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영통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수원시 정, top2=수원시 무)] [include(틀:수원시의 정치)] [목차] == 선거구 정보 == ||<-3> [[수원시|[[파일:수원시 CI.svg|height=25]]]]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국회의원 || 도의원 || 지역 || ||<|3> [[수원시 정|{{{#ffffff 수원시 정}}}]] || [[수원시 제7선거구|수원시7]] ||'''영통구'''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 || [[수원시 제8선거구|수원시8]] ||'''영통구''' 원천동, 영통1동 || || [[수원시 제9선거구|수원시9]] ||'''영통구''' 광교1동, 광교2동 || || [[수원시 무|{{{#ffffff 수원시 무}}}]] || [[수원시 제12선거구|수원시12]] ||'''영통구''' 영통2동, 영통3동, 망포1동, 망포2동 || == 지역 특성 == 지역 자체가 1990년대 후반에 형성된 영통지구를 중심으로 망포 일대 신영통, 광교신도시 등 신도시들이 꾸준히 개발되다 보니 외지인 유입 비중이 높고 젊은 중산층이 많으며, 여기에 [[삼성전자]] 근로자들이 존재하는 점 때문에 수원에서 민주당과 정의당의 지지가 가장 강했었다.[* 다만 매탄1, 2동은 야당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동네는 아니다. 당장 18대 대선을 포함해 여러 번의 선거에서 보수정당 득표율이 민주당 득표율을 상회한 바 있었다. 제20대 총선에서도 새누리당 후보가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많은 표를 얻었다. 물론 21대 총선에서는 통합당의 후보가 영통구 전지역에서 그보다 낮은 득표율로 낙선했다.] 그 위력은 아래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가 분할이 되었다. 기존과 마찬가지로 수원시 정 선거구를 기반으로 삼는 것은 맞지만, 영통2동과 태장동이 신설되는 무 선거구로 이동하게 되었다. 무 선거구의 경우 세류1~3동이 압도적인 보수 성향 지역인지라 진보 성향이 강한 영통2동과 태장동 주민들 입장에서는 불만이 제기될 수 있는 상황이다. 정 선거구의 경우에도 매탄동, 광교, 영통 세 지역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힐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역구 분할과 광교 지역 집값 폭등, 야권 단일화 실패 등의 이유로 제20대 총선 기준으로 [[새누리당]] [[박수영(정치인)|박수영]] 후보[* 낙선 이후 21대 총선에 지역구를 부산 [[남구 갑(부산)|남 갑]]으로 옮겨 당선되었다.]의 당선 가능성이 이전보다 높아졌다는 전망이 있었으나 결과는 아니나 다를까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후보의 압승이었다. 박수영 후보는 매탄1,2동에서 약 36~37%의 득표율을 얻고 매탄3,4동, 광교1,2동에서 30~32%에 득표율을 얻는데 그치면서 여전히 영통구는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임을 재확인하였다. [[박근혜 탄핵]] 직후 치러진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무려 47.88%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수도권 전체에서 가장 압도적인 힘을 보여준 지역'''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 이유로는 영통지구, [[광교신도시]]에 2040세대의 젊은 인구가 몰려있어 민주당 지지세가 원래부터 높았을 뿐만 아니라, 80년대에 개발된 매탄동, 원천동 일대에서도 [[삼성전자]] 노동자들의 힘으로 타 지역의 구도심 지역들보다 민주당 지지세가 강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래서 수원시 4개구 중 유일하게 문재인 후보가 모든 동에서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홍준표 후보는 구도심 3개동에서만 간신히 20%를 넘겼을 뿐, 영통과 광교에서 평균 14%의 처참한 득표율을 받음으로서 영통구 전체에서 15.18%로 주저앉고 말았다. 이 득표율 역시도 '''수도권 전체에서 가장 낮은 득표율'''이었다. 그에 대한 반사이익은 비슷한 보수 성향의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가 가져갔는데, 전국 평균보다 1.7%나 높은 득표율을 보이면서 젊은 층에서의 지지세가 높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민주당의 초강세는 여전해서, 수원 내 4개 구중 [[염태영]] 시장의 득표율(66.99%)보다 높은 득표율(70.3%)을 기록한 구다. 경기도지사선거에서도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56.35%)보다 높은 득표율(57.72%)이 나왔으며, 이는 수원시 내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이다. 민주당은 광역비례대표 선거에서도 강세를 보여, 매탄1동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50%를 상회하는 표를 획득하며 53.92%를 득표했다. 정의당의 지지세 역시 경기도 평균에 비해 매우 높았다. 정의당은 광역비례대표 선거에서 15.03%를 득표했다. 영통2동의 경우 15.08%로 2위를 기록하며 14.68%에 그친 자유한국당에 앞서기도 하였다. 전반적으로 젊은 층들이 다수라 민주당계, 진보계가 강세이며 특히 당시 경기도지사 이재명 지지도가 굉장히 높은 지역이었으나...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그동안의 민주당 강세 지역 타이틀이 무색하게 이재명이 불과 '''166표차'''로 간신히 승리하여, 20대 대선 최대 이변 지역 중 한 곳이 되었다. 