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천시)] [include(틀:영천시의 읍면동)] [목차] [clearfi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98%81%EC%B2%9C%EC%8B%9C_%ED%96%89%EC%A0%95%EA%B5%AC%EC%97%AD.png|width=500]] == 개요 == 신녕면, 화남면, 화북면, 화산면은 구 신녕현 지역, 나머지는 모두 구 영천군 지역이다. == 동 == === [[중앙동(영천)|중앙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앙동(영천))] 관할 법정동은 과전동·녹전동·[[도림동(영천)|도림동]]·[[매산동(영천)|매산동]]·[[문내동]]·[[문외동]]·오미동·창구동이다. 인구는 '''9,442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영천시]]의 원도심으로, [[문외동]]에 [[영천시청]]이 있다. [[영천시청]] 주변은 [[영천시]]의 번화가지만, 서문육거리 쪽으로 조금만 나가면 상권이 사실상 단절된 지역이기도 하다. 소규모 아파트들이 5~6곳 있으며 [[매산동(영천)|매산동]]에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북영천IC]], 오미동에 영천예비군훈련장, 녹전동에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가 있다. 학교는 중앙초, 영천중이 있다. === [[완산동(영천)|완산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완산동(영천))]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0,037명.'''[*A] [[금호강]] 이남에 있는 영천 시가지 대부분을 차지하며, [[영천역]], 영천우체국, 영천공설시장이 있다. 옛 공병대 부지에 [[e편한세상 센텀스타시티 영천|e편한세상 영천]] 아파트단지가 완공되어 [[완산동(영천)|완산동]]의 인구가 증가 중이지만 정작 학교는 1곳도 없다. === [[동부동(영천)|동부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부동(영천))] 관할 법정동은 [[망정동]]·신기동·[[야사동]]·언하동·조교동이다. 인구는 '''27,509명'''[*A]으로 영천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우로지자연생태공원 주변으로 아파트단지가 대단위로 조성되었다.[* 영천시민들은 이 지역을 '창신'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곳에 창신아파트가 있기 때문이며, 행정구역상 [[망정동]] 관할구역이다.] [[영천소방서]], 언하공업단지가 있다. 학교는 동부초, [[포은초등학교|포은초]], [[영동중학교(경북)|영동중]], [[영동고등학교(경북)|영동고]], [[영천고등학교|영천고]]가 있다. === [[남부동(영천)|남부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남부동(영천))] 관할 법정동은 [[괴연동]]·[[금노동]]·[[도남동(영천)|도남동]]·[[도동(영천)|도동]]·[[범어동(영천)|범어동]]·[[본촌동(영천)|본촌동]]·[[봉동]]·작산동·[[채신동]]이다. 인구는 '''3,989명'''.[*A]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는 지역이다. [[도남동(영천)|도남동]], [[봉동]]에 영천도남농공단지, [[본촌동(영천)|본촌동]], [[채신동]] 지역에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 본촌농공단지, 채신공단이 있다. 이 곳에 꽤 규모가 큰 [[중견기업]][* 현대자동차그룹 1차 [[하청|협력업체]]인 (주)세원물산, (주)화신정공, (주)화신 봉동공장 등.]들도 입주해 있어 사실상 [[영천시]]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 지역이다. [[본촌동(영천)|본촌동]]에 [[경부고속도로]] [[영천IC]], [[금노동]]에 [[영천버스터미널]], [[도남동(영천)|도남동]]에 보물 제 517호인 [[영천 청제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 20호로 지정된 완귀정이 있다. 