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2년까지 영주고등학교라는 교명을 사용한 경상북도 영주시 소재의 고등학교, rd1=한국철도고등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고등학교)] [include(틀:학교법인 제주아남학원)] ||<-2> '''{{{#white {{{+1 영주고등학교}}}[br]Young Ju High School}}}''' || |||| [[파일:영주고교표.jpg|width=100% & align=center]] || |||| [include(틀:지도, 장소= (제주영주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95년]] [[4월 8일]]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br][[특성화 고등학교|일반계 특성화과]]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사립]] || || '''학교법인''' || 제주 아남학원 || || '''교장''' || 이동성 || || '''교감''' || 한용식 || || '''교훈''' || 有志竟成 (유지경성) || || '''교화''' || 매화 || || '''교목''' || 감나무 || || '''교색''' || 녹색 || || '''학생 수''' || 606명[*기준 2023년 3월 2일] || || '''교직원 수''' || 53명[*기준] || || '''관할 교육청'''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동길 92 || || '''홈페이지''' || [[https://jyj.jje.hs.kr/jyj|[[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로고는 학교 홈페이지내 로고타이틀을, 교표는 교표문단에 넣으시면 됩니다. ## 는 학교 색에 맞춰 바꿀수 있습니다. ## 는 색상 변경의 허용 용도이나, 생략할 수 있습니다. ## 지도 부분의 장소에 학교명을 넣으면 올바른 장소가 나옵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영주고전경.jpg|width=500]]|| || {{{#ffffff '''영주고등학교[* 외벽 도색 이전으로 현재는 하얀색으로 재도색됨.]'''}}} || 영주고등학교는 1995년에 제주공업고등학교로 개교해 2007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일반계 고등학교[* 분류상 일반계 고등학교이나 특성화 교육과정을 편제하여 운영중이다.]이다. 일반과(인문반) 4학급, 특성화과 (방송영상과, 모바일 콘텐츠) 4학급으로 이루어져 있다. == 학교 연혁 == ||
날짜 || 연혁 || || 1994년 8월 129일 || 제주공업고등학교 설립 인가 || || 1995년 3월 1일 || 제주공업고등학교 개교(개교기념일 4월 8일 지정) || || 1995년 3월 1일 || 초대 교장 장주열 취임 || || 1999년 3월 1일 || 제 2대 교장 창찬근 취임 || || 1999년 3월 8일 || 급식소 개소 || || 2000년 11월 20일 || 환경실습동(3층 실습실)증축 || || 2003년 03월 01일 || 제3대 교장 오영호 선생 취임 || || 2003년 03월 01일 || 교육인적자원부지정 도서관활용정책연구시범학교 운영 || || 2006년 01월 21일 || 아남관 개관 || || 2007년 03월 01일 || 영주고등학교로 교명 및 교표 변경 || || 2008년 06월 30일 || 인조잔디구장 개장 || || 2008년 11월 25일 || 교악대 창단 || || 2009년 03월 15일 || 본관 증축(wee class, 보건실, 외국어전용학습실 완비) || || 2010년 03월 01일 || 제4대 교장 고순국 취임 || || 2011년 12월 28일 || 여학생 사이클부 창단 || || 2012년 08월 01일 ||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또래조정시범학교 운영 || || 2012년 12월 28일 || 학교폭력예방활동 우수학교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표창 || || 2013년 03월 01일 || 교훈 변경(自主, 協同, 奉仕에서 有志竟成으로) || || 2013년 03월 18일 || 정해관 준공 || || 2014년 02월 07일 || 제17회 졸업식(졸업생 279명, 연인원 4,886명 배출) || || 2014년 03월 01일 || 제5대 교장 현태권 취임 || || 2015년 02월 06일 || 제18회 졸업식(졸업생 272명, 연인원 5,158 배출) || || 2015년 04월 01일 || 육상부 창단 || || 2016년 12월 02일 || 야외학습장 조성(본관동 앞, 뒤) || || 2017년 02월 02일 || 제20회 졸업식(졸업생 264명, 연인원 5,698명 배출) || || 2017년 09월 01일 || 제6대 교장 김인기 취임 || || 2017년 09월 08일 || 학교법인 제주아남학원, 고 강석범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식 || || 2018년 01월 30일 || 제21회 졸업식(졸업생261명, 연인원 5,959명 배출) || || 2019년 01월 23일 || 제22회 졸업식(졸업생266명, 연인원 6,225명 배출) || || 2019년 09월 01일 || 학과개편(방송영상과 2학급, 모바일콘텐츠과 2학급) || || 2020년 01월 21일 || 제23회 졸업식(졸업생228명, 연인원 6,453명 배출) || || 2020년 04월 08일 || 방송영상관 완공 || || 2021년 01월 19일 || 제24회 졸업식(졸업생208명, 연인원 6661명 배출) || || 2021년 09월 01일 || 제7대 교장 이동성 선생 취임 || ## 여러 개 추가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 는 학교 색에 맞춰 바꿀 수 있습니다. ##
는 색상 변경의 허용 용도이나, 생략할 수 있습니다. == 교육목표 및 상징 == === 건학이념 === [[파일:영주고건학이념.jpg]] === 교표 === [[파일:영주고교표설명.jpg]] === 교화/교목 === [[파일:영주고교화교목.jpg]] === 교훈 === [[파일:영주고교훈1.png]] === 교육목표 === [[파일:영주고교육목표.jpg]] === 교가 === [[파일:영주고교가.png]] == 학과 == === 일반과(인문과)-4학급 === > 스스로 선택하여 꿈을 이루어 가는 실력과 인성을 키우는 교육 일반계 고등학교와 같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일반과이다. 1반부터 4반까지 4학급으로 이루어져 있다. === 방송영상과-2학급 === > 첨단 디지털 영상 제작 전문 인력의 메카 영상 콘텐츠 제작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방송-영상 계열의 특성화과이다. 전문교과 수업을 통해 연출, 촬영, 조명, 음향, 편집에 대한 기술력을 향상시켜 미디어분야 전문가를 양성한다. 5반부터 6반까지 2학급으로 이루어져 있다. ==== 방송영상과 교육과정 ==== [[파일:영주고영상과교육과정.jpg]] === 모바일콘텐츠과-2학급 === >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IOT 융합기술 양성의 산실 소포트웨어 콘텐츠 개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컴퓨터공학 계열의 특성화과이다. 전문교과 수업을 통해 소포트웨어 콘텐츠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래밍외 디자인 등에 대한 기술력을 향상시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소포트웨어 콘텐츠 개발 인력을 양성한다. 7반부터 8반까지 2학급으로 이루어져 있다. ==== 모바일콘텐츠과 교육과정 ==== [[파일:영주고컴과교육과정.jpg]] == 학교 특징 == 제주도에 몇 없는 남녀공학 학교이다. 영평동 첨단과학기술단지에 위치해 공기가 좋으며 겨울엔 춥지만 여름엔 시원하다. === 복장 === 교복 자켓(가디건)과 바지, 조끼, 넥타이, 셔츠로 이루어진 교복이 정석이다. 동절기 교복 착용시에는 반드시 셔츠와 넥타이, 바지와 가디건을 착용해야하며 조끼는 자율이다. 동절기 외투 착용 후 등교시, 자켓 위에 외투를 착용할 수 있다. 하절기 교복 착용시에는 하복과 생활복을 착용할 수 있다. 달에 두 번씩, 부정기적으로 사복데이가 있으며 일자는 2층 도서관 앞에 게시된다. == 학교 시설 == 교문을 들어서면 아름다운 벚꽃길과 정해관과 아남관이 왼쪽에 위치한다. (정해관은 운동부용, 아남관은 체육관이다.) 길을 따라 올라서면 왼쪽으로 운동장과 계단식으로 배치된 의자가 나오며 운동장 구령대 뒷편에 알록달록한 색의 음악관이 위치해있다.[* 외형은 신축건물 같으나 상당히 오래된 조립식 건물로 곧 철거 후 새로운 건물이 지어질 예정이다.] 길을 올라와 보면 하얀색의 본관 건물이 있으며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이루어져있다. 