부동산 문제 등으로 [[광교신도시]] 지역과 매탄동 일부에서 [[윤석열]]이 승리를 거두면서 표심이 변화해버린 것이다. 그나마 [[수원시 무]] 선거구에 속하는 영통동, 망포동 지역은 이재명 후보가 승리했으나, 광교신도시, 매탄동 등이 포함되는 [[수원시 정]] 선거구는 아예 '''1,000표 이상의 차이로 윤석열이 승리하는 결과가 나올 정도로''' 급격한 표심 변화를 보여주었다. 원도심권 지역은 민주당 2017년 44.86% → 2018년 54.81% → 2020년 55.96% → 2022년 47.37%로 비교적 변화의 폭이 적었으나, 국민의힘 2017년 17.95% → 2018년 37.40% → 2020년 39.06% → 2022년 48.82%로 지지율이 급상승해 기세가 역전되었다. [[영통지구]]에서는 민주당 2017년 48.98% → 2018년 59.24% → 2020년 59.14% → 2022년 50.15%로 원도심권과 지지율 변화폭은 비슷했지만, 국민의힘이 2017년 14.39%에서 2022년 46.52%까지 상승하여 호각세를 이루었다. [[광교신도시]]는 민주당 2017년 49.28%에서 2022년 45.54%로 5자구도였던 19대 대선보다도 양자구도인 20대 대선 득표율이 4% 가까이 하락한 반면, 국민의힘은 2017년 14.30%에서 2022년 51.15%로 무려 4배 가까이 지지도가 상승하면서 구도가 완전히 역전되었다. 광교뿐만 아니라 원천동 또한 민주당 48.16% → 44.34%, 국민의힘 15.40% → 52.31%로 변동폭이 컸다. 광교의 경우는 [[문재인 정부/평가/경제/부동산 정책|부동산 문제]]가 발목을 잡았고, 원천동은 20대 대학생 1인 가구가 밀집하여 20대의 민심 이반이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 선거는 민주당 [[김동연]] 후보가 3%p 차이로 1위를 기록했다. 20대 대선 당시보다 표차가 조금 더 벌어졌는데, 김동연 후보가 영통구에 위치한 [[아주대학교]] 총장을 지내는 등 인물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정작 아주대학교가 위치한 원천동에서는 [[김은혜]] 후보에게 패배했다.][* 대선에서 윤석열이 이긴 광교동에서는 김동연이 이겼는데, 아마 김동연의 거주지가 광교신도시인 점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확률이 있다.] 다만 수원시장 선거에서는 민주당 [[이재준(1965)|이재준]] 후보가 단 '''4표''' 차이로 승리하는 초접전이 벌어지기도 해, 기존의 민주당 지지세가 다시 돌아왔다고 보기엔 애매한 상황이다. 특히 영통구 관할 경기도의원 선거구 4곳 중 양당이 각각 2곳에서 승리했기 때문에, 확실히 예전과 달리 경합지역으로 변모했다고 볼 수 있다. == 역대 선거 결과 == === 지선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기도지사]] 선거 ===== ||<-6> [[수원시 영통구|{{{#ffffff {{{+1 '''수원시 영통구'''}}}}}}]][br]{{{#ffffff 영통구 일원[*e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영통1동, 영통2동, 태장동, 광교1동, 광교2동, 영통3동] }}}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include(틀:정의당)] || [include(틀:민중당)]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남경필|{{{#ffffff '''남경필'''}}}]] || [[김영환(1955)|{{{#ffffff '''김영환'''}}}]] || [[이홍우(1959)|{{{#000000 '''이홍우'''}}}]] || [[홍성규|{{{#ffffff '''홍성규'''}}}]] || || '''득표수''' || '''98,513''' || 59,730 || 8,134 || 4,762 || 873 || || '''득표율''' || '''57.27%''' || 34.72% || 4.72% || 2.76% || 0.50%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273,531 || ||<-3> '''투표 수''' ||<-2> 174,692 || ||<-3> '''무효표 수''' ||<-2> 2,680 || ||<-3> '''투표율''' ||<-2> 63.87% || ||<:><-8> {{{#FFFFFF '''7회 지선 경기도지사 선거 경기 수원 영통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include(틀:정의당)] ||<:> [include(틀:민중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남경필|{{{#FFFFFF '''남경필'''}}}]] ||<:> [[김영환(1955)|{{{#FFFFFF '''김영환'''}}}]] ||<:> [[이홍우(1959)|{{{#000000 '''이홍우'''}}}]] ||<:> [[홍성규|{{{#FFFFFF '''홍성규'''}}}]]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98,513 [br] (57.27%)'''}}} ||<:> '''59,730 [br] (34.72%)''' ||<:> '''8,134 [br] (4.72%)''' ||<:> '''4,762 [br] (2.76%)''' ||<:> '''873 [br] (0.50%)''' ||<:> '''+38,783 [br] (△22.55)''' ||<:> '''63.87%''' || || '''매탄1동''' ||<:> {{{#004EA2 52.12%}}} ||<:> 40.61% ||<:> 4.52% ||<:> 2.25% ||<:> 0.50% ||<:> △11.51 ||<:> 58.98 || || '''매탄2동''' ||<:> {{{#004EA2 51.09%}}} ||<:> '''41.05%''' ||<:> 4.52% ||<:> 2.83% ||<:> 0.51% ||<:> △10.04 ||<:> 56.04 || || '''매탄3동''' ||<:> {{{#004EA2 55.92%}}} ||<:> 35.97% ||<:> 4.58% ||<:> 2.91% ||<:> 