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사)] [목차] == 개요 == [[초등학교]][* 요즘에는 영어 교과 전담 교사를 따로 두고 가르치는 일이 많다. 보통, 영어 전담교사는 [[초등교사]] 중 교육대학에서 영어를 심화 전공으로 배운 교사 중에서 한 명을 선임한다.],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영어(교과)|영어]]를 가르치는 [[교사]]. 보통 영어 교사 중 한국인 교사는 [[영어/문법|문법]], 어휘, 독해, [[대학수학능력시험/영어 영역|수능 영어 영역]]을 담당하고 [[원어민 강사|원어민 교사]]는 회화, [[영미권|영어권]] 문화 수업을 담당한다. [[원어민 강사|원어민 교사]]가 직접 [[토론]], 작문, [[에세이]] 첨삭 수업, [[TOEFL]], [[IELTS]], [[Advanced Placement]], [[SAT]], [[GCE Advanced Level]], [[International Baccalaureate]] 수업 등을 하기도 한다. 교사마다 가르치는 방법이 천차만별이라, [[영어/문법|문법]]을 좌르륵 늘어놓는 교사, 교과서에 있는 단어를 나열하고 본문은 설렁설렁 넘어가는 교사, 본문만 해석해주고 끝내는 교사, 본문을 해석해 주고 자고 있거나 집중 안 하는 학생을 골라 문제를 풀게 시키는 교사, 본문 해석이나 특정 문제를 직접 어떤 학생 아무나 찝어서 시키고 다 끝내면 그에 대한 부연설명을 하는 교사, [[날먹 |아예 학생한테 수업을 시키는 교사]]까지 다양하다. 물론 전체적으로 핵심을 잡아 설명해 주는 교사도 있지만, 이런 경우 수업 준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다 보니, 아무리 교사라도 웬만한 정성으로는 힘든 감이 있다. 또한 [[교수법]]에 있어 기자재 사용에서도 차이가 나는데, 수업시간에 많은 부가 자료를 이용하여 화려하게 설명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전체를 다 말로만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것은 학교의 시설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다.] 현역으로 뛰는 영어교사들 중에는 과거 영어교사가 부족하던 시절에 [[영어영문학과|영문학]], [[영어교육과|영어교육학]] 비전공자 출신들이 영어교사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일부 [[사립학교]]의 경우 [[영어/문법|문법]], 독해, 회화 등의 면에서 학생에게 지적받는 교사까지 있다. 또한 나이가 많을수록 [[콩글리시|한국식 영어 발음]]을 하는 교사도 있다. 물론 [[영국식 영어]], [[미국식 영어]]를 [[원어민 강사|원어민]] 못지않게 구사하는 교사도 있다. 2000년대 이후 교사가 인기 직종이 된 이후에는, 영어교사에 우수한 인재가 많이 몰리면서 영어 실력이나 교사 숫자가 부족한 일은 없어졌다. 오히려 [[교육청]]에서 영어교사에게 요구하는 것이 너무 많아서 영어교사들이 고생하기도 한다. 특히 영어교사들이 교수/학습 지도안을 [[영어]]로 작성하고 수업을 [[영어]]로 시연하는 것이 [[임용시험]] 2차 면접에서 요구된다. 합격하고 나서도 [[영어]]로 된 도서 및 [[도서관]] 관리 담당, 전체 수업을 [[영어]]로 시연하는 것, [[TESOL]], [[TOEIC]], [[TOEFL]], [[IELTS]] 응시 및 연수받을 것을 요구하는 등 과도한 지시가 내려진다. 그리고 일부 학교의 경우 [[고3]] 수업에서도 [[교과서]]로 수업하라고 지시받기도 한다.[* 당장 대부분의 고1~2들이 학력평가 출제 문제들로 수업을 나가는 경우가 많아 원래부터 교과서가 곁다리인 경우가 많은데다가 고3들은 대부분이 [[대학수학능력시험/영어 영역|수능]]을 응시하기 때문에 수능과 많이 동떨어져 있는 교과서를 공부하기에는 부담스럽다. 보통 [[수능특강]], [[수능완성]] 위주로 수업하며, 추가로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기출문제, [[대학수학능력시험/영어 영역|대학수학능력시험]] 기출 문제를 가지고 수업을 한다.] 그리고 과목 특성상 [[제2외국어]] 과목도 겸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체로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등 [[유럽]](특히 [[서유럽]]) 지역 언어 중에서도 [[로마자]]를 사용하는 유럽어권 제2외국어 과목을 겸직하는 경우가 많다. == [[원어민 강사|원어민 교사]] == [[원어민 강사|원어민 교사]]는 [[한국인]] 교사가 아닌 [[영어]]가 모국어인 영어교사로 주로 회화 및 [[영미권|영어권]] 문화, [[에세이]], [[영어]] 토론 관련 수업을 담당한다. 