본관 지하에는 기술가정실과 학생회 사무실 등이 위치해있으며 1층엔 3학년 교실, 보건실이, 2층에는 도서관, 진로실, 본교무실이 위치해있다. 3층엔 2학년 교실이 있으며 방송영상관 입구가 있다. 4층엔 1학년 교실이 있다. 본관 정문을 가로질러 후문으로 나오면 3층 규모의 별관[* 여담으로 별관은 특성화과 학생들이 많이 쓰므로 이곳에서 학생들이 자격증 관련 과목들을 배운다.][* 제주도 ITQ 시험장이기도 하다.]이 위치해있으며 이곳에는 실습실과 급식실이 위치해있다. == 학교 생활 == 일반과와 특성화과가 함께 운영되는 고교로써 각각 배우는 교과목이 다르고 시험또한 일반과와 특성화과가 나뉘어 이루어진다. 영주고에 자신의 꿈을 찾아 진학한, 내신을 유리하게 따기 위해 진학한 일부 학생들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 내신 성적이 낮기에 제주도민들 사이에서 소위 '똥통학교'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소란을 일으키는 일부 학생을 제외하면 온건한 분위기이다. === 주요 행사 === ||
2023 연간 일정 || 일자 || || 1차 지필평가 || 4월 26일~4월 27일 || || 어올림축제 || 5월 3일~5월 4일 || || 1학년 수학여행 || 5월 10일~5월 12일 || || 2학년 수련활동 || 5월 11일~5월 12일 || || 정・부회장 선거 || 6월 28일 || || 2차 지필평가 || 7월 6일~7월 7일 || || 여름방학 || 7월 19일~8월 9일 || || 1차 지필평가 || 10월 19일~10월 20일 || || 대학수학능력시험(고3) || 11월 16일 || || 자율동아리 발표회 || 11월 22일 || || 2차 지필평가(1-2학년) || 12월 14일~ 12월 15일 || || 예술제 || 12월 22일 || || 수료식/졸업식 || 12월 29일 || === 학교 일과 === ||
등교(교실입실) || 8시 15분 까지 || || 학급 조회 || 8시 15분 - 8시 30분 || || 1교시 || 8시 30분 - 9시 20분 || || 2교시 || 9시 30시 - 10시 20분 || || 3교시 || 10시 30분 - 11시 20분 || || 4교시 || 11시 30분 - 오후 12시 20분 || || 점심시간 || 오후 12시 20분 - 오후 1시 30분 || || 5교시 || 오후 1시 30분 - 오후 2시 20분 || || 6교시 || 오후 2시 30분 - 오후 3시 20분 || || 7교시 || 오후 3시 30분 - 오후 4시 20분 || || 종례 및 방과후 || 오후 4시 20분~ || == 운동부 ==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평일 등하교 시간대에는 아래 버스들이 임시로 영주고등학교까지 연장 운행하기에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하교시 버스를 이용할 경우, 종례 이후 교문 뒤로 줄을 서서 대기 후 탑승한다.[* 보통 교문~운동장 입구까지 줄을 스는 편이며 맨 끝에서 탑승할 때까지 약 30분~40분 걸린다.][* 흔하게 옆에서 자연스럽게 새치기하는 경우도 일어난다.] === 등교시간대 운행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영주고등학교(405000144 / 종점방면)'''}}}}}} {{{#!wiki style="text-align:left" }}} || ||<-2> '''상시운행 버스''' || || [[간선버스|{{{#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46|{{{#ffffff 346(영주고등학교)}}}]]}}}|| ||<-2> '''부정기운행 버스(평일 등하교 시간 운행)''' || || {{{#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65|{{{#ffffff 365(영주고등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60|{{{#ffffff 360(영주고등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41|{{{#ffffff 341,342(영주고등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51|{{{#ffffff 351,352(영주고등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56|{{{#ffffff 356(영주고등학교)}}}]]}}} ||}}} === 