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암군)] [include(틀:영암군의 읍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Yeongam-map.png|width=540]] || [목차] == 읍 == === 영암읍 === ||{{{#black '''영암읍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영암읍)] || ||'''면적'''||59.8㎢|| ||'''인구'''||7,817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하위 행정구역'''||16리(42행정리 117반)[* 개신리·교동리·남풍리·농덕리·대신리·동무리·망호리·서남리·송평리·역리·용흥리·장암리·춘양리·학송리·한대리·회문리]|| ||'''행정복지센터'''||영암읍 낭주로 133|| ||'''링크'''||[[https://www.yeongam.go.kr/home/www/new_plus/village/village_01/yeongam.go|영암읍사무소]]|| 예로부터 읍치가 있어온 군의 중심지이다. 읍소재지는 동무리, 군청도 동무리에 있다. 삼호읍이 [[목포시]] 생활권이라면, 영암읍은 [[나주시]] 생활권이다. 예전부터 [[13번 국도]]가 읍 남북으로 지나면서 [[광주광역시]]와 [[나주시]]로 왕래하였으며, 오히려 [[목포시]]보다 [[광주광역시]]로 진출하기가 편하다. 13번 국도타고 영암읍에서 나주 시내까지 30분도 안 걸리며, 광주까지 1시간도 안 걸리고 진입이 가능하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방면으로 갈 때도 삼호읍처럼 [[서해안고속도로]]보다는 [[13번 국도]]로 통해서 [[광주광역시]]에서 [[호남고속도로]]를 타고 가는게 더 편할 정도다.] 그렇다고 목포시로 가는 교통도 그리 불편하진 않은게 [[영암 버스 101|101번 버스]]가 20~30분 간격으로 [[목포종합버스터미널]]까지 운행하기 때문이다. [[유스퀘어|광주]]행 시외버스는 하루에 47편이나 있다.[* [[해남종합버스터미널|해남]], [[강진버스여객터미널|강진]] 방면에서 오는 직행버스들이 [[영암여객자동차터미널|영암읍]]을 경유하기 때문이다.] 바로 남쪽에 [[월출산]]을 끼고 있기 때문에,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수치상의 해발 고도도 비교적 높은데[* 해발 '''810m'''로,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높이이다. 참고로 '''인천광역시 최고봉'''인 [[마니산]]의 해발고도가 '''472.1m'''로 월출산보다 340m나 더 낮다.] 거의 해수면에 근접한 곳에서 등반을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영암읍내 평균 고도가 고작 '''40m'''로 생각보다 낮은 편이다.] 체감상으로는 훨씬 높게 느껴지며, 절벽이 많은 바위산으로 낙석 위험이 높아 등반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등반객들이 월출산을 보고 '''악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바위가 많다는 뜻과 난이도가 있는 산이라는 뜻을 모두 담고 있다.] 영암군청, 영암경찰서, [[전라남도영암교육지원청]], 영암종합운동장, 영암[[향교]], 월출산기찬랜드가 있다. 학교는 영암초, 영암중, 영암여중, [[영암고]], 영암여고가 있다. 읍 동쪽의 활성산 때문에 한대리는 영암읍의 다른 마을로 통하는 길이 인도밖에 없어서 실질월경지나 다름없으며 [[영산강]] 유역이 아닌 [[탐진강]] 유역이다. [[13번 국도]]를 왕복 4차로로 확장하면서 [[강진군]] 성전면과의 경계에 풀치터널이 건설되어 [[강진군]], [[해남군]], [[완도군]]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 [[삼호읍]]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삼호읍)] ||{{{#black '''삼호읍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삼호읍)] || ||'''면적'''||97.0㎢|| ||'''인구'''||22,058명(中 서부출장소 6,504명) [*A]|| ||'''하위 행정구역'''||10리(68행정리 149반)[* 나불리·난전리·동호리·망산리·산호리·삼포리·서창리·서호리·용당리·용앙리]|| ||'''행정복지센터'''||삼호읍 중앙촌길 32|| ||'''링크'''||[[https://www.yeongam.go.kr/home/www/new_plus/village/village_02/yeongam.go|삼호읍사무소]]|| 읍소재지는 용앙리. 