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오근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근재 디자이너.jpg|width=100%]]}}} || || '''본명''' ||오근재|| ||<|2> '''출생''' ||1941년 1월 30일 || ||전라남도 함평군 || || '''사망''' ||2022년 1월 23일 (향년 81세) || || '''직업''' ||그래픽 디자이너, 교수, 작가 || || '''학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부 (도안과)[br][[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광고디자인/석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교수, 작가. == 생애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학부 도안과와 산업미술대학원을 졸업한 오근재 교수는 [[홍익대학교]]의 조형대학 교수, 홍익대공업전문대학의 도안과 교수로 활동하며 디자인계의 후학 양성에 힘써왔으며, 철학과 인문학에 대한 폭넓은 이론과 해석을 바탕으로 사람과 공간, 예술이 지닌 가치에 평생을 헌신해 온 학자이자 교육자이다. 홍익대학교 조형대학장과 영상대학원 원장, 한국그래픽디자이너협회 회장, 한국디자인학회 회장, [[한국디자인진흥원]] 이사, 서울디자인센터 대표, 국가디자인위원회 자문위원, 서울디자인센터 대표이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이사, 국가디자인 자문위원 등 각종 디자인 단체에서 활동했다. 또한 2006년 대한민국 황조근정훈장, 2010년 한국디자인학회 최우수 논문상, 2015년 한국기초조형학회 대상 등을 수훈하는 등 다수의 업적을 세웠다. 그리고 철학과 인문학, 미술을 넘나드는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 디자인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크게 인정받아 2003년 한국디자인진흥원이 개최한 제5회 대한민국디자인 대상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 사망 == 2022년 1월 23일, 향년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장례는 1월 24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100 일산병원 장례식장 1호에서 치러졌으며 발인 날은 1월 26일 오전 7시 30분, 벽제승화원에서 진행됐다. == 저서 == * 분단의 아픔 (2020, 북랩) * 배다골 (2019, 서림재) * 퇴적 공간 (2014, 민음인) * 세모, 네모, 동그라미. 1 (2014, 한국기초조형학회) * 인문학으로 기독교 이미지 읽기 (2012, 홍성사) * 오근재 그래픽 디자인 특강 (2005, 미진사) * 입체 조형과 새로운 공간 (2004, 미진사) * 한국 문양의 전개 [능화편] (2001, 미진사) * 한국 문양의 전개 [와전편] (2001, 미진사) * 한국 문양의 전개 [도자편] (1999, 미진사) [[분류: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한국 남성 작가]][[분류:1941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홍익대학교 출신]][[분류:함평군 출신 인물]][[분류:동복 오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