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HRI 어워드 올해의 말)] ||<-3> '''2023 아일랜드 올해의 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uguste_Rodin_Epsom-Derby.jpg|width=100%]]}}} || ||<-2> 이름 || Auguste Rodin || ||<-2> 출생 || [[2020년]] [[1월 26일]] ([age(2020-01-0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흑갈색 (Brown) || ||<-2> 아비 ||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 || ||<-2> 어미 || [[로도덴드론(말)|로도덴드론]](Rhododendron) || ||<-2> 외조부 || [[갈릴레오(말)|갈릴레오]](Galileo) || ||<-2> 생산자 || 쿨모어 스터드 || ||<-2> 마주 || 마이클 테이버 & 데릭 스미스 & 수 매그너, Westerberg || ||<-2> 조교사 || 에이든 오브라이언 (아일랜드) || ||<-2> 성적 || 10전 7승 [7-1-0-2][br]5전 4승[*IRE][br]4전 2승[*GB][br]1전 1승[*USA] || ||<|2> 주요[br]우승 || G1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버텀 퓨처리티 트로피(2022)[br][[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더비 스테이크스]](2023)'''[br] '''아이리시 더비(2023)'''[br]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2023)'''[br]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터프(2023) || || G2 || 챔피언스 주버나일 스테이크스 (2022) || ||<-2> 주요 수상 || 2023년 아일랜드 올해의 말 || ||<-2> 상세 정보 || [[https://www.hri.ie/statistics/horse/data/?hid=215252|[[파일:HRI-Dual-Logo.svg|width=85]]]]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일랜드의 경주마.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딥 임팩트(말)|딥 임팩트]][br]{{{-2 ディープインパクト[br]2002}}}'''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2>'''[[선데이 사일런스]][br]{{{-2 Sunday Silence[br]198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헤일로(말)|헤일로]][br]{{{-2 Halo}}}'''|| ||위싱 웰[br]{{{-2 Wishing Well}}}|| ||<|2>윈드 인 허 헤어[br]{{{-2 Wind in Her Hair[br]1991}}}||알자오[br]{{{-2 Alzao}}}|| ||버클리어[br]{{{-2 Burghclere}}}|| ||<|4>[[로도덴드론(말)|로도덴드론]][br]{{{-2 Rhododendron[br]2014}}}||<|2>'''[[갈릴레오(말)|갈릴레오]][br]{{{-2 Galileo[br]1998}}}'''||'''[[새들러스 웰즈]][br]{{{-2 Sadler's Wells}}}'''|| ||'''[[어번 시]][br]{{{-2 Urban Sea}}}'''|| ||<|2>하프웨이 투 헤븐[br]{{{-2 Halfway to Heaven[br]2005}}}||피보탈[br]{{{-2 Pivotal}}}|| ||카산드라 고[br]{{{-2 Cassandra Go}}}|| ||<-3>* [[노던 댄서]](Northern Dancer) 5×4 9.38%|| 단 12두 존재하는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의 마지막 세대 중 한 마리다. == 커리어 == === 2세 === || [youtube(OiGO7cBOpF4)] || || 2022년 챔피언스 주버나일 스테이크스 || || [youtube(rKtzXmhzBH0)] || || 2022년 버텀 퓨처리티 트로피 || 첫 미승리전에선 2착에 그쳤지만, 그 후 미승리전, G2, G1을 순서대로 가볍게 승리하며 유럽 클래식 전선의 유력 주자로 주목받게 되었다. === 3세 === ==== 2,000기니 스테이크스 ==== || [youtube(Y0cWSOYxkeQ)] || 2,000기니에 1번 인기로 출주했지만 사실 이때 오귀스트 로댕은 [[찰스 3세]]의 대관식으로 인해 보안이 강화되어 수송 일정이 급히 수정된 여파로 컨디션이 완전히 망가져 있었다.[* 오브라이언 조교사의 발언.] 거기다 늦은 출발에 다른 말들의 견제로 인한 마군사까지 겹치는 악재로 또 다른 유력마였던 리틀 빅 베어[* 경기 후 부상을 입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지금까지 뛰어온 경기가 모두 단거리 경기였던 점을 볼때 마일은 거리 적성이 맞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와 함께 각각 12착, 14착으로 침몰했다. 조교사 에이든 오브라이언은 경기 후 [[억까|모든 상황이 실망스럽고 좋지 않게 돌아갔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또 2,000 기니 이전에 영국 클래식 삼관에 도전한다고 밝힌 바 있었지만 2000기니 패배로 클래식 삼관 로테이션을 뒤집고 더비 이후 노선을 바꾸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 [[더비 스테이크스]] ==== || [youtube(GwYYXiDydE0)] || 이후 클래식 2차전인 더비에선 2000기니의 좋지 않은 성적과 또다른 유력마인 어레스트의 기수 [[프랭키 데토리]]의 활약[* 더비 주간에 열리는 거의 모든 중상에서 손쉽게 1착을 달성하고 있었다.]