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티케팅)] [목차] == 개요 == 예매는 [[승차권]], 입장권 등의 각종 표를 미리 사는 것을 말한다. 일부는 [[예약]]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 상세 == 거의 대부분 예매라고 하지만, 예약이라고 쓰는 곳도 있다. 주로 운동 경기나 콘서트 등의 입장권, 버스, 기차 등의 승차권을 예약하는 경우 예약보다 예매라는 용어를 쓴다. == 예매할 수 있는 표의 종류 == === [[고속버스]], [[시외버스]] [[승차권]] === [[http://www.kobus.co.kr/web/main/index.jsp|코버스]], [[https://www.busterminal.or.kr/|터미널협회]], [[http://www.bustago.or.kr/newweb/kr/index.do|버스연합회(버스타고)]]에서 예매가 가능하다. 예매사이트별로 예매가 가능한 노선이 다르니 자기가 들어간 곳에 노선이 없다면 다른 사이트로 들어가보자. 그리고 모바일 앱도 있으며, 모바일 앱에서 예매할 시 터미널 내 발권기에서 다시 표를 교환할 필요 없이 모바일 앱 내에 승차권이 생성되어 그걸로 검표가 가능하다. === [[철도]] [[승차권]] === PC로는 [[http://www.letskorail.com/|코레일 승차권예매(레츠코레일)]]에서 예매가 가능하며, 홈티켓을 인쇄해서 가져가면 된다. 모바일로는 [[어플리케이션]] [[코레일톡]]을 통하여 예매가 가능하며, 앱 내에 모바일승차권이 생성된다. [[http://etk.srail.co.kr|SRT 승차권예매]]에서 예매가 가능하고, 모바일로는 [[어플리케이션]] [[SRT - 수서고속철도]]를 통해서 예매가 가능하다. [[명절 기차표 예매]]는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http://time.navyism.com/?host=www.letskorail.com|코레일 서버시간]]과 [[http://time.navyism.com/?host=etk.srail.co.kr|SRT 서버시간]]을 이용하여 예매하는 것이 유리하다. === [[여객선]] [[승선권]] === 연안여객선의 경우에는 대부분 [[http://island.haewoon.co.kr/|가보고 싶은 섬]]에서 예매가 가능하다. === [[항공권]] === 각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예매가 가능하다. 모바일 앱은 각 항공사 별로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해보는것이 좋다. 근데 요즘 웬만한 항공사들은 모바일 앱이 있는 경우가 많다. 처음이라 항공사에 대해 잘 모른다면 [[인터파크]] 항공과 같은 통합 사이트를 통해 예매할 수도 있다. 예매가 완료되면 [[여권]]과 항공권을 가지고 체크인 카운터 또는 무인 체크인기에 가서 탑승권을 발권하면 된다. === 영화표 === 각 영화관 홈페이지에서 예매가 가능하다. 모바일 앱도 당연히 된다. 홈페이지로 예매 시 무인발권기에서 예매번호를 입력하여 티켓으로 교환하고, 모바일 앱으로 예매 시 앱 내에 모바일티켓이 생성된다. === 공연 === 콘서트, 뮤지컬 등의 공연 예매권은 [[인터파크]] 등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예매가 가능하다. 일본 아이돌의 내한을 포함한 아이돌 콘서트의 경우 [[수강신청]] 못지 않게 서버가 터질 정도의 경쟁을 자랑한다. 뮤지컬의 경우 [[인터파크]], [[멜론티켓]], [[YES24|예스24]] 등 이외에도 [[쇼노트]]와 [[신시컴퍼니]]의 경우처럼 제작사별 고유 예매처나 [[샤롯데씨어터]], [[LG아트센터 서울]],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등 공연장 전용 예매처를 오픈한다. === 스포츠 경기 === 스포츠 경기의 경우에는 인터파크, 지마켓, 티켓링크 등의 대행업체에서 예매가 가능하다. 티켓링크의 경우 모바일 앱에서도 된다. 하지만 티켓 1장당 500원~1000원정도의 수수료가 발생하고 예매한 티켓은 현장발매기에서 발매하면 된다. K리그의 경우 연간회원권도 판매하니 자주보는 사람은 회원권을 사는 것도 괜찮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예약, version=15, paragraph=2)] [[분류:한자어]][[분류: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