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러관계)] [include(틀:영러관계 관련 문서)] || [[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100%]] || || '''{{{+1 [[영국|{{{#c8102e 영국}}}]]}}}'''[br]''{{{#c8102e United Kingdom}}}'' || '''{{{+1 [[러시아|{{{#0039a6 러시아}}}]]}}}'''[br]''{{{#0039a6 Россия Федерация Russian Federation}}}'' || [목차] == 개요 == 2020년대, 즉 2020년부터 2029년까지의 영국과 러시아 양국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문서이다. [[유로마이단]]사태,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돈바스 전쟁]]이 일어나자 영국은 유럽연합에 가입했을 당시에 러시아를 제재했고 러시아측도 영국에 대해 맞불제재를 했다. 그리고 영국에서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이 일어나자 영국은 러시아에 책임을 물어 러시아 외교관을 대거 추방하는 조치와 함께 제재했고 러시아측도 [[영국문화원]]폐쇄와 영국 외교관 추방 조치를 시행하면서 사실상 준단교 상태가 되었다. 2020년에 영국이 [[유럽연합]]을 완전히 탈퇴했지만, 2020년에도 영국의 대러제재는 시행되고 있다. == 2020년 == [[브렉시트]] 이후에도 대러제재는 지속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375345?sid=104|#]] 영국 공군은 3월 7일에 러시아 전투기가 접근함에 따라 전투기를 출격시켰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456882|#]] 러시아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정적을 뒤쫓기 위해 영국 정치인 등을 매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462816?sid=104|#]] 영국 국립사이버안보센터는 7월 16일에 성명을 내고 러시아 정부가 후원하는 해커 집단이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와 관련한 연구 성과 탈취를 시도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751902|#]] 영국 하원의 정보·안보위원회(ISC)가 작성한 러시아 보고서가 공개될 예정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09979644|#]] 그리고 러시아가 개입했는데도 아무도 무관심했다는 것이 드러났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62029?sid=104|#]] 7월 23일에 미국과 영국은 러시아가 위성 공격용 무기를 우주에 띄워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위협했다고 비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09984987|#]] 러시아 해커들이 2019 총선 개입위해 리엄 폭스 전 국제통상장관의 이메일 계정을 해킹했다고 보도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89990?sid=104|#]] 푸틴 대통령의 측근이 서방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버젓이 영국 대형은행을 통해 돈세탁한 것으로 드러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896049|#]] 2020년에 나발니가 암살 미수 사건을 겪으면서 네덜란드와 영국은 러시아를 제재한다고 밝혔다.[[https://korrespondent.net/world/4282083-esche-dve-strany-namereny-vvesty-sanktsyy-protyv-rf-za-navalnoho|#(러시아어)]] 11월 21일에 러시아 외교부는 영국의 러시아 제재에 맞불을 놓기 위해 영국 당국자 25명을 제재 조치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198865|#]] == 2021년 == 4월 15일에 영국이 러시아 대사를 초치해 바이든 행정부의 러시아 제재에 지지를 표명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421&aid=0005292233|#]] 4월 26일에 영국 외무부는 1억6600만 파운드(약 2563억원) 규모의 부패를 공모한 혐의로 기소된 러시아인 14명에 제재를 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468893|#]] 6월 23일에 러시아 국방부는 흑해 함대가 크림반도 앞바다를 접근할려던 영국 구축함을 향해 경고사격을 했다고 밝히자 영국측은 경고사격은 없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480743|#]] 러시아측은 영국 구축함이 흑해에서 추가 도발시 포격(!)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4926329?sid=104|#]] 크림반도 접근시 러시아의 반응이 담긴 영국군의 기밀문서가 영국의 길(!)에서 발견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487111|#]] 러시아가 영국 항공모함 전단을 견제하기 위해 최신형 초음속 순항 미사일을 시리아에 배치했다고 러시아와 영국 언론들이 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491597|#]] 러시아측이 모스크바 주재 BBC기자의 비자갱신을 거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2599388|#]] 10월 26일에 푸틴 대통령과 존슨 총리가 전화로 영러 양자관계, 기후변화, 아프간사태, 이란 핵문제에 대해 논의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026003900080?section=international/europe|#]] == 2022년 == 영국과 러시아가 2월 22일에 회담을 갖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861012?sid=104|#]] 1월 22일 영국 외무부는 성명을 내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정치인을 포섭해 친러정권 