으로 2번 인기로 떨어졌으나 우려와는 달리 [[https://coolmore.cld.bz/Coolmore-Ireland-Brochure-2024/23/|엄청난 말각]]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서 딥 임팩트 산구는 2011~2023년, 13세대 전 세대가 클래식 G1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경기 이후 조교사 에이든 오브라이언은 오귀스트 로댕이 어릴 때부터 여러 측정에서 상위를 기록한 점을 회상하며 로댕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침과 동시에 로댕의 적정 거리는 1.25~1.5 마일[* 약 2000~2400m]이라고 발언하며 추후 로테이션을 암시했다. ==== 아이리시 더비 ==== || [youtube(rG4VLkw8p80)] || 이후 이어진 아이리시 더비에서는 주로 후방 포지션을 선택하던 이전 경주와 달리 선행 포지션으로 힘을 비축하다 최종 직선에서 스퍼트를 넣는 방법으로 1착을 달성하였다. 이는 사상 19번째 영국/아일랜드 더비 동시 제패 기록이며, 로댕의 더비 우승으로 딥 임팩트는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807149&search_head=50&page=6|경마 역사상 5번째로 자마가 세계 4개국의 G1급 더비를 제패한 기록]][* 일본, 프랑스, 영국, 아일랜드]을 세우게 된 것은 덤. 더해서 [[https://m.dcinside.com/board/umamusme/1813068?page=1&s_pos=-1811555&s_type=subject_m&serval=%EB%A1%9C%EB%8C%95|아이리시 더비 사상 최속의 라스트 3펄롱 기록도 갱신했다.]] 그러나 경주 도중 같은 쿨모어 소속 마이클 테이버 마주의 말인 경주마 산 안토니오(San Antonio)[* [[두바위]] 산구, BMS [[갈릴레오(말)|갈릴레오]].]가 오른앞다리 개방 골절로 인해 안락사, 산 안토니오에 기승한 웨인 로던(Wayne Lordan) 기수 역시 낙마 후 다른 말들에게 차여 부상을 입으면서[* 이후 뇌진탕과 팔 부상으로 치료를 받은 후 휴양 중이라고 한다. 기수 생활을 끝낼만큼 치명적인 부상이 아닌점은 다행이지만 가을 복귀 가능성도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마냥 기뻐할 수는 없는 노릇이 되어버렸다. 기수인 무어도 경기 후 인터뷰에서 낙마의 영향으로 말이 정지와 발진을 반복해 이번 레이스에서는 오귀스트 로댕의 최고를 이끌어내지 못했다고 발언했다.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 ==== || [youtube(PaoCtS8f_p8)] || 차주는 7월 29일에 열리는 KGVI&QES로 정해졌다. 10두의 출주마 중 가장 바깥의 게이트를 받아 출주했다.[* 원래 11두였으나 3번 게이트를 배정받은 말이 경주 직전에 취소하여 10두 출주가 되었다.] 그러나 마지막 코너 직전에서 크게 실속하더니 포스트에선 거의 여유롭게 걸어오다시피 골인하며 1착마 Hukum과는 무려 '''127마신 차'''로 10착으로 들어왔다.[* 골인 직후 [[라이언 무어]] 기수가 하마하였다. 말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뜻.] 이후 수의사의 검사를 받았으나 놀랍게도 아무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고, 기수 라이언 무어와 조교사 에이든 오브라이언 모두 이유를 전혀 모르겠다며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일단 진영에선 수송이나 말의 의욕 문제로 추측 중이라고 한다. ====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 ==== || [youtube(F0sW0EI-NoQ)] || 9월 9일에 치러진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로 복귀. 킹조지의 참패로 평가가 다소 낮아졌으나 예상 배당은 2번 인기를 유지했고 경기 직전 [[킹 오브 스틸]]의 배당을 넘고 1번 인기로 출주하였다. 선두인 룩셈부르크의 바로 뒤를 밟으면서[* 정확히는 로댕이 먼저 선행 포지션을 잡고 있었지만 우측에서 달리던 [[룩셈부르크(말|룩셈부르크]]가 앞으로 치고나와 도주 포지션을 잡았다.] 쭉 내각을 탔고, 1펄롱당 랩타임이 11초대를 기록하는 하이페이스[* 실제로 마지막 1펄롱은 완전히 늘어지는 체력 싸움이 되어 12.84초를 기록했다.] 속에서 마지막 직선에서 열린 곳으로 튀어나와 버티는 룩셈부르크와 후방에서 치고 올라오는 내슈어[* 직전에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에서 2착, [[패딩턴(말)|패딩턴]]보다 선착하였다. 이번 경기에서는 3착.]를 반 마신 차이로 꺾고 우승했다. 경기 이후 오브라이언 조교사는 킹조지 이후 로댕의 컨디션이 좋았다고 회상하며 로댕이 할 수 있음을 믿었다고 말했다. 또 차주에 대해서는 마장 상태가 좋을 경우 [[개선문상]]에 도전할 것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브리더스컵]]에 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2023년 개선문상은 이례적으로 비교적 좋은 마장 상태를 맞이하였으나, 브리더스컵과의 스케줄이 애매하다고 판단했는지[* 상술한 킹조지 서렌(...)