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의 사적}}}]]''' '''{{{#f39100 제33호}}}''' || || {{{+1 {{{#fff '''서울 영은문 주초'''}}}}}} {{{-1 {{{#fff 서울 迎恩門 柱礎}}}}}} {{{-1 {{{#fff Plinths of Yeongeunmun Gate, Seoul}}}}}}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945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 || '''{{{#fff 면적}}}''' || 1,111㎡ || || '''{{{#fff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 || ||<-2> '''{{{#fff 위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 영은문 주초, 너비=100%)]}}}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은문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은문 2.jpg|width=100%]]}}} || || {{{#800000 '''영은문 전경'''}}} || {{{#800000 '''흑백에 색을 입힌 사진'''}}}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태종(조선)|태종]] 7년인 1407년에 태종이 [[명나라]]에서 내려오는 사신을 몸소 맞이하기 위하여 세운 문. 현재 영은문 주초가 [[대한민국의 사적|대한민국 사적]] 제33호로 지정되어 있다. == 역사 == 1407년에 조선 태종이 "조금이라도 사대(事大)의 예(禮)를 잃어서는 안되며, 마땅히 왕보다 높여 지성(至誠)으로 천사(天使)를 섬겨야 한다"는 [[사대주의]]적인 입장에서 조선으로 내려오는 [[명나라]] 사신을 위하여 건립한 대형 문이다. 태종이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던 모화루(慕華樓)를 세우며 함께 건립한 문으로, 이후 중국 사신이 조칙을 가지고 오면 임금이 친히 모화관까지 영접 나오는 것을 상례로 삼도록 하였다. 명나라 멸망 이후 [[청나라]]가 들어서도 계속 유지하여 영은문은 [[대한제국]] 시기까지도 존속하였으나, 이후 [[고종(대한제국)|고종]] 때 중화 사대주의의 대표 상징물이라 하여 아예 허물어버리고 그 옆에 [[독립문]]을 세웠다.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고 주초는 지금도 독립문 앞에 남아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poongsoojiri.co.kr/db56e21e781ca1512c3ff280336ed39119535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은문_주초_20191103(3).jpg|width=100%]]}}} || || {{{#800000 '''완공 직후 독립문과 영은문 주초'''}}} || {{{#800000 '''영은문 주초'''}}} || 현재 위치한 자리는 영은문이 서있던 본래의 자리는 아니며, 도로 공사로 인해 독립문과 함께 옮겨진 것이다. == 여담 == 영은문, 모화관 등을 이유로 조선이 청나라의 [[속국]]이라는 잘못된 해석을 내리는 경우도 있다. 비교하자면 중세 유럽에서는 왕(King, Rex)이라는 타이틀을 받으려면 무조건 로마 [[교황]]의 윤허를 받아야 했는데 이런 논리대로 따지면 중세 유럽 [[가톨릭]]권은 다 [[교황령]]의 식민지라는 엉뚱한 해석이 가능해진다. 다만 임오군란 이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맺으면서 청 상인을 대거 침투, 전통적 주종 관계를 근대적 주종 관계로 치환을 꾀하는데 이때부터 [[청일전쟁]]까지는 조선이 원 간섭기처럼 청의 실질적인 속국 수준으로 떨어졌다라는 견해도 있다. 문루를 복원시키자는 얘기도 있지만 주초부분의 손상이 심한데다가 자료가 별로 남아있지도 않기 때문에 문루를 복원하는일은 없다고 봐도 된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영은문|한국어 위키백과: 영은문]] * [[https://en.wikipedia.org/wiki/Yeongeunmun|영문 위키백과: 영은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7642&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영은문]] == 사적 제33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0330000,11&flag=Y|문화재청 홈페이지: 서울 영은문 주초(서울 迎恩門 柱礎)]] >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 앞에 세웠던 주춧돌이다. > >개화기에 우리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다짐하는 의미로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우면서 그 기둥을 받치던 밑돌인 주초만 남게 되었다. 모화관은 조선 태종 7년(1407)에 처음 세우고 모화루라 하였는데 그 뒤 세종 12년(1430)에 모화관이라 이름을 바꾸고 그 앞에 상징적인 의미의 홍살문을 세웠다. 중종 32년(1537)에 홍살문보다 격식을 갖춘 형식의 문을 만들고 ‘영조문’이라 하였다가 중종 34년(1539)에는 중국 사신의 건의로 영은문이라 이름을 고쳤으며, 연주문·연은문이라고도 하였다. > >중종 때 만들어진 문은 1칸 규모이며 두 개의 긴 주춧돌 위에 원기둥을 세우고 우진각지붕을 얹었는데, 지붕은 청기와로 덮고 각종 동물 모양을 조각한 잡상을 배치하였다. 남아 있는 2개의 주초는 2단의 사각형 받침돌 위에 기둥처럼 길게 세워져 있다. 위에 놓인 받침돌에는 2개씩의 안상(眼象)이 조각되어 있다. > >1896년 독립문이 세워지면서 주초만 그 앞에 세워두었는데, 1979년 성산대로 공사로 인해 독립문과 함께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 관련 문서 == * [[독립문]] [[분류:조선/건축]][[분류:대한민국의 사적]][[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건축물]][[분류:조명관계]][[분류:조청관계]][[분류:한중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