일부 [[원어민 강사|원어민 교사]]는 [[TOEFL]], [[IELTS]], [[Advanced Placement]], [[SAT]], [[GCE Advanced Level]], [[International Baccalaureate]] 등을 수업하기도 한다. EPIK(English Program In Korea)에 따르면 [[공립학교]] 교사들의 국적은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아일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대한민국]] - [[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을 체결한 [[인도]] 국적으로 한정돼 있다. 이들은 일반 대학[* 4년제라고 하지 않고 일반 대학이라고 한 이유는 [[영국]]의 [[잉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와 [[호주]], [[뉴질랜드]] 3개국의 일반 대학은 일반 학과 기준 3년제이기 때문.]에서 학사 학위를 받아야 하고[* 전공이 무엇인지는 상관없다. 이런 이유로 [[경제학]]을 전공한 원어민 교사가 있을 수 있는 것.] 전과가 없어야 한다. [[캐나다]] [[퀘벡]],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적자의 경우 [[중등교육기관|중등교육]]을 [[영어]]로 이수해야 되고, [[대학교]] 학사 과정 역시 [[영어]]로 이수해야만 비자 발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인도]] 국적자의 경우 영어교사 자격증이 있는 자만 지원이 가능하다. 그리고 [[TESOL]], CELTA, TEFL 등을 보유해야 되고 해당 자격증 관련 강의 이수 시간을 100시간 이상 채워야 된다. 단 [[교육학과]]에서 [[TESOL]] 전공한 자, [[영어영문학과]] 졸업자, [[사범대학]] 졸업 후 현지 교사 자격증이 있는 자[* [[초등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 [[사회교육과]], [[지리교육과]], [[역사교육과]], [[과학교육과]], [[체육교육과]], [[음악교육과]], [[교육공학과]] 등], [[하와이 대학교]] 비교언어학과 전공자, [[교육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갖춘 자는 [[TESOL]] 자격증 면제 대상이다. [[건강검진]], [[한국어]] 능력에 대한 검증, 인터뷰를 거쳐 [[대한민국/비자|회화지도 비자]]를 받고 각 학교에 채용된다. 보통 학교에서 [[원어민 강사|원어민 교사]]를 채용할 때 수업 전에 수습 기간 및 적응 기간을 거친 후 수업을 시행한다. 보통 [[미국인]][* 인종별로는 [[미국 백인|백인]]의 비중이 높지만 [[미국 흑인|흑인]], [[히스패닉]], [[한국계 미국인]]과 같은 [[아시아계 미국인]] 그리고 [[아메리카 원주민]]도 있다.], [[영국인]][* [[영국 백인|백인]]의 비중이 높지만 [[아일랜드계 영국인]], [[영국 흑인|흑인]], [[인도계 영국인]], [[파키스탄계 영국인]], [[화교]] 출신 영국인 등도 있다. 한국계 영국인도 있지만 드물다.], [[캐나다인]][* 인종별로는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등 영국계 캐나다인, [[아일랜드계 캐나다인]], [[프랑스계 캐나다인]], [[독일계 캐나다인]] 등 백인의 비중이 높지만 흑인, [[이누이트]], 캐나다 원주민, [[한국계 캐나다인]], [[인도계 캐나다인]] 등도 있다.]이 주를 이루지만 [[호주인]][* 인종별로는 [[영국계 호주인]] 등 백인의 비중이 높지만 흑인, [[호주 원주민]], 아랍계 호주인, [[한국계 호주인]]도 있다.], [[뉴질랜드인]][* [[유럽계 뉴질랜드인|백인]]의 비중이 높지만 [[마오리족]], 흑인, 폴리네시아계 뉴질랜드인, [[한국계 뉴질랜드인]]도 있다.], [[아일랜드인]][* 백인의 비중이 매우 높지만 흑인이나 아시아계가 드물게나마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적자[* 이 쪽은 [[흑인]]의 비율이 [[백인]]보다 높다. 그 흑인도 코사족, 줄루족, 츠와나족, 은데벨레족 등 다양한 민족으로 나뉘는 게 남아공이다.], [[인도인]] [[원어민 강사|원어민 교사]] 역시 존재한다. 학교 교사가 아닌 학원 강사나 과외 강사의 경우 [[원어민 강사]]라고 언급된다. 