학교는 [[영천초등학교(경북)|영천초]], [[영천성남여자중학교|영천성남여중]], [[영천성남여자고등학교|영천성남여고]]가 있다. [[괴연동]]에 영화배우 [[신성일]]이 말년에 거주했던 성일가가 있다. === [[서부동(영천)|서부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부동(영천))] 관할 구역은 교촌동·대전동·서산동·[[성내동(영천)|성내동]]·쌍계동·[[오수동]]·화룡동이다. 인구는 '''4,583명'''.[*A] 영천교육지원청, [[영남대학교영천병원]], [[이마트 영천점]],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로봇캠퍼스|한국폴리텍대학 로봇캠퍼스]], [[영천시민운동장]], 영천[[향교]], [[중앙선]] [[북영천역]], [[영천교통]] 차고지가 있다. 학교는 영화초, 영천여중, 선화여고, [[영천여자고등학교|영천여고]]가 있다. == 읍 == === [[금호읍]]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금호읍)] 읍소재지는 교대리, 관할 법정리는 21개이다.[* 관정리·교대리·구암리·남성리·냉천리·대곡리·대미리·덕성리·봉죽리·삼호리·석섬리·성천리·신대리·신월리·약남리·어은리·오계리·원기리·원제리·호남리·황정리] 인구는 '''10,473명.'''[*A] [[1973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최무선]]의 고향이다. 영천시의 서남쪽 끝에 있고, [[경산시]] [[와촌면]], [[진량읍]]과 접해 있으며 주변 면들보다 [[대구광역시|대구]] [[동구(대구광역시)|동구]]와 [[경산시|경산]] [[하양읍]]과 가깝다. [[금호강]]변의 교대리·덕성리에 넓고 길게 읍내 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최무선과학관, [[영천경찰서]],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 --[[대구선]] [[금호역(대구선)|금호역]]--이 있다. [[렛츠런파크 영천]]이 2025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대구대학교]] 경산캠퍼스의 부지 일부는 금호읍 남성리에 해당하며 정문에서 멀지 않다. [[대구대학교]] 교직원을 위한 주거단지가 금호읍 남성리에 있다. 학교는 거여초, [[금호초등학교(경북)|금호초]], 금호중, 경북휴먼테크고, [[포은고등학교|포은고]]가 있다. [[4번 국도]]를 통해 [[경산시]] [[와촌면]] 계당리와 접하며, [[영천시 시내버스]] 중 천연가스 차량은 영천 시내 및 금호읍에서 [[경산시]] [[와촌면]] 용천리로 넘어와 가스를 충전한다. 신월리 106-2 일대에 2,090세대를 수용하는 [[http://www.yctoday.net/m/view.php?idx=6156|영천삼희힐파크아파트]]가 완공되면 금호읍 인구가 대폭 늘어날 여지가 있다. == 면 == === [[신녕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신녕면)] 옛 신녕군의 중심지이다. 면소재지는 화성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 가천리·매양리·부산리·신덕리·연정리·완전리·왕산리·치산리·화남리·화서리·화성리] 인구는 '''3,689명'''.[*A]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산성면]]과 접한다. [[군위군|군위]] 방면으로 갑현이라는 고개가 있어서 교통이 불편했지만 2011년 12월 [[28번 국도]] 영천 - [[군위군|군위]] [[삼국유사면]] 구간의 확장이 완료되어 교통이 편리해졌다. [[상주영천고속도로]] [[신녕IC]]가 있다. [[대구광역시|대구]] [[동구(대구광역시)|동구]]와 [[팔공산]][* 당장 나무위키에 등록된 거의 대부분의 대구 지역 방송국 송신소 주소가 [[신녕면]]으로 표기되어 있다.]을 두고 접하지만 산길로만 다닐 수 있다. [[성운대학교]], [[중앙선]] [[신녕역]]이 있다. [[문화재]] 및 관광지로는 [[팔공산|팔공산도립공원]]에 있는 치산 [[폭포]], [[수도사(영천)|수도사]], 신녕[[향교]] 등이 있다. 학교는 [[신녕초등학교|신녕초]], [[신녕중학교|신녕중]], [[경북바이오마이스터고등학교|경북바이오마이스터고]]가 있다. [[2018년 폭염]]으로 인해 40도를 넘나드는 기온을 자랑한 바 있다. 경북 최고 혹서지라고 봐도 될 정도로 2018년 7~8월 동안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신'''녕'''면을 신'''령'''면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어서 혼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http://news.imaeil.com/SocietyAll/1999122215050169828|#]] === 화산면 === 면소재지는 유성리, 관할 법정리는 15개이다.