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괄 == Yellow road, [[로얄로드]]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프로게이머]]가 처음으로 진출한 메이저 대회에서 [[2등|준우승]]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연히 [[로얄로드]]와 마찬가지로 옐로로드 또한 양대리그를 따로 친다. [[스타리그]] [[로얄로드|로얄로더]]와 [[MSL]] 로얄로더가 따로 있지만 둘을 합쳐서 그냥 로얄로더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 로얄로드와 마찬가지로, 이것을 달성한 [[프로게이머]]는 '''옐로로더'''라고 불린다. 콩열로더라고도 한다. 단어의 어원(?)은 당연히 스타판의 영원한 2인자, [[콩라인]]의 유일무이한 수장 [[홍진호]]의 아이디('''[NC]_Yellow''')이자 그를 상징하는 색깔인 '''Yellow'''.[* 홍진호의 별명 중 하나인 '''황'''진호 역시도 그의 아이디에서 따온 것이다. 정확히는 캐치마인드에서 그의 이름을 아무도 못 맞추고 임요환(...) 등의 이름을 연발하다 때려 맞춘게 '''황'''진호여서 그대로 황신이라는 별명이 생겨버렸다.] 이전부터 존재했었지만[* 개념 자체는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등장 이전에도 있었는데 옐로로더가 [[로얄로드|로얄로더]] 이상으로 희귀한 데다가 우승자도 아니고 준우승자이기 때문에 존재감이 거의 없었다. [[강민]]의 "양대리그에서 로얄로드와 옐로로드를 모두 달성"이라는 독특한 커리어를 설명할 때 가끔 언급되는 정도.] 일반적으로는 [[온게임넷]]이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을 진 로얄로더 후보자로 포장하고 있었는데, 결국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이 진 옐로로더가 되면서(…) 주로 쓰이기 시작했다. 사실 좀 지나칠 정도로 설레발을 친 덕에 비아냥거리는 식으로 이런 말이 튀어나왔다. [[MBC GAME]]이 폐국 전에 최종적으로 1~4차 KPGA 투어를 MSL의 역사에 포함했기 때문에 이것까지 따지면 [[홍진호]]는 [[MSL]] 옐로로더로 분류된다. 그리고 덤으로 [[임요환]]은 [[스타크래프트 1]]에서 유일무이한 '''양대 [[로얄로드|로얄로더]]'''가 된다.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가 같은 상황에 놓여있다. 커리어 내내 하나 해보기도 힘든 로얄로드와 옐로로드를 모두 걸어본 [[프로게이머]]도 있다. [[강민]]이 바로 그 주인공. [[Stout MSL]] 우승,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준우승으로 MSL 로얄로더, 스타리그 옐로로더를 달성했으며, 스타크래프트 1의 개인리그가 없어졌기 때문에 스타크래프트 1 종목에서 이 진기록을 달성한 프로게이머는 [[강민]]이 유일하게 되었다. 강민이 단일 종목으로 로얄로드와 옐로로드 모두 달성했다면 [[박성준]]과 [[이제동]]은 양 종목에서 달성한 기록이 있다. 두 선수 모두 스타1에서는 로얄로드를[* 둘 다 스타리그 로열로더.] 스타2에서는 옐로로드를 달성했다. 옐로로드는 조롱의 뜻으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며 '''[[2등]]도 대단한 거다'''. --???: 야 2등도 잘한거야-- 전혀 주목받지 못하는 무명으로 데뷔하여 커리어 내내 개인리그 16강 진출도 못해보고 은퇴하는 프로게이머들도 많다는 것을 생각하면, 옐로로더 정도 되면 충분히 주목받는 화려한 데뷔이며 이후로 자기만 잘 하면 대형신인 소리 들으면서 스타덤에 오를 수 있다. 실제로 옐로로더로 모든 커리어를 시작[* 강민이나 홍진호 처럼 옐로로더이기는 하나 그 이전에 벌써 다른 커리어를 쌓아올린 선수들 말고 진짜로 옐로로더가 커리어의 시작점인 선수들.]해서 명실상부 S급 선수로 성장한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육룡(스타크래프트)|육룡]]의 한 자리를 차지한 [[김구현]], 현역 공식전 기준 [[프저전]] 승률 2위를 기록한 [[진영화]] 등의 사례도 분명히 존재한다. == 옐로로더 목록[* [[로얄로드|로얄로더]] 목록과 형평성을 맞추는 의미에서 양쪽 모두 1회 대회 준우승자도 일단은 기재.] == === [[온게임넷 스타리그]] ===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 * (1회 대회 준우승자) [[국기봉]] :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저그, vs [[최진우]] 2:3 패) * [[강도경]] :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저그, vs [[기욤 패트리]] 2:3 패)[* 별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강도경은 엄연히 옐로로더 출신에 2회의 준우승을([[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기록한 [[콩라인]] 정회원이다. 