0.62% ||<:> △19.95 ||<:> 60.41 || || '''매탄4동''' ||<:> {{{#004EA2 54.98%}}} ||<:> 37.34% ||<:> 4.16% ||<:> 2.84% ||<:> '''0.68%''' ||<:> △17.64 ||<:> 55.26 || || '''원천동''' ||<:> {{{#004EA2 57.85%}}} ||<:> 34.42% ||<:> 4.65% ||<:> 2.72% ||<:> 0.36% ||<:> △23.43 ||<:> 53.78 || || '''영통1동''' ||<:> {{{#004EA2 59.40%}}} ||<:> 32.19% ||<:> 4.85% ||<:> '''3.07%''' ||<:> 0.49% ||<:> △27.21 ||<:> 64.96 || || '''영통2동''' ||<:> {{{#004EA2 '''64.10%'''}}} ||<:> 27.88% ||<:> 4.68% ||<:> 2.83% ||<:> 0.50% ||<:> △'''36.22''' ||<:> 64.37 || || '''태장동''' ||<:> {{{#004EA2 58.32%}}} ||<:> 33.74% ||<:> 4.97% ||<:> 2.45% ||<:> 0.52% ||<:> △24.58 ||<:> 62.72 || || '''광교1동''' ||<:> {{{#004EA2 52.03%}}} ||<:> 39.74% ||<:> 4.90% ||<:> 2.96% ||<:> 0.37% ||<:> △12.29 ||<:> '''65.09''' || || '''광교2동''' ||<:> {{{#004EA2 57.68%}}} ||<:> 34.69% ||<:> 4.69% ||<:> 2.58% ||<:> 0.36% ||<:> △22.99 ||<:> 63.12 || || '''영통3동''' ||<:> {{{#004EA2 55.84%}}} ||<:> 35.63% ||<:> '''5.24%''' ||<:> 2.82% ||<:> 0.47% ||<:> △20.21 ||<:> 61.15 || || '''후보''' || [[이재명|{{{#004EA2 '''이재명'''}}}]] || [[남경필|{{{#C9151E '''남경필'''}}}]] || [[김영환(1955)|{{{#00B4B4 '''김영환'''}}}]] || [[이홍우(1959)|{{{#FFCC00 '''이홍우'''}}}]] || [[홍성규|{{{#F26522 '''홍성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66.83%'''}}} ||<:> 26.44% ||<:> 2.88% ||<:> '''2.88%''' ||<:> '''0.96%''' ||<-2> △40.39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3.55%}}} ||<:> '''28.54%''' ||<:> '''4.42%''' ||<:> 2.79% ||<:> 0.70% ||<-2> △35.01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경기도지사]] 선거 ===== ||<-3> [[영통구|{{{#ffffff {{{+1 '''수원시 영통구'''}}}}}}]][br]{{{#ffffff 영통구 일원[*f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광교1동, 광교2동, 영통1동, 영통2동, 영통3동, 망포1동, 망포2동] }}}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김동연|{{{#ffffff '''김동연'''}}}]] || [[김은혜|{{{#ffffff '''김은혜'''}}}]] || || '''득표수''' || '''81,109''' || 75,184 || || '''득표율''' || '''50.84%''' || 47.13% || || '''순위''' || '''1위''' || 2위 || ||<|5> '''계''' || || '''선거인 수''' || 296,856 || || '''투표 수''' || 160,556 || || '''무효표 수''' || 1,039 || || '''투표율''' || 54.09% || ||<-8> {{{#FFFFFF '''8회 지선 영통구 개표 결과'''}}} || ||<-8> {{{#FFFFFF '''경기도지사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동연|{{{#FFFFFF '''김동연'''}}}]] || [[김은혜|{{{#FFFFFF 김은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81,109 [br] (50.84%)'''}}} || '''75,184 [br] (47.13%)''' || '''+ 5,925 [br] (△3.71)''' || '''160,556 [br] (54.08%)''' || || '''매탄1동''' || 46.74% || {{{#E61E2B 50.84%}}} || ▼4.10 || 50.12 || || '''매탄2동''' || 47.26% || {{{#E61E2B 50.45%}}} || ▼3.19 || 47.52 || || '''매탄3동'''[*A [[삼성전자]] 본사가 있는 동네] || {{{#004EA2 52.20%}}} || 45.49% || △6.71 || 49.25 || || '''매탄4동''' || {{{#004EA2 49.52%}}} || 48.06% || △1.46 || {{{#696969 '''45.35'''}}} || || '''원천동'''[*B [[아주대학교]]가 있는 동네] || {{{#696969 46.03%}}} || {{{#E61E2B '''52.00%'''}}} || {{{#696969 '''▼5.97'''}}} || 45.98 || || '''영통1동''' || {{{#004EA2 54.08%}}} || 44.20% || △9.88 || 53.57 || || '''영통2동''' || {{{#004EA2 52.99%}}} || 44.79% || △8.20 || 49.37 || || '''영통3동'''[*C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대학가가 있는 동네] || {{{#004EA2 51.71%}}} || 46.16% || △5.55 || 50.53 || || '''망포1동''' || {{{#004EA2 52.49%}}} || 45.56% || △6.93 || 49.45 || || '''망포2동''' || {{{#004EA2 '''54.65%'''}}} || {{{#696969 43.77%}}} || '''△10.89''' || 55.20 || || '''광교1동''' || {{{#004EA2 49.37%}}} || 48.78% || △0.60 || '''55.30''' || || '''광교2동'''[*D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가 있는 동네] || {{{#004EA2 49.31%}}} || 48.80% || △0.52 || 54.19 || || '''후보''' || [[김동연|{{{#004EA2 '''김동연'''}}}]] || [[김은혜|{{{#E61E2B 김은혜}}}]]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0.20%}}} || 40.56% || △9.64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1.79%}}} || 46.15% || △5.64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김동연|{{{#FFFFFF '''김동연'''}}}]] || [[김은혜|{{{#FFFFFF 김은혜}}}]]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수원시 정|{{{#004EA2 '''수원시 정'''[*E 영통구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영통1동, 광교1동, 광교2동, 원천동][* 지역구 국회의원: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3선)]}}}]] || {{{#FFFFFF 49.66%}}} || 48.31% || △1.35 || 50.76 || || [[수원시 무|{{{#004EA2 '''수원시 무'''[*F 권선구 세류1동, 세류2동, 세류3동, 권선1동, 권선2동, 곡선동 + 영통구 영통2동, 영통3동, 망포1동, 망포2동][* 지역구 국회의원: [[김진표(정치인)|김진표]] (더불어민주당, 5선)]}}}]] || {{{#FFFFFF 50.30%}}} || 47.80% || △2.50 || 47.15 || || '''후보''' || [[김동연|{{{#FFFFFF '''김동연'''}}}]] || [[김은혜|{{{#FFFFFF 김은혜}}}]] || 격차 || 투표율 || || '''원도심권'''[*G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 48.61% || {{{#E61E2B 49.14%}}} || ▼0.53 || 47.54 || || '''영통지구'''[*H 영통1동, 영통2동, 영통3동, 망포1동, 망포2동] || {{{#004EA2 53.20%}}} || 44.88% || △8.32 || 51.62 || || '''광교신도시'''[*I 광교1동, 광교2동] || {{{#004EA2 49.35%}}} || 48.78% || △0.57 || 54.91 || 석 달 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166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이 초박빙 끝에 신승했지만, 이번 지선에서는 166표 차이보다 큰 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후보가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김동연 후보가 영통구 원천동에 위치한 아주대학교에서 총장을 지내며 나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점과 김동연 후보의 거주지가 광교신도시 소속 원천동인 점이 영향을 크게 준 것으로 보인다. 동 단위으로 보면 원천동과 매탄1, 2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김동연 후보가 앞섰다. ===== 수원시장 선거 ===== ||<-8> {{{#FFFFFF '''수원시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준(1965)|{{{#FFFFFF '''이재준'''}}}]] || [[김용남(1970)|{{{#FFFFFF 김용남}}}]]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79,500 [br] (50.00%)'''}}} || '''79,496 [br] (49.99%)''' || '''+ 4 [br] (△0.002)''' || '''160,552 [br] (54.08%)''' || || '''매탄1동''' || 46.47% || {{{#E61E2B 53.52%}}} || ▼7.04 || 50.07 || || '''매탄2동''' || 47.86% || {{{#E61E2B 52.13%}}} || ▼4.27 || 47.49 || || '''매탄3동'''[*A ] || {{{#004EA2 51.32%}}} || 48.67% || △2.65 || 49.24 || || '''매탄4동''' || 49.39% || {{{#E61E2B 50.60%}}} || ▼1.22 || 45.35 || || '''원천동'''[*B ] || {{{#696969 45.38%}}} || {{{#E61E2B '''54.61%'''}}} || {{{#696969 '''▼9.23'''}}} || 45.96 || || '''영통1동''' || {{{#004EA2 52.20%}}} || 47.79% || △4.42 || 53.56 || || '''영통2동''' || {{{#004EA2 51.81%}}} || 48.18% || △3.62 || 49.34 || || '''영통3동'''[*C ] || 49.48% || {{{#E61E2B 50.51%}}} || ▼1.04 || 50.51 || || '''망포1동''' || {{{#004EA2 51.69%}}} || 48.30% || △3.39 || 49.43 || || '''망포2동''' || {{{#004EA2 '''53.87%'''}}} || {{{#696969 46.12%}}} || '''△7.74''' || '''55.18''' || || '''광교1동''' || 48.72% || {{{#E61E2B 51.27%}}} || ▼2.55 || 54.86 || || '''광교2동'''[*D ] || 49.19% || {{{#E61E2B 50.80%}}} || ▼1.61 || 54.17 || || '''후보''' || [[이재준(1965)|{{{#004EA2 '''이재준'''}}}]] || [[김용남(1970)|{{{#E61E2B 김용남}}}]]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45.93% || {{{#E61E2B 54.06%}}} || ▼8.13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1.04%}}} || 48.95% || △2.09 || || === 대선 === ==== [[제18대 대통령 선거]] ==== ||<-3> [[영통구|{{{#3AB34A {{{+1 '''수원시 영통구'''}}}}}}]][br]{{{#3ab34a 영통구 일원[*b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영통1동, 영통2동, 태장동] }}}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 '''득표수''' || 74,873 || '''89,927''' || || '''득표율''' || 45.28% || '''54.39%'''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208,298 || || '''투표 수''' || 165,741 || || '''무효표 수''' || 408 || || '''투표율''' || 79.57% || ||<-5> {{{#3AB34A '''18대 대선 경기 수원 영통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 '''득표수[br](득표율)''' || '''74,873 [br] (45.28%)''' || {{{#3AB34A '''89,927 [br] (54.39%)'''}}} || '''- 15,054 [br] (▼9.11)''' || '''79.57%''' || || '''매탄1동''' || 48.64% || {{{#ffd400 51.05%}}} || ▼2.41 || 78.70 || || '''매탄2동''' || {{{#c9252b '''50.70%'''}}} || {{{#696969 49.03%}}} || △1.67 || 75.22 || || '''매탄3동''' || 46.10% || {{{#ffd400 53.61%}}} || ▼7.51 || 79.12 || || '''매탄4동''' || 47.36% || {{{#ffd400 52.33%}}} || ▼4.97 || 75.73 || || '''원천동''' || 43.25% || {{{#ffd400 56.45%}}} || ▼13.20 || 77.87 || || '''영통1동''' || 42.02% || {{{#ffd400 '''57.69%'''}}} || ▼'''15.67''' || 81.46 || || '''영통2동''' || 42.68% || {{{#ffd400 56.99%}}} || ▼14.31 || '''82.73''' || || '''태장동''' || 47.43% || {{{#ffd400 52.22%}}} || ▼4.79 || 79.25 || || '''후보''' || [[박근혜|{{{#c9252b '''박근혜'''}}}]] || [[문재인|{{{#ffd400 '''문재인'''}}}]] ||<-2> 격차 || || '''국외부재자투표''' || 36.67% || {{{#ffd400 '''62.98%'''}}} ||<-2> ▼26.31 || || '''국내부재자투표''' || '''48.11%''' || {{{#ffd400 51.18%}}} ||<-2> ▼3.07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6> [[수원시 영통구|{{{#ffffff {{{+1 '''수원시 영통구'''}}}}}}]][br]{{{#ffffff 영통구 일원[*d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영통1동, 영통2동, 태장동, 광교1동, 광교2동] }}}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 '''득표수''' || '''105,181''' || 33,354 || 46,872 || 18,468 || 15,086 || || '''득표율''' || '''47.88%''' || 15.18% || 21.33% || 8.40% || 6.86% || || '''순위''' || '''1위''' || 3위 || 2위 || 4위 || 5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264,002 || ||<-3> '''투표 수''' ||<-2> 220,307 || ||<-3> '''무효표 수''' ||<-2> 658 || ||<-3> '''투표율''' ||<-2> 83.45% || ||<-8> {{{#FFFFFF '''19대 대선 경기 수원 영통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05,181 [br] (47.88%)'''}}} || '''33,354 [br] (15.18%)''' || '''46,872 [br] (21.33%)''' || '''18,468 [br] (8.40%)''' || '''15,086 [br] (6.86%)''' || '''+58,309 [br] (△26.55)''' || '''83.45%''' || || '''매탄1동''' || {{{#004ea2 42.56%}}} || 19.96% || 22.60% || 7.71% || 6.79% || △19.96 || 79.51 || || '''매탄2동''' || {{{#004ea2 41.30%}}} || '''21.77%''' || '''23.51%''' || 6.93% || 6.03% || △17.79 || 74.94 || || '''매탄3동''' || {{{#004ea2 47.02%}}} || 16.12% || 21.24% || 8.19% || 7.05% || △25.78 || 80.51 || || '''매탄4동''' || {{{#004ea2 42.55%}}} || 19.06% || 22.85% || 7.56% || '''7.51%''' || △19.70 || 76.46 || || '''원천동''' || {{{#004ea2 48.16%}}} || 