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B944 '영혼의 줄리에타'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외국어 영화상'''}}} || || ''' 제22회[br]([[1965년]])''' || {{{+1 → }}} || '''제23회[br]([[1966년]])''' || {{{+1 → }}} || '''제24회[br]([[1967년]])''' || || 이탈리아식 결혼 [br]([[이탈리아]]) [br] 살라 샤바티 [br]([[이스라엘]]) || {{{+1 → }}} || '''영혼의 줄리에타 [br]([[이탈리아]])''' || {{{+1 → }}} || [[남과 여(1966)|남과 여]] [br]([[프랑스]]) || ||<-5> ||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 ---- ||<-2>
{{{#00B944 '''{{{+1 영혼의 줄리에타}}}''' (1965)[br]Giulietta degli spirit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5 영혼의 줄리에타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코미디]], [[드라마]], [[판타지]] || || '''감독''' ||[[페데리코 펠리니]] || || '''각본''' ||페데리코 펠리니, 툴리오 피넬리, 엔니오 플라이아노, 브루넬로 론디 || || '''원안''' ||페데리코 펠리니, 툴리오 피넬리 || || '''제작''' ||안젤로 리졸리, 클레멘테 프라카시, 헨리 도이치마이스터 || || '''출연''' ||[[줄리에타 마시나]], 산드라 밀로, 마리오 피수, 발렌티나 코르테세 ,,외,, || || '''촬영''' ||지아니 디 베난조 || || '''편집''' ||루게로 마스트로이아니 || || '''미술''' ||<|2>피에로 게라르디 || || '''의상''' || || '''음악''' ||[[니노 로타]] || || '''제작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Federiz, Francoriz Production || || '''배급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Cineriz[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Inter France || || '''개봉일'''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 1965년 8월 25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1965년 10월 22일[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1965년 10월 28일 || || '''화면비''' ||1.85 : 1 || || '''상영 시간''' ||2시간 24분 ,,(이탈리아 개봉판),,[br]2시간 17분 ||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상영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 및 공동 각본, [[줄리에타 마시나]], 산드라 밀로, 마리오 피수, 발렌티나 코르테세 출연의 1965년작 판타지 코미디 영화. 펠리니 감독의 첫 컬러 영화로[* 정확히는 첫 '장편' 컬러 영화로 [[옴니버스 영화]] 보카치오 70 속 단편 '안토니오 박사의 유혹'에서 한번 컬러를 사용한 적은 있다.], 원색적이고 화려한 색감으로 현실과 꿈,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환상적인 화면을 보여주는 등 주인공의 내면 의식을 섬세하게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으며 골든 글로브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였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N0eS2LEd_s)]}}}|| || {{{#00B944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줄리에타는 잘 생기고 매력적인 남편과 함께 해변가에 있는 아름다운 집에서 살고 있다. > 겉으로는 남부러울 것 없어 보이지만, 사실 그녀는 가장 가까운 가족으로부터도 외면당하는 처지이다. > 화려한 외모를 자랑하는 그녀의 어머니와 두 언니는 줄리에타의 소박함과 세상 물정 모르는 순진함을 조롱의 대상으로 삼으며 노골적으로 그녀를 무시한다. > 남편 또한 줄리에타를 위하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실제로는 성적으로나 감성적으로 그녀에게 무관심한데... == 등장인물 == * [[줄리에타 마시나]] - 줄리에타 볼드리니 역 * 산드라 밀로 - 수지 / 아이리스 / 화니 역 * 마리오 피수 - 조르조 볼드리니 역 * 발렌티나 코르테세 - 발렌티나 역 * 발레스카 거트 - 피즈마 역 * 호세 루이스 드 빌라롱가 - 호세 역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juliet-of-the-spirits, 메타크리틱_critic=84, 메타크리틱_user=7.3, 로튼토마토=juliet_of_the_spirits, 로튼토마토_tomato=79, 로튼토마토_popcorn=85, IMDb=tt0059229, IMDb_user=7.5, 레터박스=juliet-of-the-spirits, 레터박스_user=3.8, 알로시네=107609, 알로시네_presse=4.0, 알로시네_spectateurs=3.5,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 Filmarks=, Filmarks_user=, ## 엠타임=, 엠타임_user=, ## 도우반=, 도우반_user=,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왓챠=mYdEKVW, 왓챠_user=3.5, ## 키노라이츠=59099,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 다음영화=, 다음영화_user=, ## CGV=, CGV_egg=,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MRQE=giulietta-degli-spiriti-m100031293, MRQE_user=75, ## 시네마스코어=, TMDB=19120-giulietta-degli-spiriti, TMDB_user=73, 무비파일럿=julia-und-die-geister, 무비파일럿_user=7.0, RogeEbertcom=great-movie-juliet-of-the-spirits-1965, RogeEbertcom_user=4.0,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라프텔=, 라프텔_user=,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개봉 당시에는 호평 받았던 전작들과 달리 과잉에 가까운 영화 속 화려한 색감과 그 초현실적 이미지 때문에 당시 비평가들은 “펠리니가 팝아트를 만들었다”며 당혹감 섞인 평가를 받았고, 흥행에도 실패해 펠리니는 《[[달콤한 인생]]》 제작 때부터 7여년을 함께 일해온 제작자 안젤로 리촐리와 결별하게 된다. 그래도 당시에도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고 [[아카데미상]]에서 미술상과 의상상 후보에 오르는 등 시각적 표현에 대한 호평 또한 받았고, 현재는 펠리니의 대표작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심령학과 구원론, 오컬트적인 [[미신]]에 관심이 많았던 펠리니 감독의 성향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 받기도 한다.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26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 제38회 아카데미 시상식 미술상-컬러 부문, 의상상-컬러 부문 (피에로 게라르디) 후보 * 제11회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여우주연상 ([[줄리에타 마시나]]) '''수상''' * 제7회 뉴욕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영화상 '''수상''' * 전미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영화상 '''수상''' * 제23회 [[골든글로브상]] 외국어영화상 '''수상''' == 기타 == * 첫 기획 때부터 주연이자 펠리니 감독의 아내인 [[줄리에타 마시나]]를 위해 만든 영화라고 하며, 극 중 이름과 영화의 제목도 그대로 줄리에타를 사용했다. * [[우디 앨런]] 감독이 느슨하게 줄거리의 큰 틀만 가져와 1990년작 '중년의 위기'로 리메이크 하기도 했다. [[분류:이탈리아의 코미디 영화]][[분류:이탈리아의 드라마 영화]][[분류:이탈리아의 판타지 영화]][[분류:프랑스의 코미디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프랑스의 판타지 영화]][[분류:1965년 영화]][[분류:페데리코 펠리니]][[분류:니노 로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