종교별로는 [[가톨릭]], [[성공회]], [[개신교]] 등 [[기독교]] 신자가 많은 편이나 인도계, 파키스탄계, 인도인은 [[힌두교]], [[이슬람]], [[시크교]] 신자도 많고 동아시아계는 [[불교]] 신자도 있다. == 관련 단체 및 커뮤니티 == * [[http://new.et21.org/|전국영어교사모임]] * [[http://cafe.daum.net/joyce95|ET의 꿈]] - 임용시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 [[https://cafe.daum.net/northboyhistory1|북소년국영수전용카페]] - 국어, 영어, 수학과의 통합카페로 주로 임용시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 [[나무위키]]에 작성된 실제 전/현직 영어교사 == ## 학력은 영어교사 교원 자격증을 취득한 학력 기준으로 작성되었고, 대한민국의 교원 자격증을 정식으로 취득하지 않은 경우 학부 과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한 후 대한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에서 영어교사 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시, 영어교사 교원자격증을 실제로 취득하게 된 대한대학교 교육대학원의 학력만 기재하였습니다. * [[강성만]] - [[서강대학교]] [[영문학과]] * [[고연승]]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학부/문과대학|문과대학]] [[연세대학교/학부/문과대학#영어영문학과|영어영문학과]] [[교직과정]] * [[김나현#s-2.2|김나현]]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교육학과]] * [[김보라(강사)|김보라]]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김수연(강사)|김수연]]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고려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김용지(강사)|김용지]]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김지철(교육인)|김지철]] - [[공주사범대학]][* 現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 [[김켈리]] * [[나쓰메 소세키]] - [[제국대학]][* 現 [[도쿄대학]]] [[문과대학]] [[영문학과]] * [[다케시타 노보루]] - [[와세다대학]] 상학부 [[상학과]] * [[레이나(강사)|레이나]] -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영어교육과]] * [[리영희]] - [[한국해양대학교|국립해양대학교]][* 現 [[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과]] * [[박새별(강사)|박새별]] * [[백석(시인)|백석]] - [[아오야마가쿠인대학]] 전문부 영어사범과 * [[송성문(교육인)|송성문]] - [[동아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송영선]]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심재철]]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윤장환]]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고려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이군현]] -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중앙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이아영(강사)|이아영]]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이진숙(기자)|이진숙]]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경북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정승익]] - [[한국교원대학교]] 제2대학 [[영어교육과]] * [[정지용]][* [[1929년]]에 [[도시샤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귀국하여 해방 전까지 휘문고보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하였다. 참고로 [[윤동주]] 시인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이 대학 영문과에서 수학하였다가 일경에 사상범으로 잡혀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하였다. 