다만, 콩라인 하면 '''[[홍진호|이분]]'''이 유독 떠오르기 십상이니 이제는 콩라인의 수장 하면 단연 2위의 떠오르는 인터넷의 밈이다. ] * [[장진남]] :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저그, vs [[임요환]] 0:3 패) * [[강민]] :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프로토스, vs [[박용욱]] 1:3 패)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테란, vs [[송병구]] 2:3 패) * [[진영화]] : [[EVER 스타리그 2009]](프로토스, vs [[이영호]] 1:3 패)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 [[박수호]] :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저그, vs [[정윤종]] 1:4 패) ~~박수호 : [[감동의 골마|감동의 로열로더]] 달성~~ 스타크래프트 2로 전환하여 열린 첫 스타리그인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에서 로얄로드 후보가 많이 등장했는데, 해당 선수들 중에서 준우승자가 나올 경우 당연히 옐로로더로 ~~팬들에게~~ 인정된다. 옐로로드에 계승자가 나온 것도 3년만.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사실 상의 마지막 스타리그인 [[2013 WCS Korea Season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끝으로 대회가 열리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의 옐로로더는 탄생하지 않는다. === [[MBC GAME 스타리그]] === * (1회 대회 준우승자) [[홍진호]] : [[2002 KPGA 투어 1차 리그]](저그, vs [[임요환]], 1:3 패)[* 참고로 무려 '''[[전승준]]'''이다!] * [[김구현]] : [[곰TV MSL 시즌4]](프로토스, vs [[이제동]] 1:3 패) === [[GSL]] === 1회 대회 준우승자는 GSL 통산으로만 계산한다. ==== GSL 통산 ==== * (1회 대회 준우승자)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 [[TG삼보-인텔 GSL 오픈 시즌 1]](테란, vs [[김원기(프로게이머)|김원기]], 1:4 패배) *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2]](테란, vs [[임재덕]] 3:4 패)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 [[박성준(1986)|박성준]] :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저그, vs [[장민철]] 1:4 패) * [[박현우(프로게이머)|박현우]] : [[2012 HOT6 GSL Season 2]](프로토스, vs [[정종현]] 3:4 패) * [[고석현]] : [[2012 HOT6 GSL Season 5]](저그, vs [[권태훈]] 3:4 패) 참고로 GSL은 'GSL 통산'과 '코드 S'를 분리해서 말하곤 한다. 이는 오픈 시즌을 합치느냐, 안 합치느냐에 따라 다른데, 이정훈은 'GSL 통산 옐로로더'이며, 박성준은 '코드 S' 옐로로더이다. 실제로 박현우가 2012 HOT6 GSL Season 2 결승전에 올랐을 때도 해설진들은 '첫 코드 S 로얄로더가 탄생할 수도 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박현우는 GSL 오픈 시즌에 출전한 이후 2012 HOT6 GSL Season 2까지 한번도 코드 S에 올라온 적이 없었다.]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로얄로더의 도전에 모두 성공했기 때문에 옐로로더가 없다.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 [[Starcraft 2 StarLeague|SSL]] === * (1회 대회 준우승자) [[조중혁]] : [[NAVER Starcraft 2 StarLeague 2015 Season 1]] (테란, vs [[조성주(프로게이머)|조성주]] 1:4 패)[* 참고로 그 다음 대회도 준우승하여 옐로로드 이후 2연준을 달성, 콩라인에 가입하게 된다.] === [[세계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리그 === ==== [[세계 챔피언십 시리즈]] 북미·유럽 ==== * (1회 대회 준우승자) [[김동현(스타크래프트 2)|김동현]] : [[2013 WCS America Season 1]] (프로토스, vs [[송현덕]] 2:4 패) * [[이제동]] : [[2013 WCS America Season 2]] (테란,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0:4 패) * [[한지원(프로게이머)|한지원]] : [[2013 WCS America Season 3]] (테란,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1:4 패) * (1회 대회 준우승자) [[일리예스 사토우리]] : [[2013 WCS Europe Season 1]] (테란, vs [[정종현]] 1:4 패) * [[장민철]] : [[2013 WCS Europe Season 2]] (프로토스, [[김경덕]] 3:4 패) ==== [[세계 챔피언십 시리즈]] 통합 리그 ==== * (1회 대회 준우승자) [[신동원]] : [[2015 WCS Season 1]] (테란, vs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3:4 패) === [[오버워치]] === * [[광동 프릭스/오버워치|Afreeca Freecs]] (당시 Afreeca Freecs Blue) : 오버워치 APEX 시즌 1 준우승팀 * [[강준우(프로게이머)|강준우]] : 오버워치 APEX 시즌 3 개인 