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분류:영월군]]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3>
[[파일:영월군 CI_White.svg|width=20]][br] {{{+2 {{{#ffffff '''영월군청'''}}}}}}[br]{{{#ffffff 寧越郡廳 | Yeongwol County Offic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월군청사1.jpg|width=100%]]}}}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영월군청, 너비=100%, 높이=100%)]}}} || || '''주소''' ||<-2>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로 64 || || '''국가'''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관할구역''' ||<-2>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 || '''직원 수''' ||<-2> 650명 || || '''예산''' ||<-2> 5685억원(2023년) || || '''군수''' || [[최명서]] ,,(재선),,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 '''부군수''' ||<-2> 이관우 || || '''상급기관''' ||<-2> [[대한민국 정부]] [[행정안전부]] [br] [[강원특별자치도청]] || || '''홈페이지''' ||<-2> [[https://www.yw.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SNS''' ||<-2> [[https://www.facebook.com/youngworldyw|[[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yeongwol_ho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xILe0IuvJ0GuRvnRHdhfcw/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blog.naver.com/yeongwol4/220663986264|[[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월군청전경.jpg|width=100%]]}}}|| ||<#26b589> '''{{{#fff 영월군청 전경}}}''' || 영월군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으며 웅장한 건물로 보이는 동시에 올라가면 탁 트인 [[영월읍]] 전경을 볼 수 있다. 이렇게 경치가 좋은 만큼 단점은 '''높아서 걸어서 가기 힘들다.''' 그래서 주민들의 경우 방문할 때 통상 자가용, 택시를 이용하는 편이다. 특히 [[영월읍]] 주민들의 경우 여권 발급 등 꼭 군청에서 해야만 하는 일이 아니면 대부분 영월읍 행정복지센터[* 흔히 옛날 명칭인 '읍사무소'라고 불린다. 영월의료원 근처에 있으며 중심지 근처에 있기에 접근성이 편리하다.]에서 업무를 보는 편이다. == 역사 == === 역대 군수 === ||<#cf162a> '''{{{#white 대수}}}''' ||<#cf162a> '''{{{#white 성명}}}''' ||<#cf162a> '''{{{#white 기간}}}''' ||<#cf162a> '''{{{#white 정부 및 당적}}}''' || || 초대 || 한인택 || 1945.8.15~1945.8 ||<|5><#330066>{{{#ffffff 관선}}} ,,'''[[대한민국 임시정부|{{{#ffffff 임시정부}}}]]''',, || || 2대 || 박창신 || 1945.8~1946 || || 3대 || 금산성 || 1946~1947 || || 4대 || 이병재 || 1947~1947 || || 5대 || 정봉교 || 1947~1948 || || 6대 || 심경섭 || 1948~1949 ||<|10><#254170>{{{#ffffff 관선}}} ,,'''[[이승만 정부|{{{#ffffff 이승만정부}}}]]''',, || || 7대 || 김병선 || 1949~1950.10.24 || || 8대 || 이병호 || 1950.10.24~1952.10.24 || || 9대 || 함기성 || 1952.10.24.~1954.10.24 || || 10대 || 김병선 || 1954.10.18~1955.8.8 || || 11대 || 남원수 || 1955.8.8~1956.9.17 || || 12대 || 최준성 || 1956.9.17~1956.9.17 || || 13대 || 이상용 || 1958.4.23~1959.1.13 || || 14대 || 지춘식 || 1959.1.13~1959.8.25 || || 15대 || 박하영 || 1959.8.25~1960.5.23 || || 16대 || 한우삼 || 1960.5.23~1960.11.23 ||<#254170>{{{#ffffff 관선}}} ,,'''[[이승만 정부|{{{#ffffff 허정과도정부}}}]]''',, || || 17대 || 정강시 || 1960.11.23~1961.7.20 ||<#000080>{{{#ffffff 관선}}} ,,'''[[장면 내각|{{{#ffffff 장면내각}}}]]''',, || || 18대 || 김기석 || 1961.7.20~1962.5.28 ||<|4><#29166f>{{{#ffffff 관선}}} ,,'''[[국가재건최고회의#국가재건최고회의|{{{#ffffff 국가재건최고회의}}}]]''',, || || 19대 || 김순권 || 1962.5.28~1962.7.17 || || 20대 || 김병규 || 1962.7.17~1963.7.16 || || 21대 || 김경산 || 1963.7.16~1965.9.20 || || 22대 || 서명택 || 