하교시간대 운행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영주고등학교(405000144 / 시청방면)'''}}}}}} {{{#!wiki style="text-align:left" }}} || ||<-2> '''상시운행 버스''' || || [[간선버스|{{{#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46|{{{#ffffff 346(영주고등학교)}}}]]}}}|| ||<-2> '''부정기운행 버스(평일 등하교 시간 운행)''' || || {{{#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65|{{{#ffffff 365(한라대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60|{{{#ffffff 360(노형부영아파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41|{{{#ffffff 341,342(신사동-함덕)}}}]]}}}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51|{{{#ffffff 351,352(초낭가름-봉개)}}}]]}}}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90FF; font-size: .95em" [[제주 버스 356|{{{#ffffff 356(수산회차지-하귀)}}}]]}}} ||}}} == 사건 사고 ==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영주고등학교 출신 학생이 노형동에 있는 한 아파트에서 10층 높이에 추락사 했다고 하며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으나. 사고 발생 이전 근처 놀이터에서 초등학교때 부터 알고 지냈던 친구와 사소한 문제로 싸웠었고 이 학생은 어머니와 연락으로 쪽팔린다. 학교 못가겠다 등 보낸것으로 보아 자살건으로 추정된다.이 글을 적는 작성이는 영주고등학교 재학생 이였으며 이 참사를 담임선생님의 전달로 인해 알게되었다. 참으로 안타까운 사건이 아닐 수 없다.[[https://www.youtube.com/watch?v=K-staHaZ3AQ]] == 기타 == 2022년 12월 30일 첫 방영된 Tving 드라마 «아일랜드» 의 촬영지 이다. == 둘러보기 == === 자율동아리 === 2022년 기준, 상당히 많은 자율동아리가 운영 중이다.[* 허나 2023년이 되며 일부 동아리가 폐부되었다.] |||| 2022년 기준 교내 자율동아리 운영 현황 |||| || 아트메이커 || 1학년 대상 || || 디렉터스 컷 || 전학년 대상 || || 플로스 || 1학년 대상 || || 프라모델부 || 2학년 대상 || || 미학탐구 아트폴리오 || 3학년 대상 || || 시사문제 탐구 || 3학년 대상 || || 자기 계발을 위한 타로상담반 || 2/3학년 대상 || || 레트로아카이빙 || 전학년 대상 || || 4-H 자연과 인간의 공존 || 3학년 대상 || || 관악기야 고치글라 || 1/2학년 대상 || || 색소폰 하모니 || 1/2학년 대상 || || 뮤지컬 동아리 '날개,돋다' || 1/2학년 대상 || || 영자신문반 || 2/3학년 대상 || || 전통 생활 목공예 탐구반 || 1/3학년 대상 || === 수상실적 === |||| 역대 영주고등학교 수상 실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9년 05월 01일 || 제주도청 뉴 제주운동 UCC 공모전 우수상 수상 || || 2009년 08월 01일 || 한국방송예술원 UCC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 || 2009년 11월 01일 || 제주 MBC 제주영상대전 최우수상 수상, 제주도교육감 지도교사상 수상 || || 2010년 05월 01일 || 제주대학교 JIBS 영상제 창작상 수상 || || 2010년 05월 01일 || 상명대학교 만화, 애니메이션 공모전 입선 수상 || || 2010년 05월 01일 || 제주도교육청 “완전 소중한 수업” 공모전 장려상 수상 || || 2010년 06월 01일 || 진주시 제12회 전국디지털 아트 대전 금상, 은상, 동상 수상 || || 2010년 07월 01일 || 제주의 소리 제주의 10대 문화 공모전 금상 수상 || || 2013년 05월 01일 || 진주시 제15회 전국디지털아트대회 모션그래픽분야, 컴퓨터그래픽 분야 공모전 동상 수상 || || 2013년 07월 01일 || 제주의 소리 제주10대 문화 UCC공모전 우수상 수상 || || 2013년 