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옌시 알몬테)] [목차] == 개요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우완 투수 [[옌시 알몬테]]의 선수 경력을 담은 문서. == [[콜로라도 로키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52BD911-A3B5-4D13-8226-438F71A13AB2.jpg|width=100%]]}}} || 2012년 드래프트에서 에인절스에게 지명받으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고, 2014년에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2루수였던 고든 베컴의 트레이드 대상으로 포함되며 화이트삭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이후 콜로라도 로키스의 [[토미 케인리]]와 트레이드되며 다시 한번 팀을 옮겼다. === 2018 시즌 === 6월 21일에 뉴욕 메츠를 상대로 1이닝 무실점 홀드를 기록하며 메이저리그에 데뷔, 이후 시즌 성적을 14경기 14⅔이닝 0승 0패 3홀드 ERA 1.84로 마무리하며 데뷔 시즌을 마무리했다. === 2019 시즌 === 전년도에 비해 제구에 다소 애를 먹는 모습을 보이면서[* 마이너리그 BB/9가 7.8] 7개의 피홈런을 허용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결국 34이닝 동안 5점대 ERA를 기록하면서 아쉬운 시즌을 보냈다. === 2020 시즌 === 시즌 초 전년도에 지적받았던 제구력과 피홈런에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좋은 출발을 하던 중 8월 10일 애리조나전에서 4피안타 3실점을 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고, 12일에도 애리조나를 상대로 3피안타를 맞으며 책임 주자를 모조리 허용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이후 어느정도 안정을 찾았고, 9월에는 한달간 2점대 ERA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로키스 불펜의 몇 안되는 믿을맨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24경기 27⅔이닝 3승 0패 4홀드 1세이브 ERA 2.93. === 2021 시즌 === 지난해 보여준 좋은 모습을 바탕으로 불펜에서 승리조 역할을 맡아줄 것으로 보이고, 시즌 첫 등판에서 다저스를 상대로 1이닝 무실점 홀드를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다음 두 경기에서는 4실점을 하며 평균자책점이 12점대까지 폭등했다. 이후 3경기에서는 무실점을 기록하며 평균자책점이 6점대로 내려왔으나 이후 대량실점하며 4월 한달간 ERA 12.46으로 극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에도 부진하면서 7월 초 현재까지도 10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커리어 로우 시즌을 보내고 있다. 지난 해에 개선된 모습을 보였던 제구와 피홈런이 원래대로 돌아간 수준을 넘어서 커리어 최악의 페이스를 기록하면서 시즌 성적에도 매우 큰 영향을 주는 중. 결국 시즌을 마치고 마이너로 권리가 이관되었고, 11월 6일에 논텐더로 방출되었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2022 시즌 === 시즌을 앞두고 다저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고, 5월 12일 콜업되었다. 이후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4연전 마지막 경기에서 무실점 피칭을 보여주며 팀의 9회말 대역전승에 기여했고, 5월 20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원정 3연전 첫 경기에서도 준수한 피칭을 보여주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9월 28일 부상 복귀전에서 8회말에 등판해 삼자범퇴로 막아내며 건강하게 돌아왔다. 하지만, [[2022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4차전에서는 [[김하성]]에게 1타점 2루타, [[후안 소토]]에게 동점타를 맞고 불을 지르며 팀이 역대급 업셋의 피해자가 되는 데 일조했다. === 2023 시즌 === 1월 13일, 연봉 조정을 피해 15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3월 30일 애리조나와의 개막전에서 9회초 마무리 투수로 나와 삼자범퇴로 막아내며 스타트를 좋게 끊었다. 그러나 나올 때마다 불을 질러대며 [[알렉스 베시아]], [[필 빅포드]]와 함께 다저스 불펜 구멍 3대장이 되어 팀에 심각한 민폐를 끼치고 있다. 4월 30일부터 팀이 상승세를 타자 귀신같이 폼이 올라오면서 무실점으로 반등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5월 15일 미네소타전에서는 8회초에 올라와 [[트레버 라낙]]에게 동점 3점 홈런을 얻어맞았다. 롤러코스터를 타기는 하지만 6월 15일부터는 현재까지 비자책으로 평균자책점을 4점대 후반까지 끌어내리며 확실하게 반등하고 있다. 8월 5일 샌디에이고전에서 8회말에 나와 어김없이 장작을 쌓아댔고 다음 투수 [[케일럽 퍼거슨]]이 불을 제대로 질러대며 3실점을 기록한 알몬테는 패전 투수가 되고 말았다. 시즌 후 11월 17일, 연봉 조정을 피해 19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 2024 시즌 ===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옌시 알몬테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8 ||<|4> [[콜로라도 로키스|COL]] || 14 || 0 || 0 || 0 || 3 || 14⅔ || 1.84 || 15 || 1 || 4 || 0 || 14 || 1.295 || 262 || 0.2 || 0.4 || || 2019 || 28 || 0 || 1 || 0 || 1 || 34 || 5.56 || 39 || 7 || 14 || 1 || 29 || 1.559 || 93 || -0.1 || 0.0 || || 2020 || 24 || 3 || 0 || 1 || 4 || 27⅔ || 2.93 || 25 || 2 || 6 || 3 || 23 || 1.120 || 178 || 0.5 || 0.6 || || 2021 || 48 || 1 || 3 || 0 || 4 || 47⅔ || 7.55 || 47 || 9 || 29 || 4 || 47 || 1.594 || 64 || -0.5 || -1.1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33 || 0 || 0 || 1 || 9 || 35⅓ || 1.02 || 18 || 2 || 10 || 4 || 33 || 0.792 || 414 || 0.5 || 1.5 || || 2023 || 49 || 3 || 2 || 0 || 10 || 48 || 5.06 || 43 || 6 || 24 || 4 || 49 || 1.396 || 86 || 0.1 || -0.5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6시즌)''' || 196 || 7 || 6 || 2 || 31 || 207⅓ || 4.51 || 187 || 27 || 87 || 16 || 195 || 1.322 || 104 || 0.8 || 0.9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옌시 알몬테, version=49)] [[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