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E0D 20%, #FFBE0D 80%, #FF9D00)" '''고려 명종의 부마[br]고려 희종의 장인[br]{{{+1 영인후 왕진 | 寧仁侯 王稹}}}'''}}} || || '''시호''' ||''' 숙의(肅懿)''' || || '''작위''' ||''' 영인후(寧仁侯)''' || || '''본관''' ||[[개성 왕씨]] || || '''휘''' ||진(稹) || || '''부모''' ||부친 [[신안후|신안후 왕성]] 모친 창락궁주(昌樂宮主) 왕씨[* [[인종(고려)|인종]]의 3녀] || || '''형제자매''' ||{{{#!folding2남 1녀 중 차남 [ 펼치기 · 접기 ] [[계성후|계성후 왕원]](王沅) [[영인후|영인후 왕진]](王稹) [[원덕태후]] 유씨}}} || || '''배우자''' ||[[연희궁주]] 왕씨[* [[명종(고려)|명종]]의 장녀] || || '''자녀''' ||'''1남 1녀''' 아들 - [[회안공|회안공 왕정]] 딸 - [[성평왕후]] 임씨|| || '''생몰연도''' ||? ~ [[1220년]]^^([[고종(고려)|고종]] 7년)^^ [[10월 27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의 왕족. 이름은 왕진(王稹), 작위는 영인후(寧仁侯)이다. == 생애 == [[신안후|신안후 왕성]]의 아들로 [[계성후|계성후 왕원]]의 동생이다. 영인후 왕진은 용의(容儀)가 잘생겼으며 [[명종(고려)|명종]]의 딸 연희궁주(延禧宮主)에게 장가들어 영인후(寧仁侯)로 봉해졌다. 글과 학문을 좋아했는데 특히 [[석가모니|석가]]와 [[노자]]에 관심을 가졌다. 선행에 힘썼고 [[고종(고려)|고종]] 7년인 1220년에 죽어 고종으로부터 숙의(肅懿)의 시호를 받았다. == 가족관계 == 아들 [[회안공|회안공 왕정]]은 [[신종(고려)|신종]]의 차녀 경녕궁주(敬寧宮主)와 결혼해 시흥백(始興伯)에 봉해졌다가 후작[* 시흥후(始興侯)]을 거쳐서 회안공(淮安公)으로 진봉됐다. 딸 왕씨는 [[희종(고려)|희종]]과 결혼하면서 성을 임씨로 바꿨으며, 희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왕후의 지위에 올랐다. * 배우자: [[연희궁주]] 왕씨[* [[명종(고려)|명종]]의 장녀] * 아들: [[회안공|회안공 왕정]](王侹) * 며느리: 경녕궁주(敬寧宮主) 왕씨[* [[신종(고려)|신종]]의 차녀] * 손자: 계양후(桂陽侯) 왕연(王挻) * 손자: 신양공(新陽公) 왕전(王瑼[* 《고려사》 세가 고종편] 또는 王㻇[* 《고려사》 종실열전 편 ]) - [[고종(고려)|고종]]의 장녀 수흥궁주(壽興宮主)와 혼인 * 증손자:제안공(齊安公) 왕숙(王淑) * 증손자:[[왕징(대방공)|대방공 왕징]](王澂) * 손자: 수사도(守司徒) 왕시(王諟) * 딸: [[성평왕후]] 임씨 * 사위: [[희종(고려)|희종]] * 외손자: [[창원공|창원공 왕지]](王祉) * 외손자: 시령후(始寧侯) 왕위(王禕) * 외손자: 경원공(慶原公) 왕조(王祚) * 외손자: 원정국사(圓靜國師) 왕경지(王鏡智) * 외손자: 충명국사(冲明國師) 왕각응(王覺膺) [[분류:고려의 왕족]][[분류:고려의 후작]][[분류:개성 왕씨 평양공파]][[분류:122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