[* 가상리·당곡리·당지리·대기리·대안리·덕암리·부계리·삼부리·석촌리·암기리·연계리·용평리·유성리·화산리·효정리] 인구는 '''3,103명'''.[*A] 유성리에 [[중앙선]] [[화산역]], 가상리에 시안미술관[* 폐교를 이용한 미술관.]이 있다. 학교는 [[화산초등학교(경북)|화산초등학교]], [[화산중학교(경북)|화산중]]이 있다. === 화남면 === 면소재지는 삼창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구전리·귀호리·금호리·대천리·사천리·삼창리·선천리·신호리·안천리·온천리·용계리·월곡리·죽곡리] 인구는 '''3,225명'''.[*A] [[1983년]]에 화북면 삼창출장소에서 화남면으로 승격하였다. 조선 초기 신녕 고을의 읍치가 이 지역에서 신녕면으로 이동되었다. 화북면과 함께 면의 교통을 [[35번 국도]]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외에는 북영천IC를 통해 대구 및 포항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매산동(영천)|매산동]]에 있는 [[북영천IC]]와 실제 이어지는 도로는 행정구역상 화남면이다. 학교는 중앙초 화남분교, 지곡초, 영천산동중, [[영천전자고등학교|영천전자고]]가 있다. [[대한민국|한국]]에서 '머루포도' 라는 명칭으로 유통되는 머스캣 베일리 A(MBA) 품종의 포도[* 일반적인 미국종 포도에 머스캣 향을 내기 위해 머스캣 계열의 유럽종 포도와 교배한 품종.]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지역 중 1곳이다. === 화북면 === 면소재지는 자천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공덕리·법화리·상송리·오동리·오산리·옥계리·용소리·입석리·자천리·정각리·죽전리·하송리·황계리] 인구는 '''2,183명'''.[*A] 보현산, [[보현산 천문대]], 오리장림(五里長林, 숲) 등이 있다. [[보현산댐]]으로 인해 북쪽 용소리 일대가 수몰되었다. 과거 청송으로 가려고 하면 노귀재라는 험한 고갯길을 넘어야해 청송 방면 교통이 불편했으나 [[35번 국도]] 노귀재터널이 개통되어서 [[청송군]] 방면으로의 교통이 편리해졌다. 면의 최북단 상송리에서는 [[908번 지방도]]를 통해서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과 접한다. 일반적으로 면소재지인 자천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불리는 편이다. 같은 경상북도인 [[상주시]]에도 화북면이라는 곳이 있으니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학교는 자천초, [[대안학교]]인 산자연중이 있다. 청송 방면은 자천초등학교 바로 앞, 영천-대구 방면은 건너편 정류장에서 기다리면 시외버스를 탈 수 있다. === [[청통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청통면)] 면소재지는 치일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계지리·계포리·대평리·보성리·송천리·신덕리·신원리·신학리·애련리·용천리·우천리·원촌리·죽정리·치일리] 인구는 '''3,994명'''.[*A] [[팔공산|팔공산도립공원]]에 [[은해사]](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 거조암 등의 [[절(불교)|절]]이 있다. 학교는 청통초, 청통중이 있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청통와촌IC]]가 있다. 신녕면과 더불어 [[대구광역시|대구]]와 [[팔공산]]을 두고 접하지만, 산길로만 다닐 수 있다. [[하양읍]]과 [[와촌면]]과 가깝다. === [[대창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창면)] 면소재지는 대창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강회리·구지리·대재리·대창리·병암리·사리리·신광리·어방리·오길리·용전리·용호리·운천리·조곡리·직천리] 인구는 '''3,031명'''.[*A] 면 북부에 영천일반산업단지가 조성 중이다. [[경산시]] [[진량읍]], [[용성면]]과 접한다. 영천시내가 꽤 멀다 보니 [[대창면]]은 [[하양읍]]보다 [[진량읍]]과 같은 생활권이다. 학교는 대창초가 있다. === 북안면 === 면소재지는 고지리, 관할 법정리는 23개이다.