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서구(서울)의 버스회사)] ||<-2><:> '''{{{+2 영인운수주식회사}}}'''[br]永仁運輸株式會社[br]Youngin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1970년]] [[10월 13일]] ||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김인하, 김원준 || || '''주요 주주''' ||'''김인하: 47.88%'''[br]김원준: 12.76%[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중소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248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11억 4,940만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224억 4,752만 414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4억 875만 3,592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3억 1,358만 5,746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132억 1,992만 1,451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40억 1,271만 2,172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43.58%^^(2022년 기준)^^ || ||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남부순환로]] 224-58 ([[외발산동]])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0년 11월 1일에 영등포합승(이후 [[영일교통]], 현 [[보성운수]])에서 양남동 영업소가 분리,[* [[보성운수]]가 [[서울승합]] 계열 출신이라는 점을 간과하면 이 회사도 서울승합과 어느 정도는 간접적인 관계가 형성된 회사라고 볼 수도 있다.] 독립하여 설립된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발산1동 일대에 자리잡고 있는 [[버스 회사]]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운영하는 여러 업체 중 하나이다. 과거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개편 때 [[다모아자동차]]에 주로 출자한 타 6권역 회사들과 달리 특이하게도 이 회사는 [[메트로버스]]에 출자한 경력이 있으며[* 보통 6권역 회사들이 [[다모아자동차]]에 출자했었고, 이로 인하여 다모아의 강서영업소가 가까운 거리의 강서공영차고지에 위치해있고 옛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 차고지에도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본사 소재지인 강서구와는 정 반대편 끝자락에 위치한 [[중랑공영차고지]]에 본사를 둔 메트로버스에 출자한 점이 의외다. 또한 영인운수와 마찬가지로 [[신길교통]], [[신촌교통]] 역시 가까운 다모아(신길교통은 강서영업소, 신촌교통은 [[상암공영차고지]]에 위치한 본사와 가깝다.)를 냅두고 먼 거리의 [[한국brt]]에 출자하였다.] 이후 2010년에 컨소시엄을 구성한 업체 중 [[송파상운]]과 더불어 탈퇴했다. 과거에 현대버스와 자일대우버스를 혼용한 회사였는데 2008~2020년까지는 현대버스로만 뽑았다. 2012년 [[메트로버스]] 컨소시엄 탈퇴로 일부 2002~2006년식과 자체 출고분인 2007년식 자일대우버스도 들여왔지만 모두 대차됐다. 외발산동 방화사건 이후로 소실된 버스 모두를 현대차로 뽑으면서 현대차의 비중이 엄청 늘어났다.[* 사실 자일대우버스는 주문제작이라 주문이 들어오지 않으면 제작을 거의 하지 않지만 현대자동차는 미리 생산하고 주문이 들어오면 전착도장 형식으로 바로 들어오기 때문에 급하게 가져와야 할 경우 현대자동차가 유리하다.] 차고지내에는 가스 충전소가 없어 개화동의 [[강서공영차고지(서울)|강서공영차고지]]로 원정을 가고, 운휴차량들도 강서공영차고지에 주박하기도 한다. 외발산동 방화사건 때도 임시차고지와 정비소도 강서공영차고지를 이용했다. 가끔은 부천에 위치한 [[신길교통]] 충전소([[부천영업소]])까지 가거나 방화동의 [[김포교통]] 차고지, 아랫쪽 블럭의 [[고강공영차고지]]로 충전하러 갈 때도 있다.[* 하지만 고강공영차고지는 경기도 버스들만의 차고지다보니까 영인운수를 포함한 해당 지역 입주 서울면허의 버스들(특히 차고지 내에 충전소가 없는 영인운수, 신길교통)이 충전하러 고강공영차고지로 원정가는 일은 거의 없다. 심지어 이 차고지 지분 중 10%를 보유하고 있는 신길교통도 그쪽으로 충전하러 가지는 않는다. 신길교통은 [[양천공영차고지]]나 신월동 [[중부운수]] 본사, 자사(신길교통)의 부천영업소로 원정가서 충전을 한다.(물론 영인운수와 공동배차하는 [[서울 버스 653|653번]]은 강서공영차고지로 영인운수와 같이 가서 충전을 한다.) 영인운수 차량들이 고강공영차고지로 가서 충전하는 일은 그냥 강서공영차고지의 충전소가 갑자기 문제가 터진 경우 한정에서 비상사태 차원으로 고강공영차고지로 와서 충전을 하는 것이다.][* [[천연가스버스]] 도입 초기에는 영인운수도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 [[정평운수]]와 마찬가지로 마곡동에 있는 충전소(現 마곡에코H2충전소)로 공차회송하여 충전했었다. 