배우 * '''[[문재인]]''': 제19대 대한민국 대통령. 거제시 출생이지만, 자란 곳은 영도구다. * [[박선주(치어리더)|박선주]]: 치어리더 * [[이언주]]: [[미래통합당]] 소속 前 국회의원. 출생지는 [[서구(부산)|서구]] 대신동이지만 초중고를 나온 영도구를 실질 고향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 [[하일(방송인)]] : 영도구에 실제로 거주했었고, 본관이 [[영도 하씨]]이다. * [[은비(프레셔스)]]: 가수 * [[정경미]]: 개그우먼 * [[한현희]]: 야구선수 * [[심창민]]: 야구선수 태어난 곳은 포항이다. 야구선수를 하려고 부산으로 전학왔다. * [[최대성]]: 前 두산 베어스 소속 야구선수 * [[싱호|싱싱한 싱호]]: 인터넷 방송인 * [[정상수]]: 래퍼[* [[부산진구]] 유명 가수라고 하지만, 태어난 곳이 부산진구고 어릴때는 영도구에서 자랐다. 초등학교 재학 중 거제로 가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때 다시 영도구로 왔다. 정상수의 신곡 "[[정상수#s-6.3.7|반말하지마라]]" 가사에서 영도에 지금도 실제로 있는 장군돼지국밥, [[신선중학교]]가 언급되었다.] * [[홍종호(감독)|홍종호]]: 뮤직비디오 감독 * [[판슥이|판슥]]: 인터넷 방송인 * [[면상호]]: 인터넷 방송인 [[분류:영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