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영진문화사|{{{#000000,#dddddd 영진문화사}}}]]의 [[지도|{{{#000000,#dddddd 지도}}}]]'''[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1 영진5만지도}}}'''[br]{{{-1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13길 36, 너비=100%, 높이=100%)]}}} || || '''출판사''' || [[영진문화사]] || || '''종이 크기''' || B4 || || '''가격''' || 60,000원[* 인터넷 54000원] || [목차][clearfix] [[파일:20201210_220925.jpg|width 100%]] || 영진5만지도의 모습. 위의 것은 [[전국여행가이드(영진문화사)]]이다. || == 개요 == [[영진문화사]]에서 만든 지도. 총 654페이지이다. 옛날에는 상권과 하권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며 남부지방이 1:55,000으로 나와 있었다.[* 원래는 하권도 1:50,000으로 하려 했는데 규제 때문에 하권만 1:55000으로 된것.] 이 지도책이 나오기 전 시중의 지도책은 전국 1:100,000급이 가장 상세했고, 주요 대도시별로 1:5,000~10,000급 지번도책이 나오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업계 최초로 1:100,000의 벽을 깬 이 책이 나오면서 영진문화사는 국내 지도업계에서 독보적 지위를 굳히게 되었으며, 인터넷 지도가 보편화되기 전에는 그야말로 혁명에 가까운 제품이었다. 이후 보급판(?)인 1:75,000 지도책이 출간되었다. 지금은 전국편 단 한권만 판매중이고 어지간한 공인중개사사무소에 가면 꼭 한권씩 비치되어 있는 책이며, 등산지도 만들때 참고하는 책이다. 영진문화사에 따르면 [[http://yjmap.co.kr/shop/bbs_view.php?bbs_data=aWR4PTYxNyZzdGFydFBhZ2U9MCZsaXN0Tm89OTYmdGFibGU9Y3NfYmJzX2RhdGEmY29kZT1xbmEmc2VhcmNoX2l0ZW09JnNlYXJjaF9vcmRlcj0=|2020년판을 마지막으로 절판되었다고 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부동산업계에서도 디지털 지도를 많이 쓰는 판국이라 수요가 줄어든 듯. == 가격 및 종이의 크기 및 판형 == * 가격은 60,000원이다.[* 가격도 몇차례 변화가 있었는데, 처음 나왔을 당시 60000원이었다가 결국 부담스러웠는지 50000원으로 낮춰진 적도 있었다.] 일반 사람들이 사기엔 좀 비싸므로 [[영진7만5천지도]]를 많이 사기도 한다. * 책이 만들어질 때 사용되는 종이의 크기는 B4이다. * 판형은 반양장본이다.[* 2005년 출판 당시엔 하드커버 양장본으로 나왔었고 2006년 반양장본 출판 당시 비닐 커버를 씌운 채로 나왔었다.] == 특허 == * 실용신안특허 0306986호(2004년 취득)와 제 0350134호(2005년 취득)가 있다. * 0306986호는 도로에 중점을 두어 국도, 지방도, 일반도로로 구별하여 색깔을 칠했다. * 0350134호는 입체지도삽입, 근거리와 원거리의 진행방향 및 지명 등을 삽입했다. * 유명관광지의 설명도 있다. * 영진문화사 창업주이자 전 대표인 박병주와 현 대표 이관호가 이 페이지를 만들었다. == 특징 == 목차는 2장으로, 전국을 1:50,000으로 표현했다. * 위성항법시스템(GPS)이용 현지조사 * 차선별 색상구분, 공사중(예정)도로 표기 * 휴양림, 펜션, 관광농원 및 전국 유명관광지 설명 * 기업도시(6개지역), 혁신도시(10개지역)수록 * 스키장, 골프장(홀모양)수록 * 국립, 도립공원 입체 표기 * 금강산, 개성공단 수록 * 경제자유구역 수록 * 백두대간 표기 * 4대강, 국토종주 자전거길 표기 == 페이지별 설명 == * 0-3페이지: 목차/머리말 * 4페이지: 찾아보기 * 5페이지: 범례 * 6-185페이지: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 186-369페이지: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경상북도]] 북부 * 370-633페이지: [[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경상북도]] 남부, [[대구광역시]],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추자도]] * 634-649페이지: [[제주특별자치도]] * 650페이지: [[수도권 전철]] 노선도 * 651페이지 상단: [[부산 도시철도]] 노선도 * 651페이지 하단의 3/4: [[대구 도시철도]] 노선도, [[대전 도시철도]] 노선도, [[광주 도시철도]] 노선도 * 651페이지의 하단의 1/4: 지하철 표지판 안내도 * 652페이지: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북부 고속도로 안내도 * 653페이지: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남부 고속도로 안내도 * 654페이지: 영진지도 목록 == 여담 == * 1박2일에서 시골집을 찾아갈때 쓴 지도가 바로 이 지도이다. * 2020년 판에서 2017년 이전한 어곡초가 이전되기 전 위치로 나오고 물금신도시에서 2012년쯤 후에 지어진 건물 이름이 없다.[* 사실 전국을 모두 2019년 이후 정보로 수집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기는 하다.] [[분류:영진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