지금은 [[강서공영차고지(서울)|강서공영차고지]]가 생겼기 때문에 강서공영차고지로 가서 충전한다.] 1990년대에 한창 [[자동변속기]] 버스 출고가 유행일 때, 한국에선 상당히 보기 드문 호이트(Voith)제 자동변속기를 탑재했다. (61-1번, 122번) 2010년 이전에는 세 노선(650번, 6628번, 6630번)을 보유했고 모두 목동사거리-김안과병원까지 동일했다. 2022년 12월 1일부터 [[심야버스(서울)|심야버스]]도 운행한다. 2021년에 자사 첫 전기버스를 뽑았으며 전량 에디슨 스마트 110으로 도입한다. 2022년에는 수소전기버스도 출고했으며 충전 역시 강서공영차고지에서 진행한다. 전기버스도 에디슨모터스 차량의 악평과 에디슨모터스 사태로 인해 일렉시티로 공급선을 돌렸다. == 운행 노선 == >__밑줄__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650|{{{#3d5bab 650}}}]]''' || 외발산동 || (← 강서면허시험장 ←) - 신월중학교 - [[화곡역]] - 강서구청 - 대일고교 - [[목동역]] - [[오목교역]] - 당산동진로아파트 - [[대방역]] - 동작구청 - [[숭실대입구역]] - [[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입구 || 6~12 || || '''[[서울 버스 653|{{{#3d5bab 653}}}]]'''[*공동배차1 [[신길교통]]과 공동배차.] || 외발산동 || (→ 대한항공 →) - 강서면허시험장 - 신월중학교 - [[화곡역]] - [[까치산역]] - 서서울호수공원 - 신정현대아파트 - [[개봉역]] - 구일우성아파트 → 디지털3단지 → [[가산디지털단지역]] → 에이스하이엔드타워5차 → 구일우성아파트 || [[가산디지털단지역]] || 10~20 || || '''[[서울 버스 662|{{{#3d5bab 662}}}]]''' || 외발산동 || 신월중학교 - 서서울호수공원 - (→ __신정이펜하우스__ → 강신중학교 →/← __신정이펜하우스__ ← [[양천공영차고지]] ←) - 신정현대아파트 - [[개봉역]] - [[구로역]] - [[영등포역]] - [[여의도환승센터]] || [[여의나루역]] || 8~14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6628|{{{#5bb025 6628}}}]]''' || 외발산동 || (← 강서농수산물도매시장 ←) - 신월중학교 - 가로공원 - [[까치산역]] - [[목동역]] - [[오목교역]]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영등포역]] → 한국거래소 → [[여의도환승센터]] → [[영등포역]] || 여의도 || 6~12 || || '''[[서울 버스 6630|{{{#5bb025 6630}}}]]''' || 외발산동 || (→ 대한항공 →) - 강서면허시험장 - 마곡수명산파크 - [[발산역]] - 서울서진학교 - [[양천향교역]] - [[발산역]] - [[화곡역]] - 가로공원 - [[까치산역]] - [[목동역]] - [[오목교역]] - 당산동진로아파트 || [[영등포역]] || 10~20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N61|{{{#3d5bab N61}}}]]'''[br][*심야 심야버스 노선. [[관악교통]], [[삼화상운]]과 공동배차.] || [[양천공영차고지]] || 신정현대아파트 - [[개봉역]] - 디지털단지오거리 - 난곡입구 - [[신림역]] - [[서울대입구역]] - [[사당역]] - 경남임광아파트 - 남부터미널 - [[교대역(서울)|교대역]] - [[강남역]] - [[선릉역]] - 한국무역센터.[[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청담역]].경기고교 - [[영동대교]] - [[건대입구역]] - [[군자역]] - 면곡시장 - 면목2동 - [[중화역]] - [[태릉입구역]] - 서울과학기술대입구 - [[중계역]] - [[노원역]] || 상계7단지 || 15~30 || == 폐선 및 공동배차 철수한 노선 == ===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이전 === * 61(좌석): 외발산동-신월동-목동-영등포시장-마포-충정로-광화문-시청앞을 운행하던 노선. 5호선 개통 후 122-1번으로 형간전환 및 영등포역 경유 여의도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단축 및 변경. * 61-1(좌석): 외발산동-신월동-목동3,4단지-성산대교-연세대-충정로-광화문-시청앞을 운행하던 노선. 5호선 개통 후 수요 감소로 2001년경 폐선. 추후 화곡교통(현. 양천운수) 328-1번 버스가 목동3,4단지 구간 운행. 2004년 개편 이후 328-1번도 폐선. 674번 신설로 곰달래길-목동3,4단지 노선버스로 이동 가능. * 105: 공항버스가 운행했던 105번 아님. 상마운수가 부도로 노선매각시 102번을 인수하여 105번으로 운행. 추후 6630번과 5612번으로 개편. * 122: 외발산동-신월동-목동-영등포시장-동작구청-숭실대입구-서울대입구-낙성대 구간 운행. 추후 650번 간선으로 개편되며 화곡역, 강서구청, 대일고 경유로 노선 변경. * 122-1: 61번(좌석)의 형간전환 노선. 적/청 구분하여 적색은 강서농수산물시장을 경유하였고 청색은 철탑로(신월사거리~신원중학교) 경유. 