창출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776722?sid=104|#]] 1월 24일 존슨 총리는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은 재앙을 초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22&aid=0003660983|#]] 1월 30일 영국의 리즈 트러스 외무장관은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를 확대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974683|#]] 2월 7일 리즈 트러스 외무장관은 2월 10일에 러시아를 방문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986414|#]] 2월 10일 양국 외교장관 회담이 있었지만, 입장차만 확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25&aid=0003172738|#]] 2월 11일 영국 정부는 대러시아 제재법을 통과시켰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657682|#]] 그리고 영국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시 제재대상 기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995665?sid=104|#]] 존슨 총리의 웨이보계정이 푸틴 대통령에게 [[중국어]]로 경고하는 메시지를 보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989208|#]] 영국 정부가 푸틴 대통령 등의 검은 돈 세탁 경로로 지목 받아온 황금 비자 제도를 폐지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2993266|#]] 존슨 총리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시 러시아 기업들이 달러, 파운드로 거래하는 것을 막겠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919121?sid=104|#]] 2월 29일 영국 국방부는 북극해에서 러시아 잠수함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대잠 초계기를 이용한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3082818|#]] 9월 9일 러시아 정부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고 대표자를 보낸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432354?sid=104|#]] 12월 5일, 영국범죄국이 돈세탁, 사기혐의를 받고 있는 러시아 사업가를 체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575670?sid=104|#]] 12월 21일, 메드베데프는 영국이 포클랜드 제도를 아르헨티나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26713?sid=104|#]] == 2023년 == 3월 3일, 영국에서 러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혐오범죄가 일어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791535?sid=104|#]] === 2022년-2023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2월 24일부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나면서 영국은 미국, 캐나다, EU, 호주, 일본, 대만과 함께 러시아를 비판했고 대러 제재에 나섰다. 2월 27일 브리티시 페트롤리엄은 로스네프트의 지분을 처분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030542|#]] 2월 28일 러시아 선박 입항을 금지하는 등 세컨더리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19807|#]] 3월 3일 영국 정부가 러시아 투데이(RT)에 퇴출 압박을 가하자 러시아 정부는 BBC에 대해 퇴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27082|#]] 3월 8일 폴리티코는 영국 정부도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를 발표하려 한다고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5957761|#]] 영국의 석유기업 셸이 러시아산 석유, 천연가스의 구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11&aid=0004027554|#]] 존슨 총리는 2022년말까지 러시아산 석유의 수입중단을 단계적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051837|#]] 3월 9일 영국 교통부는 러시아 여객기를 압수조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41167|#]] 3월 12일 프리미어리그 이사회는 [[로만 아브라모비치]]의 이사 자격을 박탈하기로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9&aid=0004933895|#]] 3월 19일 영국의 지식인들이 푸틴 대통령을 전범으로 재판하라는 청원을 제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8&aid=0004721821|#]] 3월 23일 미국과 영국, 캐나다의 수출신용기관들이 러시아와 벨라루스에 대한 신규 수출신용 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68672|#]] 3월 25일, 크렘린궁이 보리스 총리를 가장 반러시아적인 지도자라고 비판하자, 보리스 총리는 반박했다.