1965.9.20~1966.9.24 ||<|11><#835b38>{{{#ffffff 관선}}} ,,'''[[박정희 정부|{{{#ffffff 박정희정부}}}]]''',, || || 23대 || 김형기 || 1966.9.24~1967.12.1 || || 24대 || 김용운 || 1967.12.1~1969.7.21 || || 25대 || 김원희 || 1969.7.21~1970.3.3 || || 26대 || 엄대현 || 1970.3.3~1971.8.20 || || 27대 || 유은재 || 1971.8.20~1973.8.4 || || 28대 || 김명한 || 1973.8.4~1974.9.3 || || 29대 || 정영철 || 1974.9.3~1977.2.10 || || 30대 || 김운기 || 1977.2.10~1979.4.4 || || 31대 || 김승우 || 1979.4.4~1979.9.7 || || 32대 || 전창선 || 1979.9.17~1980.3.12 || || 33대 || 정의철 || 1980.3.12~1980.5.15 ||<|2><#808080>{{{#ffffff 관선}}} ,,'''[[최규하 정부|{{{#ffffff 최규하 정부}}}]]''',, || || 34대 || 이길원 || 1980.5.15~1981.7.6 || || 35대 || [[이시종]] || 1981.7.6~1982.1.22 ||<|4><#004c97>{{{#ffffff 관선}}} ,,'''[[전두환 정부|{{{#ffffff 전두환정부}}}]]''',, || || 36대 || 김의환 || 1982.1.22~1983.12.27 || || 37대 || [[김진선(1946)|김진선]] || 1983.12.27~1985.3.11 || || 38대 || [[안구순]] || 1985.3.11~1988.6.11 || || 39대 || 권영일 || 1988.6.11~1989.3.7 ||<|3><#0A84E9>{{{#ffffff 관선}}} ,,'''[[노태우 정부|{{{#ffffff 노태우정부}}}]]''',, || || 40대 || 이종호 || 1989.3.8~1991.1.13 || || 41대 || 전동빈 || 1991.1.14~1993.3.29 || || 42대 || 박완영 || 1993.3.29~1995.3.27 ||<|2><#003990>{{{#ffffff 관선}}} ,,'''[[문민정부|{{{#ffffff 문민정부}}}]]''',, || || 43대 || 남궁진 || 1995.4.4~1995.6.30 || || 44대[br],,민선1기,, ||<|2> [[김태수(1940)|김태수]] || 1995.7.1~1998.6.30 || [include(틀:무소속)] || || 45대[br],,민선2기,, || 1998.7.1~2002.6.30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 46대[br],,민선3기,, || 김신의 || 2002.7.1~2006.6.30 || || 47대[br],,민선4기,, ||<|3> [[박선규(1957)|박선규]] || 2006.7.1~2010.6.30 ||<|2> [include(틀:한나라당)] || || 48대[br],,민선5기,, || 2010.7.1~2014.6.30 || || 49대[br],,민선6기,, || 2014.7.1~2018.6.30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 50대[br],,민선7기,, ||<|2> [[최명서]] || 2018.7.1~2022.6.30 || [include(틀:자유한국당)] || || 51대[br],,민선8기,, || 2022.7.1~ || [include(틀:국민의힘)] || == 조직 == === 본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년영월군청조직도2.jpg|width=100%]]}}}|| === 직속기관 === * 보건소 * 농업기술센터 * 상하수도사업소 * 환경시설관리사업소 === 휘하 행정복지센터 === * [[영월읍|영월읍사무소]] * [[상동읍|상동읍사무소]] * [[무릉도원면|무릉도원면사무소]] * [[주천면|주천면사무소]] * [[한반도면|한반도면사무소]] * 쌍용출장소 * [[북면(영월)|북면사무소]] * [[남면(영월)|남면사무소]] * [[김삿갓면|김삿갓면사무소]] * [[산솔면|산솔면사무소]] == 교통 == === 버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월군청앞버스정류장.jpg|width=100%]]}}}|| ||<-2>
{{{+1 {{{#373A3C,#dddddd '''군청 <정류장>'''}}}}}} || || '''{{{#ffffff 시내노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1|{{{#ffffff 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10|{{{#ffffff 1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12|{{{#ffffff 1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12-1|{{{#ffffff 12-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15|{{{#ffffff 1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17|{{{#ffffff 1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17-1|{{{#ffffff 17-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2|{{{#ffffff 2}}}]]}}}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20|{{{#ffffff 2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20-1|{{{#ffffff 