옐로로더 * [[최현우(1997)|최현우]] : 오버워치 APEX 시즌 4 개인 옐로로더 * [[O2 Blast|O2 Ardeont]] :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준우승팀 * [[필라델피아 퓨전]] :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준우승팀 * [[밴쿠버 타이탄즈]] : 오버워치 리그 2019 시즌 준우승팀 * [[임현우]], [[김영완(프로게이머)|김영완]] : 오버워치 리그 2020 시즌 개인 옐로로더 === [[리그 오브 레전드]] ===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 [[CJ 엔투스 프로스트]] (당시 MiG Frost) :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LCK 1회 대회 준우승팀''' * [[ROX Tigers/2017년 이전|GE 타이거즈]]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단, 팀 단위로만 옐로로드이고 선수들은 그 이전부터 LCK에서 뛰었던 케이스이다. * [[오현식]]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 [[해성민]] -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 [[문건영]] -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 [[박우태]], [[이솔민]], [[손호경]] -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 * [[Griffin]] - '''LCK 최초의 소속 선수 전원 옐로로더''', [[최성원(프로게이머)|최성원]], [[이승용]], [[신형섭]], [[정지훈(2001)|정지훈]], [[박도현(2000)|박도현]], [[손시우]],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이 멤버들 중에서 래더를 제외한 5인은 2019시즌 스프링과 서머에서도 준우승하며 3연속 준우승을 달성했다. * [[서진혁]], [[정상현(프로게이머)|정상현]] -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 [[최현준(프로게이머)|최현준]] -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 [[김홍조]], [[노태윤]] - [[2021 LoL Champions Korea Spring]] * [[Winterfox/리그 오브 레전드|CLG.EU]] 또한 2012 서머 시즌에 LCK 첫 참가, 준우승이라는 조건을 만족했으나 이후 LCK에 참여하지 않았고, 2013시즌 부터는 외국 국적의 팀이 LCK에 참여하는 일도 없어지면서 진정한 의미로서의 옐로로더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월드 챔피언십]] ==== * [[against All authority/리그 오브 레전드|against All authority]]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 '''1회 대회 준우승팀''' * [[CJ 엔투스 프로스트|Azubu Frost]]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2 월드 챔피언십]] * [[Royal Club]]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 * [[ROX Tigers/2017년 이전|KOO Tigers]]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 [[Weibo Gaming FAW Audi|Suning]] -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팀 단위는 아니지만 개인 옐로로더인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최인석(프로게이머)|최인석]]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 [[이성진(프로게이머)|이성진]], [[강찬용]], [[이민호(프로게이머)|이민호]], [[박재혁(1998)|박재혁]], [[조용인]] -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 [[가브리엘 라우]], [[지드라베츠 갈라보프]] -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 [[함푸스 아브라함손]] -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 [[최우제]] -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 [[웨이보한]] -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 [[카트라이더 리그]] === * [[조현준]] - [[CokePlay 카트라이더 1차 리그]] '''1회 대회 준우승자''' * [[정선호(프로게이머)|정선호]] - [[SK1682 카트라이더 5차 리그]] * [[신동이]], 홍석현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 김선우, 심기훈 -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배틀 로얄]] * [[박도현(2001)|박도현]], [[배성빈]] - [[2019 KT 5G 멀티뷰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특히 박도현의 경우 개인전, 팀전 모두 준우승을 하면서 '''카트라이더 리그 유일 양대 리그 옐로로더'''가 되었다. 