추후 6628번으로 개편. === 2004년 개편 이후 === * [[서울 버스 260]]: 중랑공영차고지 - 양천공영차고지(영인운수 소속 차량들은 662번 신설로 철수) * 서울 버스 8662: 신원중학교 - 까치산역(폐선) * [[서울 버스 8663]]: [[가양역]] - [[여의도역]] == 사건사고 == 영인운수는 타 회사들에 비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유난히 사건사고에 시달리며 수난을 자주 당했던 회사로 유명하다.[* [[대성운수]]나 [[진아교통]], [[태릉교통]], [[관악교통]], [[삼성여객(서울)|삼성여객]], [[신촌교통]], [[송파상운]] 등. 이 회사 외에도 고생 많은 업체들은 꽤 많다. 대성운수나 태릉교통, 관악교통, 삼성여객이 잘못된 회사와 노선 및 차량운영 문제로 회사만의 내적 고통에 시달렸던 회사라면 영인운수와 진아교통, 신촌교통, 송파상운은 주변 환경에 의한 문제나 갑작스럽게 발생한 재난이나 돌발상황, 교통사고 등. 시민들도 함께 느끼는 외적 고통에 시달리는 케이스의 회사이다.] * 2013년 1월 15일 새벽 3시경에 이 회사의 발산1동 차고지에서 화재가 발생해 '''버스 38대가 전소'''되었다. 화재의 원인은 [[방화]]였으며 범인은 이 회사의 '''전직 [[버스 기사]]'''였다고 한다. 상세한 내용은 '''[[외발산동 버스 차고지 방화사건]]'''에서 확인할 것. * 2017년 12월 28일 오전 9시 40분경 등촌동의 공사현장에 넘어진 크레인이 650번 버스를 덮치고 버스 승객 2명과 행인 2명이 다치는 사고가 있었다. 버스승객 1명은 병원으로 옮겼으나 끝내 숨졌다. 상세한 내용은 '''[[강서구청 사거리 크레인 전복 사고]]'''에서 확인할 것. == 면허 체계 == * 서울 70 사 '''8153''' ~ '''8155'''호 * 강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 서울 70 사 6378호 * 중랑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정확히는 [[대원교통]] 면허로 [[메트로버스]] 컨소시엄 탈퇴로 인해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1 사 '''2201''' ~ '''2206''', '''2219'''호 ~ '''2248'''호 * 강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 서울 71 사 1828, 1832호 * 송파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정확히는 [[송파상운]] 면허로 [[메트로버스]] 컨소시엄 탈퇴로 인해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6848''' ~ '''6936'''호 * 영인운수 주 면허. * 서울 74 사 4931, 4971호 * [[송파상운]] 면허. [[메트로버스]] 컨소시엄 탈퇴로 인해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9311, 9325, 9338, 9348, 9385호 *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 출신 면허. 잉여차량을 매입했다. * 서울 74 사 3025, 9685 ~ 9686, 9688, 9699, 9716, 9722, 9726, 9735, 9760, 9762, 9779호 * [[북부운수]] 면허. [[메트로버스]] 컨소시엄 탈퇴로 인해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5 사 '''2616''' ~ '''2619'''호 * 영인운수 증차 면허. 구.61-1번 좌석 증차분이다. * 서울 75 사 2940 ~ 2941호 * 북부운수 증차 면허. [[메트로버스]] 컨소시엄 탈퇴로 인해 면허가 넘어왔다. == 보유차량 ==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 [[KGM커머셜]] ==== * [[KGM커머셜 스마트|KGM커머셜 스마트 110 전기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HD버스|현대 HD160 디젤]] * [[현대 HD버스|현대 HD170 디젤]] * [[현대 FB버스|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V|대우 BV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10CN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20CN 천연가스버스]] ==== [[기아]] ==== * [[기아 AM버스|기아 AM807 디젤]] == 지배구조 == 2022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김인하 || 47.88%|| 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윤은희 || 13.84%||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김원준 || 12.76%|| 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김원태 || 12.76%||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김원구 || 12.76%|| ||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서울 강서구의 교통]][[분류:197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