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동군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동군)] [목차] [clearfix] == 개관 == [[영동군]]의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철도 == 영동군은 철도 초강세 급을 넘어서 철도가 지배하는 지역이며 버스 교통의 무덤에 속한다. 영동에서 인접한 [[옥천군|옥천]], [[김천시|김천]] 등을 제외한 타 지역에 갈 때는 철도를 이용해야만 한다. 영동군은 시외버스 인프라가 열악한 대신 철도 인프라가 꽤 잘 갖추어져 있다.[* 비슷한 지역으로는 [[동두천시]], [[장성군]], [[칠곡군]], [[청도군]], [[밀양시]]가 있다.] 영동군에 있는 역들로는 [[심천역]], [[각계역]], [[영동역]], [[황간역]], [[추풍령역]]이 있으며 '''전부 여객영업을 하는 역들이다.''' 단, 이 중 [[각계역]]은 오전에 상행 '''편도 1회'''(동대구발 영주행 #4301)만 정차하기 때문에 하행으로는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이들 중 [[영동읍]]에 위치한 [[영동역]]은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ITX-새마을]]도 하루에 6왕복 정차한다. 그리고 인구에 비해 [[황간역]]의 규모도 꽤 크다. [[경부고속선]]도 지나기는 하지만 영동군 내에 정차역은 없으며 그냥 통과하기만 한다. 영동군에서는 [[대전권]]으로의 접근성 개선을 위해 [[충청권 광역철도]]의 [[영동역]]까지의 운영 연장을 바라고 있고 [[김천시]]와도 셔틀 트레인 개통이나 [[대구권 광역철도]]와의 연계 시스템 구축을 바라고 있다. 충주 - 청주 - 영동 간 철도 구상도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0023080|#]]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0043279|#]] [[https://cc.newdaily.co.kr/site/data/html/2021/06/28/2021062800245.html|#]] == 도로 == --[[영동고속도로]]와는 전혀 관계없다.--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다. 고속도로 [[영동IC|영동 나들목]]은 용산면에 위치해 있어 읍내와는 거리가 꽤 멀기 때문에 영동군 사람들이 [[서울특별시|서울]] 방면으로 가는 경우에는 [[옥천IC|옥천 나들목]]을, [[부산광역시|부산]] 방면으로 갈 때에는 [[황간IC|황간 나들목]]을 많이 이용한다.[* [[영동읍]]에서 영동 나들목으로 가는 길은 2차로인 반면 황간 나들목으로 가는 길은 4차로이다.] === 국도 === [[4번 국도]], [[19번 국도]]가 있으며 충청북도의 지자체들중 유일하게 30번대 국도[* 예를 들자면 [[36번 국도]], [[37번 국도]] 등.]가 지나가지 않는다.[* 다만 영동군 용화면에서 가까이 있는 국도이자 전북 [[무주군]]을 지나는 [[30번 국도]]와 [[37번 국도]]가 중첩되는 구간이 영동군 용화면 경계와 하천 하나를 두고 비켜가고 있다. 아직 2차선으로 미개량된 구간인데 현재 지적도 상에 확포장 계획이 있고, 그 도로가 영동군 땅을 잠깐 지나게 된다. 개통되면 37번 국도는 19번 국도와 마찬가지로 충북 남부3군을 모두 지나가게 되는데, 정작 순서대로 지나는 19번 국도와는 달리 37번 국도는 무주군 구간에서 영동을 잠깐 거친 뒤 무주군과 금산군의 중심지를 지난 후 옥천군과 보은군의 중심을 지나게 된다.] * [[4번 국도]]: 군을 동서로 관통하는 국도이다. [[옥천군]]에서 넘어와 심천, 영동읍, 황간, 추풍령을 거쳐 [[김천시]]로 넘어간다. 영동읍 서쪽으로는 진작에 왕복 4차로로 개량되었고, 동쪽으로는 지지부진하다가 결국 전구간 개량이 완료되었다. * [[19번 국도]]: 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국도이다. [[무주군]]에서 넘어와 학산, 양강, 영동읍, 용산을 거쳐 [[옥천군]] 청산면으로 넘어간다. 무주~영동 구간은 왕복 4차로이고, 영동 이북으로는 용산면 일부 구간만 확장되어 있다. 과거 [[서산영덕고속도로]]가 없을 때는 명절 때 버스들이 [[영동IC]]를 내려 이 도로를 타고 우회하곤 했다.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는 [[49번 지방도]], [[68번 지방도]]가 있고 [[지방도]]는 [[501번 지방도]], [[505번 지방도]], [[514번 지방도]], [[901번 지방도]]가 있다. == 버스 == === 농어촌버스 === [[동일버스]]가 운영하는 [[영동군 농어촌버스]]가 영동읍을 중심으로 영동군 전역을 커버하고 있다. 