[[https://www.mirror.co.uk/news/uk-news/kremlin-says-boris-johnson-public-26552758.amp|#]] 3월 29일, 캐머런 전 총리는 푸틴 대통령은 사실상 전범이라고 비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093885|#]] 4월 5일, 존슨 총리는 FIFA 총회가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하자 항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3096899|#]] 4월 6일, 영국 정부는 러시아가 보유중인 3,500억 달러를 동결시켰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17134?sid=104|#]] 주 독일 영국 대사관에서 경비로 근무중인 직원이 러시아 정보당국에 내부 문서를 팔아넘긴 사건이 일어나 독일 경찰에 체포돼 영국으로 송환됐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3097783|#]] 4월 8일, 영국 외무부는 푸틴 대통령과 라브로프 장관의 자녀들을 제재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112193|#]] 케이맨 제도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유로 러시아 부호의 자산을 동결조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1112362|#]] 4월 14일, [[마리우폴 전투]]에서 러시아군에 항복한 영국 출신 해병대원이 러시아군에 의해 구타당한 모습이 공개됐다.[[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aver?mode=LSD&mid=shm&sid1=001&oid=003&aid=0011125139&rankingType=RANKING|#]] 4월 16일, 러시아 외무부가 보리스 존슨 총리와 리즈 트러스 외무장관, 벤 월리스 국방장관을 포함한 고위 관료와 정치인 13명의 입국을 금지했다고 발표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416040200088?section=international/all|#]] 4월 21일 마리아 자하로바 대변인은 영국이 우크라이나 무기 공급 중단을 촉구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077898?sid=104|#]] 영국 정부는 러시아산 은, 캐비어의 수입을 금지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045087?sid=104|#]] 그리고 [[부차 학살]]에 연루된 러시아군 사령관 등 군 주요 인사 26명을 제재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30595?sid=104|#]] 4월 23일 러시아 정부는 영국 최정예 특수부대인 공수특전단(SAS)이 우크라이나에 파견돼 현지 병사들을 훈련시키고 있다고 주장했고 조사하겠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671303?sid=104|#]] 5월 4일. 영국 정부는 러시아 기업들이 컨설팅, 법률, 회계, 홍보 부문 영국 기업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20504165900085?section=international/all|#]] 5월 6일, 러시아 외교부는 주러 영국 대사를 초치해 영국 정부의 범러시아 국영 TV와 라디오 방송사에 대한 제재를 포함한 대 러시아 제재 조치에 항의했고 대러 제재를 계속할 경우, 양국관계는 끝난다고 경고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169231?sid=104|#]] 5월 12일, 존슨 촌리는 푸틴 대통령과의 관계 정상화가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181558?sid=104|#]] 같은 날, 영국이 [[알리나 카바예바]] 등 가족·친구 12명을 제재한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20514005100085?section=international/all|#]] 5월 27일, 존슨 총리는 러시아군이 돈바스에서 눈에 띄는 진전이 있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274232?sid=104|#]] 6월 9일 러시아가 영국인을 비롯한 우크라이나군 진영 용병으로 참전한 외국인 3명을 사형시키겠다고 발표하였다. 6월 14일. 러시아가 영국의 주요 언론계 인사와 국방부 및 방위산업체 고위인사 등 49명에 대해 자국 입국 금지를 포함한 개인 제재를 가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615002400080?section=international/all|#]] 6월 16일, 영국 외무부가 [[러시아 정교회]]의 [[키릴 1세]] 총대주교를 제재 리스트에 추가한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20616174800009?section=international/all|#]] 6월 17일, 토니 라다킨 참모총장은 러시아가 이미 전략적 패배를 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253392?sid=104|#]] 6월 21일. 러시아 당국이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사이트를 차단했다. [[https://m.yna.co.kr/view/AKR20220621161200080?section=international/all|#]] 6월 23일. 영국이 러시아에 제트기 연료와 연료 첨가물 등의 수출을 제한하는 추가 제재를 부과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623161300081?section=international/all|#]] 6월 24일, 러시아의 구룰로프 장군은 "'''[[제3차 세계 대전|세계 대전]]이 발발한다면 [[런던]]을 먼저 공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세계에 대한 위협은 [[앵글로색슨족]]으로부터 오는 것이 분명하다"며 인종차별적 망언을 서슴지 않았으며, "러시아는 [[바르샤바]], [[파리(도시)|파리]], [[베를린]]에서 (공격을) 시작하지 않을 것"이라며 영국을 위협했다.[[https://www.news1.kr/articles/?4723179|#]] 6월 29일. 니켈왕 블라디미르 포타닌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사촌을 제재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629173700085?section=international/all|#]] 7월 15일, 우크라이나에서 자원봉사중이던 영국인이 러시아군에 붙잡힌 뒤에 감옥에서 사망하자 영국 정부가 항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14781?sid=104|#]] 7월 26일. 