서부출장소는 용당리와 삼포리를 관할한다. '''현대가 키운 동네''' 이 한 마디로 설명이 가능하다. 영암읍을 중심으로 한 군내 다른 지역은 [[나주시]]와 교류를 많이 하고 병원 등 일을 보기 위해서는 광주나 나주로 가지만, [[삼호읍]]과 학산, 미암은 [[목포시]]권이다. 단순히 목포권이라는 게 아니라 마치 목포시계 내인 것처럼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다. [[목포 버스 300]], [[목포 버스 500]], [[목포 버스 900]]은 목포시 버스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삼호읍 주민 공식 시내버스가 된 지 오래다. [[영암군]]의 [[농어촌버스]]가 잘 안 다니는 곳이고 목포시 노선들이 영암군 농어촌 버스보다도 훨씬 많이 굴러다닌다. 영암방조제로 [[해남군]] 화원반도와, [[영산강하굿둑]]과 신항교([[목포대교]])로 [[목포시]]와 연결된다. 이 지역의 특산물은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도 등록된 [[무화과]]. 대불산단과 [[대한민국 해군]] [[제3함대(대한민국 해군)|제3함대]], [[영암소방서]], [[세한대학교]], 전라남도농업박물관 등이 위치해 있다. 국내 최초의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F1 개최 서킷]]도 이 곳에 자리잡고 있다. 학교는 대불초, 삼호중앙초, 서창초, 용당초, 삼호중, 삼호서중, [[삼호고등학교|삼호고]]와 특수학교인 은광학교가 있다. == 면 == === 금정면 === ||{{{#black '''금정면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금정면)] || 영암군 북동부에 위치한 면이다. 면소재지는 용흥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 남송리·세류리·쌍효리·아천리·안노리·연보리·연소리·와운리·용흥리·월평리·청용리] 인구는 '''2,049명'''.[*A] 면 남북으로 [[23번 국도]]가 지나며, 23번 국도를 통해 북쪽으로 [[나주시]] 세지면, 남쪽으로 덤재를 넘어서 [[장흥군]] 유치면과 접한다.[* 참고로 북쪽으로 [[화순군]] 도암면이 접하긴 하지만 산에 가로막혀 길이 없다.] 영암군이긴 하지만 영암읍보다는 [[나주시|나주]](영산포), [[장흥군|장흥]]으로 진출하기가 더 편하다. [[819번 지방도]]로 통해 영암읍과 가깝기는 하지만 중간에 산이 있어서 고갯길 여운재를 넘어야 했지만, 여운재터널을 뚫어 예전보다 영암 읍내로 가기가 편해졌다. 영암군 중에서 평지보단 산지가 많다. 이 때문에 서광목장이 여기에 있으며 도로를 지나다 보면 목장에 위치한 거대한 [[풍차]]들이 보인다. 물놀이 테마파크인 뱅뱅이골 기찬랜드도 여기에 위치해 있다. 학교는 금정초가 있다. 여담으로, [[부산광역시]] [[금정구]]와는 한자가 '[[金]][[井]]'으로 동일하다. === 군서면 === ||{{{#black '''군서면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군서면)] || 면소재지는 월곡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 도갑리·도장리·동구림리·동호리·마산리·모정리·서구림리·성양리·양장리·월곡리·해창리] 인구는 '''3,126명'''.[*A] 면소재지인 월곡리보다는 오히려 동구림리, 서구림리 일대가 더 중심지로 보인다. [[월출산]]을 동쪽에 끼고 있다. [[도갑사]], [[왕인]]박사 유적지, 구림마을, 도갑사 쪽에서 월출산을 등반할 수 있다. 영암읍 천황사쪽에서 등반하는 것 보다는 좀더 완만하고 편한 등반이 가능하다. [[819번 지방도]]가 면 남북으로 지나면서 이 지방도로 통해 [[13번 국도]]와 [[2번 국도]]를 통해 [[광주광역시]]와 [[목포시]]로 진출하기가 편하다. 