15.40% || 20.83% || 8.60% || 6.69% || △27.33 || 77.39 || || '''영통1동''' || {{{#004ea2 49.28%}}} || 14.41% || 20.62% || 8.67% || 6.69% || △28.66 || 83.27 || || '''영통2동''' || {{{#004ea2 '''50.71%'''}}} || 13.40% || 19.96% || 8.66% || 7.02% || △'''30.75''' || '''85.52''' || || '''태장동''' || {{{#004ea2 47.12%}}} || 15.30% || 22.19% || 8.56% || 6.62% || △24.93 || 81.58 || || '''광교1동''' || {{{#004ea2 49.59%}}} || 13.43% || 21.76% || '''8.95%''' || 6.08% || △27.83 || 84.83 || || '''광교2동''' || {{{#004ea2 48.70%}}} || 15.93% || 21.86% || 7.13% || 5.99% || △26.84 || 82.07 || || '''후보'''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2> 격차 || || '''거소 및 선상투표''' || 35.26% || '''15.20%''' || {{{#006241 '''36.17%'''}}} || 8.21% || 4.18% ||<-2> ▼0.91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9.40%}}} || 12.58% || 20.35% || '''9.38%''' || 7.96% ||<-2> △29.05 || || '''재외투표''' || {{{#004ea2 '''62.44%'''}}} || 4.82% || 15.18% || 5.37% || '''11.98%''' ||<-2> △47.26 || || '''국회의원 선거구'''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 격차 || 투표율 || || {{{#ffffff '''수원시 정'''}}}[*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관할 동 : 영통2동, 태장동을 제외한 영통구 전역.] ||<:> {{{#004ea2 '''46.97%'''}}} ||<:> 16.22% ||<:> 21.69% ||<:> 8.16% ||<:> 6.60% ||<:> △25.28 ||<:> 80.69% || || {{{#ffffff '''수원시 무'''}}}[*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김진표(정치인)|김진표]]][* 관할 동 : 영통2동, 태장동. 권선구 지역 제외.] ||<:> {{{#004ea2 '''48.85%'''}}} ||<:> 14.39% ||<:> 21.12% ||<:> 7.74% ||<:> 6.81% ||<:> △27.73 ||<:> 83.43%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3> [[영통구|{{{#ffffff {{{+1 '''수원시 영통구'''}}}}}}]][br]{{{#ffffff 영통구 일원[*f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영통1동, 영통2동, 광교1동, 광교2동, 영통3동, 망포1동, 망포2동] }}}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 '''득표수''' || '''114,418''' || 114,252 || || '''득표율''' || '''48.29%''' || 48.22% || || '''순위''' || '''1위''' || 2위 || ||<|5> '''계''' || || '''선거인 수''' || 295,828 || || '''투표 수''' || 239,154 || || '''무효표 수''' || 2,263 || || '''투표율''' || 80.84% || ||<-8> {{{#FFFFFF '''20대 대선 영통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114,418 [br] (48.29%)'''}}} || '''114,252 [br] (48.22%)''' || '''+ 166 [br] (△0.07)''' || '''239,154 [br] (80.84%)''' || || '''매탄1동''' || 45.96% || {{{#E61E2B 50.49%}}} || ▼4.53 || 77.01 || || '''매탄2동''' || {{{#004EA2 48.51%}}} || 47.83% || △0.68 || 74.67 || || '''매탄3동'''[*A ] || {{{#004EA2 50.04%}}} || 46.19% || △3.84 || 75.88 || || '''매탄4동''' || {{{#004EA2 49.73%}}} || 46.35% || △3.38 || {{{#696969 '''73.27'''}}} || || '''원천동'''[*B ] || {{{#696969 44.34%}}} || {{{#E61E2B '''52.31%'''}}} || {{{#696969 '''▼7.96'''}}} || 75.69 || || '''영통1동''' || {{{#004EA2 51.10%}}} || {{{#696969 45.47%}}} || △5.63 || 80.34 || || '''영통2동''' || {{{#004EA2 50.09%}}} || 46.72% || △3.37 || 79.14 || || '''영통3동'''[*C ] || {{{#004EA2 48.87%}}} || 47.63% || △1.24 || 79.58 || || '''망포1동''' || {{{#004EA2 49.24%}}} || 47.37% || △1.88 || 77.84 || || '''망포2동''' || {{{#004EA2 '''51.40%'''}}} || 45.48% || '''△5.92''' || '''83.24''' || || '''광교1동''' || 44.74% || {{{#E61E2B 51.92%}}} || ▼7.18 || 81.77 || || '''광교2동'''[*D ] || 47.05% || {{{#E61E2B 49.71%}}} || ▼2.66 || 80.65 || || '''후보''' || [[이재명|{{{#004EA2 '''이재명'''}}}]] || [[윤석열|{{{#E61E2B 윤석열}}}]]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45.13% || {{{#E61E2B 48.95%}}} || ▼3.82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48.49%}}} || 47.74% || △0.75 || || || '''재외투표''' || {{{#004EA2 59.42%}}} || 36.07% || △23.35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수원시 정|{{{#004EA2 '''수원시 정'''[*E ][* 지역구 국회의원: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3선)]}}}]] || 47.37% || {{{#FFFFFF 49.14%}}} || ▼1.77 || 78.02 || || [[수원시 무|{{{#004EA2 '''수원시 무'''[*F ][* 지역구 국회의원: [[김진표(정치인)|김진표]] (더불어민주당, 5선)]}}}]] || {{{#FFFFFF 49.62%}}} || 46.87% || △2.75 || 74.94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원도심권'''[*G ] || 47.56% || {{{#E61E2B 48.82%}}} || ▼1.26 || 75.39 || || '''영통지구'''[*H ] || {{{#004EA2 50.15%}}} || 46.52% || △3.63 || 80.02 || || '''광교신도시'''[*I ] || 45.54% || {{{#E61E2B 51.15%}}} || ▼5.61 || 81.38 || 영통구, 특히 수원시 정 선거구 소속 지역들에서 매우 급격한 표심 변화가 일어났다. 19대 대선까지만 하더라도 수도권뿐만 아니라 호남 지역을 제외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득표율 1위를 기록했던 영통구가 이번에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상대로 불과 166표차로 신승한 지역[* 참고로 전국 단위로 보아도 초박빙 지역 2위이다. 1위는 이재명 후보가 95표 차이로 승리한 [[울산광역시]] [[북구(울산 선거구)|북구]]이다.]으로 돌변해 버린 것이다. 매탄동, 원천동, 영통1동, 광교1동, 광교2동이 포함된 수원시 정 선거구(국민의힘 당협위원장 [[홍종기]], 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 겸 현직 의원 [[박광온]])에서는 오히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2,427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보다 더 많이 득표하여 승리하였다. 민주당의 텃밭으로 여겨졌던 수원시 정 선거구의 매우 큰 변화이다. 광교신도시의 집값 폭등과 함께 현직 국회의원 박광온의 지역구 관리 소홀과 자잘한 논란들로 인한 민심 이반이 매우 크게 작용한 듯하다. === 총선 === ||<-8> {{{#FFFFFF '''21대 총선 영통구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수원시 정)'''}}}[*a [[게리맨더링]]으로 인하여 다른 지역과 선거구가 같이 묶인 관계로, 해당 지역 내에서의 표만 계산함]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광온|{{{#FFFFFF '''박광온'''}}}]] || [[홍종기|{{{#FFFFFF 홍종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79,557 [br] (57.42%)'''}}} || '''52,585 [br] (37.95%)''' || '''+ 26,972 [br] (△19.47)''' || '''139,932 [br] (69.39%)'''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매탄1동''' || {{{#4169E1 53.98%}}} || '''40.77%''' || {{{#696969 '''△13.21'''}}} || 66.49 || || '''매탄2동''' || {{{#004EA2 55.05%}}} || 39.37% || △15.68 || 63.72 || || '''매탄3동'''[*A ] || {{{#004EA2 56.84%}}} || 38.11% || △18.74 || 66.06 || || '''매탄4동''' || {{{#004EA2 55.92%}}} || 38.37% || △17.55 || {{{#696969 '''59.75'''}}} || || '''원천동'''[*B ] || {{{#004EA2 56.57%}}} || 39.34% || △17.23 || 62.80 || || '''영통1동''' || {{{#004EA2 '''61.72%'''}}} || {{{#696969 33.95%}}} || '''△27.77''' || 70.13 || || '''광교1동''' || {{{#004EA2 56.00%}}} || 40.07% || △15.93 || '''72.17''' || || '''광교2동'''[*D ] || {{{#004EA2 55.95%}}} || 40.17% || △15.78 || 70.77 || || '''후보''' || [[박광온|{{{#004EA2 '''박광온'''}}}]] || [[홍종기|{{{#EF426F 홍종기}}}]]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8.08%}}} || 40.85% || △7.23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2.67%}}} || 31.95% || △30.72 || || || '''재외투표''' || {{{#004EA2 69.52%}}} || 28.09% || △41.43 || || }}}}}}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수원시 무)'''}}}[*a]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진표(정치인)|{{{#FFFFFF '''김진표'''}}}]] || {{{#FFFFFF 박재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35,224 [br] (58.37%)'''}}} || '''20,977 [br] (34.76%)''' || '''+ 14,247 [br] (△23.61)''' || '''60,983 [br] (69.19%)'''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영통2동''' || {{{#004EA2 '''60.70%'''}}} || {{{#696969 31.64%}}} || '''△29.07''' || 70.03 || || '''영통3동'''[*C ] || {{{#004EA2 55.68%}}} || 37.25% || △18.43 || 67.85 || || '''망포1동''' || {{{#004EA2 56.81%}}} || 36.61% || △20.20 || 66.82 || || '''망포2동''' || {{{#004EA2 60.35%}}} || 33.51% || △26.84 || '''72.32''' || }}}}}} || ||<-8> {{{#FFFFFF '''비례대표 선거'''[*a [[게리맨더링]]으로 인하여 다른 지역과 선거구가 같이 묶인 관계로, 해당 지역 내에서의 표만 계산함]}}} || || '''정당'''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FFFFFF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br] (득표율)''' || '''55,471 [br] (28.55%)''' || {{{#FFFFFF '''67,676 [br] (34.83%)'''}}} || '''22,633 [br] (11.65%)''' || '''18,802 [br] (9.67%)''' || '''13,333 [br] (6.86%)''' || '''- 12,205 [br] (▼6.28)''' || '''200,632 [br] (69.31%)'''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매탄1동''' || {{{#EF426F '''33.36%'''}}} || {{{#696969 32.56%}}} || 10.59% || 7.19% || 5.45% || '''△0.81''' || 66.49 || || '''매탄2동''' || 32.60% || {{{#006CB7 34.30%}}} || 8.87% || 7.20% || 5.87% || ▼1.70 || 63.70 || || '''매탄3동'''[*A ] || 29.09% || {{{#006CB7 35.30%}}} || 11.66% || 8.72% || 6.22% || ▼6.21 || 66.06 || || '''매탄4동''' || 30.77% || {{{#006CB7 35.12%}}} || 10.60% || 7.17% || 5.33% || ▼4.35 || {{{#696969 '''59.75'''}}} || || '''원천동'''[*B ] || 30.47% || {{{#006CB7 33.52%}}} || 10.38% || 10.58% || 6.57% || ▼3.05 || 62.80 || || '''영통1동''' || 26.42% || {{{#006CB7 36.56%}}} || 11.41% || 9.68% || 7.47% || ▼10.14 || 70.12 || || '''영통2동''' || {{{#696969 23.42%}}} || {{{#006CB7 '''37.66%'''}}} || 13.91% || 10.69% || 6.83% || {{{#696969 '''▼14.24'''}}} || 70.03 || || '''영통3동'''[*C ] || 29.40% || {{{#006CB7 33.91%}}} || 12.52% || 9.67% || 7.02% || ▼4.51 || 67.87 || || '''망포1동''' || 28.37% || {{{#006CB7 34.91%}}} || 13.05% || 9.96% || 6.22% || ▼6.54 || 66.83 || || '''망포2동''' || 26.46% || {{{#006CB7 37.45%}}} || 13.09% || 9.41% || 6.74% || ▼10.98 || '''72.31''' || || '''광교1동''' || 29.47% || {{{#006CB7 32.75%}}} || 11.18% || 11.95% || 7.79% || ▼3.29 || 72.17 || || '''광교2동'''[*D ] || 29.24% || {{{#006CB7 33.73%}}} || 10.71% || 10.39% || 7.42% || ▼4.48 || 70.78 || || '''정당''' || [[미래한국당|{{{#EF426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006CB7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FFCC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EA5504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003E98 열린민주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EF426F 30.18%}}} || 25.67% || 4.50% || 12.16% || 6.30% || △4.50 || || || '''관외사전투표''' || 25.53% || {{{#006CB7 35.85%}}} || 12.13% || 8.50% || 7.97% || ▼10.32 || || || '''재외투표''' || 23.67% || {{{#006CB7 29.95%}}} || 14.00% || 4.34% || 20.28% || ▼6.28 ||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원시 정, version=302)][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원시 갑, version=114)][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통구, version=565)][[분류:경기도의 정치]][[분류:영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