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영산대'''}}}'''(아랫반송)'''{{{+2 '''역'''}}} || ||<-3> [[부산 도시철도 4호선|[[파일:Busan4.svg|width=30]]]] || || [[미남역|{{{#!html
미남 방면}}}]][[석대역|석 대]][br]← 1.4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html
4호선
(411)
}}}]] || [[안평역|{{{#!html
안평 방면}}}]][[윗반송역|윗반송]][br]1.1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영산대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영어]] ||<-2> Youngsan Univ. || || [[한자]] ||<-2> 靈山大 || || [[간체자]] ||<-2> 灵山大学 || || [[가나(문자)|가나]] ||<-2> [ruby(霊山, ruby=ヨンサン)]大学 || ||<-3> '''주소''' || ||<-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로(부산)|반송로]] 803 ([[반송동(부산)|반송동]]) || ||<-3>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3> [[안평역|안평관리역]] 소속 / [[경전철운영사업소]] || ||<-3> '''운영 기관'''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호선}}}]] ||<-2> [[부산교통공사]] || ||<-3> '''개업일'''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호선}}}]] ||<-2> 2011년 3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섬식 승강장]] || [목차]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파일:attachment/566666.jpg|width=100%]]}}}|| || 영산대역 건물 || [clearfix] == 개요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411번,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로(부산)|반송로]] 803 ([[반송동(부산)|반송동]])[* [[반송동(부산)|반송동]] 698-12번지] 소재. 영산대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 투어|스탬프]]도 인근에 위치한 [[영산대학교]] 해운대캠퍼스를 배경으로 새겨넣었다. == 역 정보 == 공사 당시 역명은 하반송역이었으나 영산대역으로 최종 확정되었으며 부역명은 '''아랫반송'''이다. 이 노선의 모든 역명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지역명을 우선해야된다는 주민과 대학명을 내세워야 한다는 주민들 간의 이견이 있었으나[* 반송은 오랫동안 달동네로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다. 또한 4호선 개통 즈음에 인터넷에서 반송지역을 비하하는 [[반송드립]]이 유행해 [[고창권]] 전 해운대구의원이 나설 정도였다.] [[2010년]] [[2월 24일]]에 '''2시간 동안 마라톤 회의를 거친 결과 현재의 역명으로 최종 확정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24390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246987|#]] 이 곳에서 [[영산대학교]] 해운대캠퍼스[* 원래 이름은 부산캠퍼스였으나 [[2012년]]에 해운대캠퍼스로 바뀌었다. 이 일대가 일반적으로 [[해운대]]라고 부르는 지역은 아니지만 행정구역상으로는 [[해운대구]] 소속이다. 이전에는 '성심외국어대학'이라는 전문대학이었으나 [[2002년]]에 영산대학교와 통합되어 부산캠퍼스로 개편되었다.] 정문까지는 750m로 약간 먼 편. [[석대역]]과 달리 이 역은 개통 후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내에서 가장 많은 수요가 나왔는데 영산대학교, [[장산]] 기슭 사이의 넓은 주거지역&상업지역 등 반송동 핵심 시가지가 이 역의 직접배후지이기 때문이다. 그 외 이 역 부근에 160m 길이의 벽화가 생겨서 반송의 볼거리가 되었다. [[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101226_0007031922|참고]]. 4호선이 고가로 지어지면서 반송동을 지나는 반송로 역시 확장되었다. 미남행 열차는 출퇴근 시간대에 이 역에서 웬만한 자리는 다 채워서 출발한다. 또한 영산대학교 통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 역 주변 정보 == 역 바로 앞에 반송1치안센터, 119안전센터, 반송1동주민센터, 반송동우체국, 반송도서관이 모여있다. == 일평균 이용객 == 영산대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 {{{#ffffff '''연도'''}}} || [[부산 도시철도 4호선|[[파일:Busan4.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1년 || 6,933명 || [* 개통일인 3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2년 || 7,026명 || || || 2013년 || 7,068명 || || || 2014년 || 7,124명 || || || 2015년 || 7,016명 || || || 2016년 || {{{#217dcb 7,136명}}} || || || 2017년 || 7,095명 || || || 2018년 || 6,850명 || || || 2019년 || 6,799명 || || || 2020년 || 4,763명 || || || 2021년 || 4,796명 || || || 2022년 || 5,122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humetro.busan.kr/homepage/default/board/list.do?conf_no=81&board_no=&category_cd=&menu_no=1001040201|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아랫반송 전체를 역세권으로 삼는 역으로서, 2019년 하루 평균 6,799명이 이용하여 4호선 최상위권의 수요를 자랑한다. 