학교는 구림초, 구림중, 구림공고가 있다. 최근에는 [[백제]]의 [[왕인(백제)|왕인]]을 기리기 위해 군서면에서 왕인면으로 개칭을 추진하고 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today/article/6433308_35752.html|#]] === 덕진면 === ||{{{#black '''덕진면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덕진면)] || 면소재지는 덕진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 금강리·노송리·덕진리·백계리·영등리·영보리·용산리·운암리·장선리] 영암읍의 멀티이다. 인구는 '''1,746명'''.[*A] 교과서에도 실렸던 덕진다리 전설로 유명하다. 영보리에 영보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13번 국도]]가 면의 남북으로 지난다. 학교는 덕진초가 있다. === 도포면 === ||{{{#black '''도포면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도포면)] || 면소재지는 구학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구학리·덕화리·도포리·봉호리·성산리·수산리·영호리·원항리] 인구는 '''2,140명'''.[*A] 도포원예마을이 있다. 학교는 도포초, 도포중이 있다. === 시종면 === ||{{{#black '''시종면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시종면)] || 면소재지는 내동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구산리·금지리·내동리·만수리·봉소리·신연리·신학리·신흥리·옥야리·와우리·월롱리·월송리·월악리·태간리] 인구는 '''3,332명'''.[*A] 면소재지에서 [[801번 지방도]]와 [[821번 지방도]]가 갈라지는데 801번 지방도로 가면 [[나주시]] 공산면으로 향하고 821번 지방도로 가면 [[나주시]] 반남면으로 향한다. [[영산강하굿둑]] 건설로 형성된 넓은 간척지를 끼고 있다. [[최희섭]]의 고향이다. [[김완(동명이인)#s-4|김완]] 장군 묘소 및 신도비, 마한문화공원, 옥야리 고분군, 신연리 고분군 등이 있다. 신금대교가 건설되어 서호면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학교는 시종초, 시종중이 있다. 여담으로, 한자가 진짜로 '처음과 끝'을 뜻하는 그 始終이다(...) 물론 이 낱말에서 유래한 건 아니고, [[부군면 통폐합]] 때 영암의 북이'''시'''면, 나주의 '''종'''남면, 진도의 [[월경지]]인 명산면을 합치면서 이 이름들에서 따서 지은 것이다. 바로 이 시종면에 마한 거수국이 있었고, 근초고왕 당시에는 해남 북일면 신월리 세력과 함께 [[침미다례]]를 주도하고 있었으나 근초고왕 때부터 백제국의 마한 종주권을 인정한 바 있었다. 하지만 백제가 바로 건너편 나주 반남면 세력을 지원하면서 영암 일대는 점차 쇠퇴하게 된다. 사실 고대에는 나주와 한 생활권이었던 만큼, 나주 반남면 일대가 영암 시종면 일대의 분가 세력이었던 건 그다지 이상한 일은 아니다. === 신북면 === ||{{{#black '''신북면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신북면)] || 면소재지는 월평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금수리·길곡리·명동리·모산리·양계리·용산리·월지리·월평리·유곡리·이천리·장산리·학동리·행정리] 인구는 '''3,531명'''.[*A] [[나주시|나주]](영산포)와 영암읍의 중간에 위치하며, 영암군 북부의 소중심지. [[유스퀘어|광주광역시]], [[나주버스터미널|나주시]] 방면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탈 수 있는 신북시외버스터미널도 있고, 나주나 영암까지 군내버스도 다닌다. [[전방(기업)|전남방직]] 영암공장이 있다. [[13번 국도]]를 통해 [[나주시]] 세지면과 접한다. 