배성빈의 경우 팀전 한정 옐로로드. === 기타 === * [[Los Grandes/리그 오브 레전드|Flamengo eSports]] - CBLoL의 팀. 이쪽은 팀 자체는 옐로로더가 맞지만 소속 선수들 전원이 옐로로더는 아니다. 준우승 당시 소속 선수들[* Jisu, Shrimp, Goku, brTT, esA] 중 [[박진철(프로게이머)|Jisu]]와 Shrimp만 [[CBLOL]] 지역 한정으로 로얄로더 조건을 충족했다. * [[베이거스 골든 나이츠]] - NHL팀. 2017년 리그 확장을 하면서 새롭게 창단된 팀으로 그해 디비전 우승 및 스탠리컵 파이널에 진출한다. 아쉽게도 워싱턴 캐피톨스에 패한다. 실제 스포츠에서 흔치 않은 옐로로더 사례. [* 라스베이거스는 17년 이전까지 4대 스포츠 팀이 하나도 없었던 곳이라 골든 나이츠가 우승했다면 '도시 최초의 팀의 창단 첫해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쓸 수 있었다.] ==== [[더 지니어스]] ==== * [[김경란]] : [[더 지니어스:게임의 법칙]] - 1회대회 준우승자 * [[임요환]] : [[더 지니어스:룰 브레이커]] - 2회대회 준우승자 * [[오현민/더 지니어스|오현민]] : [[더 지니어스:블랙가넷]] - 3회대회 준우승자 ##김경훈이 있으니 모두라는 말은 뺐습니다 첫번째 대회를 인정하는지의 여부는 각자의 판단에 맡기게 하기 위해서 임요환을 초대옐로로더라고 쓴부분도 수정했습니다. 여기 명단에 나온것만해도 첫번째 출전이라는건 알수있을테니까요. ==== [[BMS OF FIGHTERS]] ==== * Freezer : [[BOFU2017]] - [[Berry Go!!]]로 총점 준우승 달성 ==== [[모에 토너먼트]] ==== ===== [[사이모에 토너먼트]] ===== * [[카스가 아유무]] : 2002 사이모에 토너먼트 - '''1회 대회 준우승자''' * [[나쟈 애플필드]] : 2004 사이모에 토너먼트 * [[소우세이세키]] : 2005 사이모에 토너먼트 * [[산젠인 나기]] : 2007 사이모에 토너먼트 * [[히라사와 유이]] : 2009 사이모에 토너먼트 * [[사쿠라 쿄코]] : 2011 사이모에 토너먼트 * [[마츠미 쿠로]] : 2012 사이모에 토너먼트 ===== [[최고모에토너먼트]] ===== * [[사와치카 에리]] : 2006 최고모에토너먼트 남성향(여성부) - '''1회 대회 준우승자''' * [[히지카타 토시로]] : 2007 최고모에토너먼트 여성향(남성부) - '''남성부 초대 준우승자''' * [[타치바나 카나데]] : 2010 최고모에토너먼트 남성향(여성부) * [[토와 에리오]] : 2011 최고모에토너먼트 남성향(여성부) ===== [[국제 사이모에 리그]] ===== * 여성부 * [[나가토 유키]] : 2008 국제 사이모에 리그 - '''1회 대회 준우승자''' * [[에밀리아(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에밀리아]] : 2017 국제 사이모에 리그 * [[칸나 카무이]] : 2018 국제 사이모에 리그 * 남성부 * [[키노시타 히데요시]] : 2011 국제 사이모에 리그 - '''남성부 초대 준우승자''' * [[이츠카 시도]] : 2014 국제 사이모에 리그 * [[아즈사가와 사쿠타]] : 2019 국제 사이모에 리그 =====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단, 2016 준우승의 키스샷은 오시노 시노부와 동일 인물 취급한다.] ===== * [[시이나 마시로]] : 2013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 '''1회 대회 준우승자''' * [[칸나 카무이]] : 2017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 최초의 모토 '''트리플 옐로로더'''[* 17년 1분기 [[앤모토]] 최초 출전 때 [[메구밍]]에게 준우승한 걸 포함하여, [[앤모토]] 2017 1분기 - [[애캐토 2017]] - [[국사모]] 2018의 3회.] * [[카스미가오카 우타하]] : 2018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 [[니시키기 치사토]] : 2022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 [[Bilibili Moe]] ===== * 여성부 * [[토오사카 린]] : Bilibili Moe 2015 - '''1회 대회 준우승자''' * [[이즈미 사기리]] : Bilibili Moe 2017 * [[네로 클라우디우스(Fate 시리즈)|네로 클라우디우스]] : Bilibili Moe 2018 * 남성부 초대 준우승자인 [[살생님]]을 옐로로더로 보지 않는다면, 옐로로더는 존재하지 않는다. ===== [[Best Girl Contest]] ===== 이 대회에서는 특이하게, 19시즌까지 [[로얄로더]] 뿐만 아니라 '''옐로로더도 없었다.''' * [[현랑 호로]] : Best Girl Contest 2014 - '''1회 대회 준우승자''' * [[사쿠라지마 마이]] : Best Girl Contest 2020 - 모토 최초의 '''[[아즈사가와 사쿠타|커플]] 옐로로더''' * [[블라디레나 밀리제]] : Best Girl Contest 2022 * [[키타가와 마린]] : Best Girl Contest 2023 ==== 가상의 경우 ==== * [[신죠 나오키]] : [[사이버 포뮬러]]. 2015년도 대회에서 41포인트를 차지하여 그해 2위가 된다. [[분류:e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