20-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3|{{{#ffffff 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5|{{{#ffffff 5}}}]]}}}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17|{{{#ffffff 7}}}]]}}}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6b589; font-size: .95em" [[영월 버스 17-1|{{{#ffffff 22}}}]]}}} || 군청 아래 [[기아자동차]] 매장에 버스 정류장이 위치한다. 1, 10, 12, 12-1, 15, 17, 17-1, 2, 20, 20-1, 3, 5, 7, 22번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https://www.yeongwol-pti.com/index.php|영월군대중교통정보]] == 여담 == * 예전에는 군청과 군의회만 위치했었으나, 2005년 7월 공립 [[http://dgphotomuseum.com/|동강사진박물관]]이 개관했다. 80년대 후반 영월군 곳곳에 들어섰던 광산들이 폐광되면서 인구가 크게 줄어들자 2000년대 중반 '''"지붕 없는 박물관 도시"'''를 관광 활성화를 위한 군정 방향으로 삼으면서 영월군 곳곳에 공립/사립 박물관들을 개관하면서 그 일환으로 조성한 박물관이다. 매년 여름에서 가을동안 '동강국제사진제'를 개최한다. * 군청에서 각 방면으로 나가는 길이 있는데, 상술하다시피 군청이 언덕 위에 있어서 들어오고 나가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진입로가 경사가 있어서 자칫 잘못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정문 쪽으로 나가면 영월읍 중심지로 갈 수 있으며, 영월세무서와 [[영월버스터미널]], 서부시장, 관풍헌[* 청령포에 유배되었던 [[단종(조선)|단종]]이 옮겨와 숨을 거둔 곳. 건물 자체는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주변은 '영월부 관아'라는 이름으로 사적으로 지정되었다.]으로 갈 수 있다. * 후문(동강사진박물관 방향) 쪽으로 나가면 [[산림청|영월국유림관리소]]와 사립 석정학원([[석정여자중학교]], [[석정여자고등학교]]), 영월교육도서관, 영월공설운동장, 영월교육지원청이 있으며, 더 나아가면 [[영월소방서]]와 [[단종(조선)|단종]]의 유배지였던 청령포(명소)와 잠든 곳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장릉(단종)|장릉]]이 있다. 여담으로 후문 앞을 지나가는 영월로([[31번 국도]])로는 [[영월버스터미널]]을 경유하는 시외버스들이 지나가며 그 앞의 군청사거리는 본라 사거리였지만, 2019년 회전 교차로로 개선되었다. * 군청 뒷편 반대 방향은 현재 주차장이 조성되어 정상적인 루트로 갈 수 없지만, 정문에서 나가 '하송로'라는 도로로 장릉 방면으로 가다가 보면 영월군 보건소가 있으며, 그 옆의 올라가는 길로 가면, 영월군장애인문화복지센터와 영월군청 별관[* 과거에는 영월군 보건소로 사용했으며, 접근성이 좋은 현 위치로 2015년경 신축 이전하기 전까지 사용래 지역에서는 '구보건소'라고 불린다. 현재는 '치매안심센터'와 '정신건강복지센터'가 들어섰다.]이 있다. * [[영월읍]] 하송리 일대의 아파트단지 건설의 건설의 단초가 된 [[LH아파트/목록/강원특별자치도#s-12|주공1차 아파트]]가 군청 앞에 있다. [[1983년]] 5층 10개동 규모로 완공해 입주해 현재는 낡았으나, 영월군 내 부동산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선 나름 영월의 [[압구정 현대아파트]] 취급을 받고 있어서 해당 아파트 몇 채를 소유한 사람들이 있기도 하다. 이미 지어진 지 오래되어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상황[* 현재 영월읍 내 주공아파트는 5곳인데, 1차와 2차(1992년 입주)는 5층 규모이며, 90년대 후반에 지어진 3차와 4차는 15층 규모이다. 가장 최근인 2016년에 지어진 LH천년나무 아파트는 영월중앙시장 현대화 사업으로 진행되어 층수는 높지만 2개동에 불과하다.]이나 인구 감소가 진행되는 터라 재건축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월군국민행복민원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월군종합민원실.jpg|width=100%]]}}} || || '''{{{#ffffff 영월군 국민행복민원실 인증 }}}''' || '''{{{#ffffff 영월군 종합민원실}}}''' || * 2022년 강원 영월군이 [[행정안전부]] 주관 ''''국민행복민원실'''' 우수기관 선정에서 '''6년 연속'''으로 인증받는 쾌거를 이뤘다. 국민행복민원실은 행정안전부가 인증하는 것으로 행정기관의 민원환경 특성을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민원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해 민원실 내·외부 공간 및 서비스 우수기관을 선정해 3년간 지위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전국 57개 신청기관 대상의 서면 심사와 전문가 현지 검증·체험 평가·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재인증을 받은 38개 기관에 포함됐다. == 관련 문서 == * [[영월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