심지어 개통 첫해부터 2014년까지는 부산 4호선 전체 1위를 차지했으나 2015년에 [[충렬사역]], 2016년에 [[수안역]]에게 승하차 인원 숫자가 밀려 지금은 3위에 랭크되어 있다. 이 역의 특징은 개통 첫해와 지금의 이용객 숫자가 거의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대체적으로 개통 첫해에는 1년 365일이 온전히 반영되지 못하고, 인지도 및 익숙함의 문제로 열차 이용 비중이 낮기 때문에 안정화된 이후와 상당한 수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이 역이 위치한 반송동은 부산의 오지라 불릴 만큼 그간 교통이 불편한 곳이었기에, 개통 전부터 4호선 개통에 유별나게 관심을 보였던 곳이다.[* 2009년에 4호선이라는 명칭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반송선'''이라고 불렸을 만큼, 4호선에 있어 [[반송동(부산)|반송동]]은 중요 경유지였다.][* 지도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장산]]과 [[운봉산]]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그래서 열차 개통을 오랫동안 기다린 사람들이 곧바로 전철 이용객으로 유입되었던 것이 주효한 이유로 꼽힌다.[* 183번, 189번 등의 버스를 이용해 동래로 갈수있지만, 동래로 이어지는 반송로는 정체가 워낙 잦기 때문에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의 막장환승을 감안하더라도 4호선을 선호한다. 반송에서 4호선을 이용해 농산물시장, 금사동, 서동, 그리고 드물지만 기장으로 가는 주민도 꽤 있다. 물론, [[센텀시티]] 방면으로 갈 경우 선택지 없이 무조건 버스를 이용한다.] 반송동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뚜렷한 재개발 계획도 없는 데다 대학교를 제외하면 외지인을 끌어올 요소도 없기 때문에 1년 차부터 정체를 보였고, 앞으로도 이 정도 규모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Youngsanu.jpg|width=100%]]||[[파일:1411.gif|width=100%]]||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승강장 || 역 안내도 || ||<-4> [[석대역|석대]]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윗반송역|윗반송]] || || {{{#ffffff 상}}} ||<|2> [[파일:Busan4.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반여농산물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동래역(도시철도)|동래]]·[[미남역|미남]] 방면 || || {{{#ffffff 하}}} ||[[고촌역(부산)|고촌]]·[[안평역|안평]] 방면 ||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 || [[연산역(부산)|연 산]] || ◁ || [[동래역(도시철도)|동 래]] || ▷ || [[온천장역|온천장]]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 ||<-5> {{{#c0c0c0 없 음}}}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 || [[사직역|사 직]] || ◁ || [[미남역|미 남]] || ||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 || [[미남역|미 남]] || ◁ || {{{#c0c0c0 영산대}}} || ▷ || [[안평역|안 평]]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 [[부전역(동해선)|부 전]] || ◁ || [[교대역(부산)|교 대]] || ▷ || [[센텀역|센 텀]] || == 연계 교통 == * 반송우체국(영산대역)(정류장 번호: 09-226) * [[부산 버스 36]]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15-1]] - 반송행 * [[부산 버스 129-1]] - 반송행 * [[부산 버스 183]][*심야 심야포함]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89]] - 반송행 * [[부산 버스 189-1]] - 반송행 * [[부산 버스 73|부산 버스 오전73]] - 정관행 * 반송우체국(영산대역)(정류장 번호: 09-228) * [[부산 버스 36]] - [[거제역]]행 * [[부산 버스 115-1]] - 해운대구청행 * [[부산 버스 129-1]] - 신라대학교행 * [[부산 버스 183]][*심야] - 부산대학교행 * [[부산 버스 189]] - 연산초등학교행 * [[부산 버스 189-1]] - 연산교차로행 * [[부산 버스 73|부산 버스 오전73]] - 롯데백화점동래점행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부산 버스 기장11]] == 사건·사고 == [[2013년]] [[1월 21일]]에 이 노선의 첫 열차가 신호 문제로 자동개폐가 되지 않아 역사 직원이 일일이 수동으로 문을 열고 닫았다. 4개역을 지난 이 역에서 오전 5시 10분에 이와 같은 운영은 어렵다고 판단되어 긴급복구를 위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 사고로 열차는 연착되었으며 오전 5시 45분에 운행을 재개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373365|#]] [[2019년]] [[9월 18일]] 오후 3시 12분경 안평방향 1-2지점에서 전동휠체어를 탄 70대 노인이 스크린도어와 충돌한 후 스크린도어를 뚫고 선로로 추락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노인은 구조됐지만 전동휠체어는 빼지 못해서 진입하던 열차와 충돌했다. 이 사고로 22분가량 양방향열차 운행이 중단됐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0744205|#]]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1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부산 도시철도 4호선]][[분류:해운대구]][[분류:영산대학교]][[분류:대학 명칭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