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릉(무덤)]] [목차] == [[고려왕릉]] == === [[고려]] [[경종(고려)|경종]]의 영릉(榮陵) === [[파일:external/photo-media.daum-img.net/20090309105101.460.0.jpg]] [[파일:경종 영릉.jpg]] 위 사진은 장경희 [[한서대학교]] 교수가 공개한 사진이며, 지난 2009년 신문기사를 통해 보도 되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42981.html|관련 기사]] 아래 사진은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1910년대 고려 경종 영릉의 모습.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 눌목리에 있는 고려 제5대 경종과 1비 헌숙왕후 김씨가 안장된 [[왕릉(무덤)|왕릉]]. 북한 치하의 고려왕릉들 중에서는 보존상태가 '그나마' 나은 축에 속한다.[* 한편, [[대한민국]]에 있는 [[고려왕릉]] 중 [[강화군]]에 있는 [[홍릉]] ([[고종(고려)|고종]]), 석릉([[희종(고려)|희종]])은 매우 작고 초라하다.] 981년 음력 7월 11일 경종이 승하하자 개경 남쪽 산기슭에 장사지내고, 능호를 영릉(榮陵)이라고 하였다. [[http://db.history.go.kr/id/kr_002r_0630_0020_0030|고려사 기록]] 헌숙왕후 김씨는 생몰년이 정확히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고려사 기록에 "훙서하고 나서 시호(諡號)를 헌숙왕후라 하고 경종과 같이 부묘(祔廟)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http://db.history.go.kr/id/kr_088r_0010_0400|고려사 기록]] === 고려 [[숙종(고려)|숙종]]의 영릉(英陵) === 고려 제15대 [[숙종(고려)|숙종]]이 안장된 [[왕릉(무덤)|왕릉]].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 눌목리에 있다. 2017년 숙종왕릉이 발굴되었다고 공식 발표되었다. [[https://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352400#cb|#1]][[https://www.google.co.uk/amp/s/mobile.newsis.com/view_amp.html%3far_id=NISX20200319_0000961302|#2]] === 고려 [[충숙왕]]의 4비 공원왕후의 영릉(令陵) === 고려 제27대 [[충숙왕]]의 4비인 공원왕후가 안장된 [[왕릉(무덤)|왕릉]]. 현재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 고려 [[충혜왕]]의 영릉(永陵) === [[파일:pan004710.jpg]]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사진으로서, 1916년도에 촬영된 충혜왕의 영릉으로 추정되는 모습이라고 한다. 우측 상단에 조그맣게 보이는 봉분이 능이다. 고려 제28대 [[충혜왕]]이 안장된 [[왕릉(무덤)|왕릉]]. 개성 신효사 부근에 묻혔다고 하나 현재 위치가 실전되어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 [[조선왕릉]] == [include(틀:조선왕릉)] === 조선 [[세종(조선)|세종]]과 [[소헌왕후]]의 합장릉인 영릉(英陵) ===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에 있다. 자세한 내용은 [[영릉(세종)]] 문서로. === 조선 [[효종(조선)|효종]]과 [[인선왕후]]의 동원상하릉인 영릉(寧陵) ===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에 있다. 자세한 내용은 [[영릉(효종)]] 문서로. === 추존왕 진종([[효장세자]])과 추존왕후 [[효순왕후]]의 쌍릉인 영릉(永陵) ===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파주삼릉]]안에 위치해 있다. 흔한 왕릉처럼 파주시민만 신분증 제시시 할인받을 뿐 외부인은 해당없다. [* 티맵에서 영릉을 찍으면 대부분의 사람이 생각하는 여주의 영릉이 아닌 파주의 영릉이 나올 수가 있으니, 여주의 세종 혹은 효종의 영릉을 가려면 세종대왕릉으로 검색하길 추천한다.] 자세한 내용은 [[파주삼릉]] 문서로. == 중국황릉 == === [[명나라]]의 11대 황제 세종 [[가정제]]가 안장된 영릉(永陵) === [[명13릉]] 참조 [[분류:고려왕릉]][[분류:조선왕릉]][[분류:동음이의어]][[분류:파주시]][[분류:중국황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