의 유력한 원인이 비행 스트레스로 지목된 만큼 다음 원정은 미리 원정지로 이동해 피로를 피로를 회복하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개선문상에 출주하고 휴식>미리 수송&검역>다시 휴식을 1달 이내에 소화하기엔 일정이 매우 빠듯하기 때문.]개선문상을 회피하고 브리더스컵으로 직행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한편 경기 이후 인터뷰에서 브리더스컵에 출전한다고만 언급했지 정확한 종목을 밝히지가 않아서 설마 브리더스컵 '''클래식'''에 나가려는 것이 아니냐는 걱정이 나오기도 했다. 이전 인터뷰에서도 클래식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고 오브라이언 조교사는 [[호크윙(말)|호크윙]] 등 유력마를 종종 클래식에 출전시켰던 전적이 존재하기 때문.[* 참고로 2착까지는 달성해 보았으나 1착은 달성하지 못하였다.] 이후 추가 인터뷰와 예비등록 현황 등으로 브리더스컵 터프가 확정되면서 아무래도 좋은 이야기가 되었다. ==== [[브리더스컵]] 터프 ==== || [youtube(YckeR2yi8ak)] || 개선문상을 건너뛴 채 브리더스컵 터프에 출전, 스타트에서 삐끗하거나 다른 말과 충돌하는 등 고초를 겪으며 후방으로 밀려나 마군에 둘러쌓이며 그대로 패하나 싶었지만 코너에서 인코스를 날카롭게 찌르며 순식간에 마군을 빠져나와 선두에 섰고, 매섭게 추격하는 업 투 더 마크와 [[샤흐리야르]]를 뿌리치며 1착을 달성하였다. 좋은 성적으로 3세 은퇴가 예상되었으나 11월 13일 현역 속행이 확실시되며 4세 시즌을 볼 수 있게 되었다. [[https://www.racingpost.com/news/ireland/its-hugely-exciting-derby-and-breeders-cup-hero-auguste-rodin-to-stay-in-training-next-year-says-aidan-obrien-aAD9Z1c2HJ8v/|#]] 한편 자국 포함 2개국 더비등 G1 4승의 업적이 고평가받아 패딩턴 등을 누르고 2023년 아일랜드 올해의 말로 선정되었다. == 기타 == *경주 성적이 1,2착 아니면 10위 밖이라는 극단적인 성적에 사람들은 이해하기가 힘들다는 반응이다.[* 2,000 기니에서는 일정 문제에 초반 충돌과 견제로 완전히 달릴 의지를 잃었고 킹조지에선 수송 스트레스로 의욕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는 진영의 설명을 고려하면 말 자신의 정신적 문제로 보인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22년 {{{-1 (2세)}}} || || 6.1 || 커라 ||<-2> 미승리 || 잔디 7f || 2/9 || 1 || 2착 || [[라이언 무어]] || Crypto Force || || 7.2 || 나스 ||<-2> 미승리 || 잔디 7f || 1/13 || 1 || '''{{{#red 1착}}}''' || 시미 헤퍼넌 || (Shadowed) || || 9.10 || 레퍼즈타운 || 챔피언스 주버나일 스테이크스 || G2 || 잔디 1m || 1/5 || 1 || '''{{{#red 1착}}}''' ||<|2> 라이언 무어 || (Caroline Street) || || 10.22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동커스터 || '''버텀 퓨처리티 트로피''' || '''G1''' || 잔디 1m || 1/8 || 1 || '''{{{#red 1착}}}''' || (Epictetus) || ||<-10> 2023년 {{{-1 (3세)}}} || || 5.6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뉴마켓 || 2,000 기니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 13/8 || 1 || 12착 ||<|6> 라이언 무어 || Chaldean || || 6.3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엡섬 다운즈 || '''[[더비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4f || 9/2 || 2 || '''{{{#red 1착}}}''' || ([[킹 오브 스틸|King Of Steel]]) || || 7.2 || 커라 || '''아이리시 더비''' || '''G1''' || 잔디 1m 4f || 4/11 || 1 || '''{{{#red 1착}}}''' || (Adelaide River) || || 7.29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애스컷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4f || 9/4 || 1 || 10착 || [[후쿰|Hukum]] || || 9.9 || 레퍼즈타운 ||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2f || 11/4 || 1 || '''{{{#red 1착}}}''' || ([[룩셈부르크(말)|Luxembourg]]) || || 11.4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산타 아니타 || '''[[브리더스컵]] 터프''' || '''GI''' || 잔디 1½m || 5/2 || 1 || '''{{{#red 1착}}}''' || (Up To The Mark) ||}}} [include(틀:더비 스테이크스,grade=G1)] [include(틀:아이리시 더비,grade=G1)] [include(틀: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grade=G1)] [include(틀:브리더스컵 터프,grade=GI)] [[분류:경주마/아일랜드 생산]][[분류:경주마/아일랜드 조교]][[분류:2020년 출생/경주마]][[분류:딥 임팩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