콘스탄틴 추이첸코 러시아 법무부 장관의 영국 입국을 금지하고 영국 내 자산을 동결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726174400081?section=international/all|#]] 8월 1일, 러시아 외무부는 영국인 29명의 러시아 입국을 금지시켰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339425?sid=104|#]] 한국, 미국, 영국 등 42개국이 자포리자 원전을 점령한 러시아를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526498?sid=104|#]] 영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투표 협력자들을 추가 제재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927001900085?section=international/all|#]] 11월 10일, 영국 저지섬 경찰이 아브라모비치가 소유한 부동산을 불법수색하다가 배상위기에 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69264?sid=104|#]] 11월 15일, 리시 수낙 총리는 러시아를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77783?sid=104|#]] 11월 30일(현지시간) 러시아 동원령과 관련해서 데니스 만투로프 부총리 겸 산업통상부 장관 등을 제재한다고 밝혔다.[[https://m.yna.co.kr/view/AKR20221201001800085?section=international/all|#]] 12월 9일, 미국과 영국은 러시아와 이란의 관계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511411?sid=104|#]] 12월 13일, [[데니스 푸실린]]이 도네츠크주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고 주장했지만, 영국 측은 일축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0877594?sid=104|#]] 12월 19일, [[리시 수낙]] 총리는 러시아군의 철군없이는 펑화협상도 없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00607?sid=104|#]] 2023년 1월 5일, 푸틴 대통령이 크리스마스를 포함해 36시간 휴전을 선언하자 우크라이나 측은 비판했고 미국, 영국도 비판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84958?sid=104|#]] '황금비자' 소지자 중 러시아 신흥 재벌 10명이 우크라이나 침공 후 제재 명단에 올랐다.[[https://m.yna.co.kr/view/AKR20230113001400085?section=international/all|#]] 1월 12일. 러시아가 영국 정부, 사법기관, 언론사 등에 속한 인사 36명을 제재 명단에 추가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0112161300088?section=international/all|#]] 영국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한 스톰 쉐도우 미사일이 러시아군 점령지를 타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73493?sid=104|#]] 영국 외무부가 우크라이나 어린이 강제 추방에 가담한 11명을 포함해 우크라이나의 정체성을 파괴하려고 시도하는 러시아 인사 14명을 추가로 제재한다.[[https://m.yna.co.kr/view/AKR20230718002300081?section=international/all|#]] 러시아가 영국의 '적대적 행위'를 이유로 자국 내에 있는 영국 외교관들에 대해 여행 제한 조처를 내렸다.[[https://m.yna.co.kr/view/AKR20230721157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7월 31일. 영국은 반역죄로 25년형을 선고받고 항소심에서 패소한 블라디미르 카라-무르자의 기소에 관여한 판사와 관리들에게 제재를 가한다[[https://www.reuters.com/world/europe/uk-sanctions-russian-judges-officials-involved-kara-murza-trial-2023-07-31/|#]] 8월 8일. 영국은 이란 무인기 제조사를 포함해 러시아 군 공급업체 등 25곳을 제재한다.[[https://m.yna.co.kr/view/AKR20230808156200085?section=international/all|#]] 8월 14일. [[영국 공군]]이 영국 북쪽에서 러시아 폭격기를 요격했다고 한다. [[https://youtu.be/lDnvhl4ciAY|#]] 8월 15일. 영국 경찰이 러시아 스파이로 의심되는 불가리아 국적자 3명을 기소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0815068500085?section=international/all|#]] 지난해 러시아 전투기가 흑해 상공에서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영국 공군기를 격추하려고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https://m.yna.co.kr/view/AKR20230915076800704?section=international/all|#]] 9월 5일, 영국 정부는 [[바그너 그룹]]을 테러단체로 지정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174158?sid=104|#]] 9월 28일. 영국이 러시아 지방선거에서 점령지에서 치러진 선관위 핵심 인사들을 제재했다.[[https://kyivindependent.com/uk-sanctions-russian-officials-involved-in-organizing-sham-elections-in-ukraine/|#]] 11월 8일. 영국은 "금, 석유, 전략 분야"를 통해 러 러시아 29명의 개인과 단체에 제재를 가했다.[[https://kyivindependent.com/uk-targets-russian-gold-in-new-sanctions-package/|#]] == 관련 문서 == * '''[[신냉전]]'''([[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영국-벨라루스 관계]] / [[영국-우크라이나 관계]]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러관계, version=80, paragraph=2.4.2)] [[분류:영국의 외교]][[분류:러시아의 외교]][[분류:영러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