여기까지 올라오면 영암읍처럼 [[목포시|목포]]와 [[광주광역시|광주]]가 겹치는 것도 없고 그냥 [[광주권]]이다. 학교는 신북초, 신북중, [[전남에너지고등학교|전남에너지고]]가 있다. 양계리, 학동리 일대에는 [[820번 지방도]]가 지나는데, 이 길이 나주시내와 나주시 반남면을 잇는 최단경로이다. 즉, 나주시 입장에서는 같은 나주시 지역을 왕래하는 데 영암군 땅을 밟는 셈이 된다. 또한 이러한 입지 때문에 양계리, 학동리 일대는 나주시내 및 반남면 생활권에 좀 더 가까우며, 흔히 나주 세지면 송제리와 묶어서 군계라 불리는 갈곡리 동부와 금수리 북부 역시 나주시내 및 세지면 생활권에 좀 더 가깝다. === 서호면 === ||{{{#black '''서호면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서호면)] || 면소재지는 장천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 금강리·몽해리·성재리·소산리·쌍풍리·임길리·장천리·청용리·태백리·화송리] 인구는 '''1,852명'''.[*A] 신금대교가 건설되어 시종면 등지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엄길리 지석묘, 장천리 선사주거지가 있다. [[남해고속도로]] [[서호학산IC]]가 있다. 학교는 장천초, 서호중이 있다. === 학산면 === ||{{{#black '''학산면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학산면)] || 목포에서 강진으로 넘어가기 직전에 있는 지역이다. 면소재지는 독천리로, 독천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 금계리·독천리·매월리·묵동리·상월리·신덕리·용산리·용소리·은곡리·학계리] 인구는 '''2,868명'''.[*A] 과거에는 여기와 미암면에도 갯벌이 있어서 세발[[낙지]]가 유명했지만 방조제 건설로 끝. 물론 지금도 낙지가게는 많다. 면의 모양이 동서로 길어서 무영대교 남단 근처부터 밤재터널 근처까지가 학산면에 속하는데, 이러한 형태로부터 예전에는 독천까지 바다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면소재지인 독천 일대는 서호면과 미암면 사이에 잘록하게 끼어 있다. [[2번 국도]]를 통해 밤재를 넘으면 [[강진군]] 성전면과 접한다. 삼호읍처럼 생활권이 [[목포시]]이며 [[2번 국도]]를 타고 학산면에서 목포시내까지 30분도 안 걸린다. 독천터미널에서 목포로 가는 시외버스, 좌석버스와 농어촌버스가 다니며, [[목포 버스 500]]번(좌석버스)의 종점이면서 동시에 [[영암 버스 101|목포-영암간 농어촌버스]]의 중간 경유지로 두 노선 모두 20-30분 간격이라 목포까지의 대중교통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영암읍내나 해남, 순천 방면으로도 교통이 편리한 반면 광주로 가려면 읍내로 나가서 광주행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학계리 지석묘군, 김완 장군 유적지, [[동아보건대학교]], [[남해고속도로]] [[서영암IC]]가 있다.[* 정작 [[학산IC]]의 실제 위치는 서호면 청용리에 있다.] 2023년 [[영암월출역]]이 개통할 예정인데 문제는 소재지가 삼호와도 독천과도 가깝지 않은 깡촌인 은곡리. 학교는 독천초, 학산초, 낭주중, 영암낭주고가 있다. 독천시외버스터미널은 독천 바로 옆인 미암면 채지리에 위치한다. === 미암면 === ||{{{#black '''미암면 (영암)'''}}} || [include(틀:지도, 장소=영암 미암면)] || 면소재지는 춘동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 남산리·두억리·미암리·선황리·신포리·신한리·채지리·춘동리·호포리] 학산면과 붙어있는 영암 최남단 행정구역이다. 인구는 '''2,151명'''.[*A] [[819번 지방도]]를 통해 [[해남군]] 계곡면과 접한다. 채지리 일부 지역은 독천 시가지와 일체화 되어있으며 [[2번 국도]] 채지교차로로 통해 [[목포시]]로 진출하기가 편하다. 독천시외버스터미널도 학산면 독천리가 아닌 미암면 채지리에 위치한다. 학교는 미암초, 미암중이 있다. [[분류:영암군]][[분류:영암군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