영동군 농어촌버스 일부 노선은 [[충청북도]] [[옥천군]], [[충청북도]] [[보은군]]이나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북도]] [[상주시]], [[전라북도]] [[무주군]]의 일부 지역까지 운영하고 있다. [[김천시 시내버스]]도 상촌면, 황간면, 추풍령면, 매곡면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심지어 [[구미시]], [[칠곡군]], [[대구광역시]]에서부터 영동읍내까지 시내버스로만 갈 수 있을 정도이다. 상촌면, 황간면, 추풍령면, 매곡면에서 [[김천시]]까지 직행노선이 있고, [[구미시 시내버스]], [[칠곡군 농어촌버스]]와 환승도 가능할 정도이다. 물론 [[김천시 시내버스]]를 타고 영동군 서부 지역으로 간다면 다시 요금을 지불해야 된다. 추가로 황간면에는 [[상주시 시내버스]]까지 들어온다.[* 이 중 [[황간버스정류장|황간]]과 [[추풍령터미널|추풍령]]은 [[시외버스 부천-김천|부천발 시외버스]]와 [[시외버스 거창, 김천-대전, 서울남부|서울남부 및 대전발 시외버스]]까지 정차하며, 이 노선은 추풍령-김천을 국도로 가는 [[김천 버스 11-6, 111-6|11-6, 111-6번]]과 달리 추풍령-김천을 [[경부고속도로|고속도로]]로 간다.][* 상촌 및 매곡에서는 시외버스는 없으나 [[김천 버스 11-7, 11-8, 111-8|11-7, 11-8, 111-8번]]이 정차한다.] === 시외버스 === [[동서울터미널]]에서 영동읍까지 [[코리아와이드 경북]]의 시외버스가 운행했지만 1일 5회로 기차 횟수보다 훨씬 적었고, 2018년 12월 17일 이마저도 폐선되었다. 이 외에도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경부고속도로]] 황간정류장에 중간 정차하는 우등고속버스가 1일 3회 운행한다.[* [[비아정류소]]와 비슷하게 정류장이 [[경부고속도로]]상에 있다. 표는 [[황간버스정류장]]에서 구입하여 간이 정류장으로 직접 올라가야 한다. 예전에는 구미로 가는 모든 고속버스가 황간에서 중간 승하차했지만, [[중부내륙고속도로]] 개통 후 1일 3회로 크게 감축됐다. 단, 구미-황간 사이는 예매가 안 된다. 황간발은 우등고속 좌석 중 2석(1번, 2번 좌석)만 코버스에서 배정된다. 강남발은 제한이 없다.] 영동군에서 시외버스를 타려면 [[영동역]] 바로 옆[* [[영동역]]에서 옛 터미널(오피스텔 옆 편의점) 가는 길에 [[영동경찰서]] 중앙지구대가 있다.]에서 탈 수 있다. 다만 [[버스 터미널]] 같지 않아 보이기 때문에 초행길에는 조심해야 한다. 원래 [[영동시외버스공용터미널]]은 몇 년 전만 해도 시내에 있기는 했으나 건물이 노후화되었다. 어느 날 무너뜨리고 새로 짓나 싶었더니 그 땅은 소유 문제로 몇 년 동안이나 방치되었고 이후 소유권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그 자리에는 오피스텔이 한 동 들어와 있다. 이제 시외버스를 타려면 해당 오피스텔 옆에 있는 [[편의점]][* 본래 슈퍼마켓이었다. 터미널이 존재하던 시절부터 영업하고 있었고, 터미널이 사라진 이후부터 티켓을 취급하기 시작했으며 일반 슈퍼마켓에서 편의점으로 업종변경을 한 지는 몇 년 되지 않았다.]에서 티켓을 구매하거나, 읍내 쪽에 티켓을 취급하는 정류장에서 티켓을 구매해야 한다. 정작 터미널 건물은 영동읍내 밀집지역을 벗어나면 있는 [[동일버스]] 차고지 옆에 있었으나, 2021년 1월 1일 계약만료로 인해서 폐쇄되었다.[* 최근에 시외버스의 운행횟수가 줄어서, 운영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http://www.ccd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1289|#]] 기타 관내 시외버스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옥천방면: 심천, 옥계리 * 김천방면: [[황간버스정류장|황간]], 추풍령 2016년 9월 12일부터 영동 - 대전을 오가는 버스가 다시 생겼다. 비용은 4,400원으로 기차 비용 2,600원에 비해 비싸다.[[http://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2872270|#]]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동군, version=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