그래서 도시샤 대학에는 두 사람의 시비가 세워졌다. 정 시인의 시비에는 [[압천]]이, 윤 시인의 시비에는 [[서시]]가 한일 양국어로 모두 적혀 있다.] - [[도시샤대학]] [[영어영문학과]] * [[정해욱]] -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고려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이후 학사편입을 하였다.] * [[주혜연]]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범대학|사범대학]]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범대학#영어교육과|영어교육과]] * [[최혜정(1990)|최혜정]]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학부/문과대학|문과대학]] [[동국대학교/학부/문과대학#영어영문학부|영어영문학부]] 영어통번역학전공 [[복수전공]] * [[허준석(강사)|허준석]] - [[한국교원대학교]] 제2대학 [[영어교육과]] * [[황혜경]]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대학원#교육대학원|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 창작물에서 영어교사인 캐릭터 == * [[거침없이 하이킥]] - [[서민정(거침없이 하이킥)|서민정]] * [[걸 프렌드(베타)|걸 프레드]] - [[츠키시로 요코]] * [[공부의 신(드라마)|공부의 신]] - 한수정([[배두나]]), 장마리([[오윤아]]) * [[공의 경계]] - [[쿠로기리 사츠키]] * [[귀멸의 칼날]][* 스핀오프작 <중고등 통합교 귀멸학원 이야기> 기준.] - [[고토(귀멸의 칼날)|고토]]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 진노 구샤미[* 주인공 고양이는 구샤미를 보며 마음속으로 "선생이란 정말 편한 직업이구나. 인간으로 태어난다면 선생이 되는 것이 좋겠다. 저렇게 매일 빈둥거리며 지내면서도 선생을 할 수 있는 것을 보면, 고양이라고 하지 못하란 법도 없겠다."라고 조롱한다.] * [[꼰&잼]] - [[말뚝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프레젠트 마이크]] * [[드림하이]], [[드림하이 2]] - [[양진만]]([[박진영]]) * [[란마 1/2]] - [[니노미야 히나코]] * [[마법선생 네기마]] - [[네기 스프링필드]], [[타카미치 T. 타카하타]]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사오토메 카즈코]] * [[몽정기]] - 김유리([[김선아]])[* 교생 실습 시절에는 수학을 가르쳤지만 정식 교사가 된 후로는 영어 교사가 되었다.] * [[민쩌미]] - [[영어쌤]] * [[보이스 4]] - 장효준([[김영훈(배우)|김영훈]]) * [[사실 나는]] - [[코우모토 아카리]] * [[스켓]] - [[카네기 선생]] * [[소년심판]] - 한지원(박옥출) * [[악의 교전]] - [[하스미 세이지]] * [[암살교실]] - [[이리나 옐라비치]] * [[앵그리맘]] - 김신자([[박희진]]), 영어교사([[김영철(코미디언)|김영철]]) * [[열여덟의 순간]] -오한결([[강기영]]) * [[유머 1번지]] [[추억의 책가방]] - [[최영준(코미디언)|최영준]] * [[유유시키]] - [[마츠모토 요리코]] * [[일상(만화)|일상]] - [[사쿠라이 이즈미]] * [[아이돌 마스터 SideM]] - [[마이타 루이]] * [[지금 우리 학교는]] - [[박선화(지금 우리 학교는)|박선화]] * [[지붕뚫고 하이킥]] - [[줄리엔(지붕뚫고 하이킥)|줄리엔]] *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 [[츠쿠모 나나세]] * [[친절한 금자씨]] - 백한상([[최민식]]) * [[토라도라!]] - [[코이가쿠보 유리]] * [[페르소나 3]] - [[테라우치 선생]] * [[페르소나 5]] - [[쵸노 선생]] * [[풀 메탈 패닉!]] - [[카구라자카 에리]] * [[학교 1]] ~ [[학교 2]] - 이재하([[이창훈(1966)|이창훈]]) * [[학교 2]] ~ [[학교 3]] - 박광도([[박광정]]) * [[학교 3]] - 이종수([[최성준(1965)|최성준]]) * [[학교 2015]] - 안주리([[정수영(배우)|정수영]]) * [[학생회 임원들]] - [[요코시마 나루코]] * [[euphoria]] - 아오이 나츠키 * [[Fate 시리즈]] - [[후지무라 타이가]] [[분류:교사]][[분류:영어]][[분류:언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