[* 고지리·관리·내포리·당리·도유리·도천리·명주리·반계리·반정리·북리·상리·서당리·신대리·신리리·신촌리·옥천리·용계리·원당리·유상리·유하리·임포리·자포리·효리] 인구는 '''4,374명'''.[*A] 원래 [[경주시|경주]] 소속이었는데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영천시|영천]]으로 이관되었다. 실제로 북안면 - 영천시청 간 거리는 약 14km, 북안면 - 경주시청 간 거리는 약 27km이다. 특히 동쪽의 고지리나 효리는 [[경주시|경주]]와 같은 생활권인 경향이 더욱 드러난다.[* 다만 경주 시내로 바로 가는 버스는 없고 [[경주 버스 305]]와 [[영천 버스 753]]이 아화까지만 공동으로 1일 7회 다니고 있다. 과거에는 경주 시내까지 바로 들어가는 시외버스가 12회 정도로 상당히 많았으나, 주 52시간제와 인구 감소로 인해 모조리 폐선되었다.] 노계 박인로의 고향이다. 실질적인 면 중심지는 행정복지센터에서 다리 하나만 건너면 나오는 임포리이며, 터미널[* 단, 시외버스는 2018년 6월 28일에 폐지되었다.], 우체국, 하나로마트, 보건지소, 119지역대까지 모두 임포리에 있다. [[중앙선]]이 지나나 역은 없다. [[송포역]]과 [[임포역]]은 중앙선 복선전철화로 폐역되었다. 고지리에 [[만불사]]라는 네임드 [[절(불교)|절]]이 있어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도천리에는 도계서원[* 노계 박인로 선생을 기리는 서원이다.]이 있으며 [[921번 지방도]]를 통해 [[청도군]] 운문면[* 단, 운문면으로 가는 길은 꼬불꼬불하다. 주의하자.], [[4번 국도]], [[909번 지방도]]를 통해 [[경주시]] [[서면(경주)|서면]]과 접한다. 관리에 돌할'''매'''공원, 자포리에 돌할'''배'''가 있다. 학교는 북안초, 영안중과 특수학교인 경북영광학교가 있다. [[영천시|영천]]에서 유일하게 [[청도군|청도]]와 접한다. 그래서 [[영천시]]와 [[청도군]]이 [[영천시·청도군|하나의 선거구]]가 된 것이다. 그렇지만 영천에서 청도까지 가기 위해서는 경산을 거치는 것이 더 가깝고, 북안에서 운문까지 가는 길은 산길이다 보니 교류는 거의 없다. === [[고경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경면)] 면소재지는 해선리, 관할 법정리는 30개이다.[* 가수리·고도리·논실리·단포리·대성리·대의리·덕정리·도암리·덕암리·동도리·부리·삼귀리·삼산리·삼포리·상덕리·상리리·석계리·오룡리·오류리·용전리·전사리·차당리·창상리·창하리·청정리·초일리·칠전리·파계리·학리·해선리] 인구는 '''5,691명.'''[*A] 창하리에 [[육군3사관학교]]가 있어 육군 장교 양성을 하고 있으며, [[전문대학]] 졸업자 및 정규 4년제 대학교 2학년 이상 수료자가 입학 대상인 관계로 100% 편입학으로만 학생을 선발한다. [[안강읍]]으로 넘어가는 청정리에는 [[국립영천호국원]]이 있다. 학교는 고경초, 단포초, 별빛중이 있다. [[고경면]]은 [[경주시]] [[안강읍]]과 교류가 많다. === [[임고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임고면)] 면소재지는 양항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고천리·금대리·덕연리·매호리·사리·삼패리·선원리·수성리·양평리·양항리·우항리·평천리·황강리·효리] 인구는 '''4,148명.'''[*A] 포은 [[정몽주]]의 고향이며 임고서원, [[선죽교#가설 선죽교|가설 선죽교]]가 있다. [[영천시|영천]] 시내에서 [[청송군|청송]]으로 가는 길목에 있다. 매호리에 [[상주영천고속도로]] [[동영천IC]]가 있다. 학교는 임고초, 평촌초가 있다. === [[자양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자양면)] 면소재지는 성곡리, 관할 법정리는 9개이다.[* 노항리·도일리·보현리·삼귀리·성곡리·신방리·용산리·용화리·충효리] 인구는 '''1,310명'''[*A]으로 영천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적다. [[금호강]]의 본류를 막아 건설된 [[영천댐]]이 있어 [[영천시]] 타 지역으로 가기 가장 불편한 면이다. [[영천댐]] 주변에 용계서원, 오회공 종택, 오회당, 강호정, 사의당이 있다. 학교는 자천초 보현분교가 있다. [[69번 지방도]]를 통해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죽장면]]과 접한다. [[분류:영천시]][[분류:영천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