09월 07일 || 제38회 대한민국관악경연대회 은상 || || 2013년 11월 01일 || 아르고스 총회 나라사랑 UCC공모전 우수상 수상 || || 2014년 09월 01일 || 제39회 대한민국관악경연대회 금상 수상 || || 2014년 11월 17일 || 전국 학교스포츠클럽축구 왕중왕전 여고부 1위 || || 2015년 06월 01일 || 제17회 전국디지털 아트대회 은상, 동상 수상 || || 2015년 11월 01일 || 제주 아르고스 창립 5주년 기념 UCC 공모전 대상 수상 || || 2015년 11월 01일 || 제9회 I-TOP 경진대회 정보기술분야 고등부 최우수상 수상 || || 2015년 11월 01일 || 제주도의회 의회 바로알기 UCC공모전 우수상 수상 || || 2017년 05월 29일 || 제5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고교 모의의회 최우수상 수상 || || 2017년 10월 27일 || 제98회 전국체전 사이클 금메달 오XX, 동메달 김XX 조XX 오XX 김XX, 태권도 동메달 김XX 수상 || || 2018년 02월 20일 || 2018 사이클 아시아선수권대회 및 아시아주니어 선수권대회 금메달, 은메달 입상 || || 2018년 03월 25일 || 제11회 대구광역시장기 전국카라테 선수권 대회 박XX, 이XX, 양XX, 오XX, 양XX 입상 || || 2018년 04월 28일 || 제35회 대통령기 전국 사이클대회 오XX, 김XX, 임XX 입상 || || 2018년 05월 05일 || 제45회 한국 중·고등학교 연맹회장기 전국태권도대회 박수현 여고부 페더급 2위 입상 || || 2018년 05월 12일 || 2018년도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기능경기대회 정보기술직종 이XX 은메달 수상 || || 2018년 05월 18일 || 제20회 광주 5.18 민주화 운동기념 전국태권도대회 박XX 여고부 밴텀급 금메달 수상 || || 2018년 06월 01일 || 제6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고교 모의의회 우수상 입상 || || 2018년 06월 07일 || 제21회 제주청소년연극제 최우수상 수상 || || 2018년 06월 09일 || 제7회 부원전국음악콩쿠르 현악부문(콘트라베이스) 신예림 1위 입상 || || 2018년 08월 04일 || 제1회 서귀포시 3분 관광영화제 입선 수상 || || 2018년 08월 05일 || 제22회 전국청소년연극제 대상 수상 || || 2018년 09월 08일 || 2018 청소년 어울림한마당 그룹사운드 대상 수상 || || 2018년 10월 18일 || 제99회 전국체전 사이클 임XX 1위, 오XX 2위 입상 || || 2018년 10월 18일 || 제99회 전국체전 태권도 박XX 3위 입상 || || 2018년 10월 21일 || 2018 청소년 건축학교 - 친환경 건축 설계 부문 박XX, 우XX, 박XX, 이XX 입상 || ||2018년 11월 03일 || 2018 한짓골청소년영화제 제주시교육지원청 교육장상 수상 || || 2018년 12월 07일 || 2018 국민참여 청렴콘텐츠 공모전 영상물 부문 우수상 수상 || || 2019년 04월 19일 || 제36회 대통령기 전국사이클대회 임XX 1위 입상 || || 2019년 06월 20일 || 제22회 제주청소년연극제 우수연기상 수상 || || 2019년 07월 11일 || 2019 자살예방 및 생명사랑 소도리 UCC 공모전 우수상, 장려상 수상 || || 2019년 08월 20일 || 제44회 대한민국 관악경연대회 고등부 은상 수상 || || 2019년 08월 23일 || 제2회 서귀포 3분 관광영화제 학생부 은상 수상 || || 2019년 08월 29일 || 제5회 태권도원배 전국태권도대회 1위 입상 || || 2019년 09월 11일 || 전도고교 아이디어 디자인대회 최우수상 || || 2019년 10월 02일 || 고용노동부 주최 전국 고교생 디자인 경진대회 동상 수상 || || 2019년 10월 02일 || 2019 특성화고 인식개선 버스 광고 디자인 공모전 은상, 동상 수상 || || 2020년 09월 27일 || 제23회 제주 청소년 연극제 최우수상 수상 || || 2020년 10월 12일 || 2020 아이디어 디자인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 || 2020년 11월 29일 || 제24회 전국청소년연극제 대상 수상 ||}}}}}}}}} || [[분류:제주시의 고등학교]][[분류:1995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