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하목]] ||<-2> '''{{{#FFF {{{+1 옛새우}}}}}}''' || ||<-2> [[파일:Brevisomabathynella_uramurdahensis.jpg|width=100%]][br]''Brevisomabathynella uramurdahensis'' || || [[학명|'''{{{#000 학명}}}''']] || '''Bathynellacea''' Chappuis, 1915 || ||<-2> '''{{{#FFF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s-2.2|'''{{{#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s-2.3|'''{{{#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 || [[생물 분류 단계#s-2.4|'''{{{#000 강}}}''']] ||[[연갑강]](Malacostraca) || || [[생물 분류 단계#s-2.5|'''{{{#000 목}}}''']] ||'''고하목'''(Bathynellacea) || [목차] == 개요 == 원하상목 고하목에 속하는 [[연갑류]]의 총칭. [[지하수]] 사이를 살아가며 진연갑아강에 속하는 생물 중 가장 원시적인 구조를 가졌다. == 상세 == 크기는 3.4mm 이하로 매우 작다. 지하 생활에 적응하여 색소가 없어 희거나 투명하다. 눈은 없거나 거의 발달하지 않아 시력이 없다. 머리에는 한 쌍 이상의 [[더듬이]]가 있고 종에 다라 구기가 매우 다양하며 각 종마다 다른 먹이에 특화된 것으로 보인다. 가슴마디는 8개로 각 마디마다 부속지가 있고 배마디는 6개이며 끝에는 한 쌍 혹은 두 쌍의 꼬리다리가 있을 수 있다. 다리는 짧고 작으며, 특징적인 갑각이 없고 체절의 두께가 일정해서 [[새우]]라기 보단 다리 없는 [[지네]]처럼 보인다. 지표에서 지하수와 함께 새어든 유기물, 혹은 수생 [[미생물]]을 섭식하며 [[모래]] 알갱이 등에 붙은 먹이를 긁어 먹는 종도 있다. 수영은 잘 못하지만 수중의 침전물 사이를 이동할 때는 매우 민첩하다. 남극과 몇몇 섬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되는데, 지하수를 따라서만 생활하므로 과거 [[판 구조론|대륙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생물학적 증거로 이용된다. 2016년 경 옛새우 14개 종이 국내에서 새로 발견되어 기사화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