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2136 0%, #263164 30%, #263164 70%, #1E2136)" {{{#ffffff '''오노 신지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e1075; font-size: 0.9em" [[아시아 축구 연맹 #s-9.5|{{{#ffffff '''1998 AFC 올해의 유스 선수'''}}}]]}}} ||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e1075; font-size: 0.9em" [[아시아 축구 연맹 #s-9.1|{{{#ffffff '''2002 AFC 올해의 선수'''}}}]]}}}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J1리그|[[파일:J1리그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9em" [[틀:1998 J1리그 베스트 XI|{{{#ffffff '''1998 J1리그 베스트 일레븐'''}}}]]}}}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2136 0%, #263164 30%, #263164 70%, #1E2136)" {{{#ffffff '''오노 신지의 기타 정보'''}}}}}} || || {{{#!folding ▼ [include(틀:J리그 30주년 베스트 XI)] }}} || ||<-2> [[파일:VeY4HdeBYtiz2Ro69NUHAaklhg2fZhP5fGy4M0pK.png|width=100%]] || ||<-2> '''{{{#fff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No. 44}}}''' || ||<-2> '''{{{#fff {{{+1 오노 신지}}} [br] 小野 伸二 | Shinji Ono}}}''' || || '''출생''' ||[[1979년]] [[9월 27일]] ([age(1979-09-27)]세) [br] [[시즈오카현]] [[누마즈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신체''' ||175cm, 76kg || || '''포지션''' ||[[미드필더]] || || '''프로 입단''' ||1998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소속 클럽'''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998~2001) [br]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01~2005)''' [br]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6~2007) [br] [[VfL 보훔]] (2007~2009) [br] [[시미즈 S펄스]] (2010~2012) [br]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 (2012~2014) [br]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2014~2019) [br] [[FC 류큐]] (2019~2020) [br]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2021~2023) || || '''국가대표'''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width=25]] 56경기 6골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1998~2008)^^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국적의 [[콘사도레 삿포로]]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미드필더. 한 때 일본 축구계를 이끌 것으로 기대된 선수로, 뛰어난 테크닉과 정확한 패스로 붙은 "천재"라는 별명이 이를 반영하고 있다. 한창 전성기 때에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나카타 히데토시]]가 부재할 때 대신 플레이메이커 역할을 맡기도 했다. 공격형 미드필더가 주 포지션이지만, 상황에 따라 수비형 미드필더나 측면 미드필더도 볼 수 있다. "일본축구의 미래" 라는 별칭이 붙었을 정도로 일본 축구계의 기대가 대단했던 선수였다. 그러나 잦은 부상으로 인해 전성기가 매우 짧아 아쉬웠던 선수로 기억되고 있다. 현재도 지속적으로 선수생활을 이어가며 [[1998 프랑스 월드컵]] 본선에 출전했던 선수 중 아직까지 현역으로 뛰고 있는 유이(唯二)한 선수이기도 하다.[* 다른 한 명은 [[이토 테루요시]]. [[이동국]]은 2020년에 은퇴, [[잔루이지 부폰]]은 2023년에 은퇴하였다.] 운동량이 많지 않고 탑에 위치한 스트라이커의 바로 아래가 아닌 약간 처진 곳에서 볼배급을 하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 선수 경력 == 중학교 시절부터 [[시즈오카현]]의 트레이닝 센터에 들어가 축구를 배웠으며, 1993년 일본 15세 이하 국가대표팀을 시작으로 16세와 17세 이하 국가대표팀에 포함되며 엘리트 코스를 거쳤다. 1998년 [[우라와 레즈]]에 입단해 프로 무대를 밟았으며, 입단 첫 해에 27경기에 출전해서 9골을 기록해 그 해 신인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1998년에 18세의 나이로 처음 성인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그 해 열린 [[한일전]]에도 출전했으며, 당시 일본 국가대표팀 선수들 중에서 가장 어린 나이로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월드컵]] 무대를 밟았다. 이후 1999년 [[나이지리아]]에서 열린 [[FIFA U-20 월드컵]]에서 주장을 맡아 팀을 준우승으로 이끌었고, [[FIFA]] 기술위원회가 선정한 '대회 베스트 11'에 자신의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1999년 [[올림픽]] 예선 경기 도중 무릎 부상을 입었으며, 핵심 선수를 잃은 우라와 레즈는 결국 시즌이 끝난 이후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설상가상으로 자신감을 잃고 슬럼프에 빠졌고, 결국 [[2000 시드니 올림픽]] 출전이 좌절되었다. 당시 여러 클럽에서 이적 제의가 있었지만, 소속팀과의 의리를 지키고자 잔류했다. 결국 성공적인 재활 훈련을 끝마치고 부활하는 데 성공했으며, 강등된지 1시즌 만에 다시 팀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다. 이후 2000년 [[AFC 아시안컵]]에 발탁되어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 자신의 [[A매치]] 첫 골을 터뜨렸으며,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해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캐나다]]와의 경기에서 [[프리킥]]으로 득점에 성공하는 등 주전으로 맹활약해 [[유럽]] 구단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데 성공했다. 대회가 끝난 이후 이적료 4억 5천만 엔에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의 [[페예노르트 로테르담]]과 계약해 유럽 무대에 진출했으며, 이적 첫 해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의 [[UEFA 컵]] 결승에서 [[욘 달 토마손]]의 골을 어시스트하는 등 팀의 UEFA 컵 우승에 공헌하며 일본 축구 선수 역사상 첫 유럽 컵대회 우승을 차지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후에도 좋은 활약을 보여 2003년 재계약에 성공했으며, 이러한 활약상에 힘입어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 [[와일드카드(스포츠)|와일드카드]]로 출전하였다. 하지만 2004년 말 왼쪽 발목에 부상을 입었으며, 이후 하향세를 타 팀에서 오노 신지를 타 팀으로 이적시키기로 결심했는데, 문제는 그때 언급된 팀들이 [[FC 바르셀로나]]와 [[아스날 FC]], [[에버튼 FC]] 등이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실제로는 [[볼턴 원더러스]]와 협상했으나, 결국 결렬되어 팀에 잔류하게 되었다. 이후 2006년 자신의 친정팀인 우라와 레즈로 복귀했으나, 잦은 부상으로 여기에서도 교체 횟수가 잦아지는 등 지속적인 하향세를 보였다. 그래도 [[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 FIFA 월드컵]]에는 출전했으나, 월드컵 이후에는 대표팀에 발탁되지 못했다. 그러다가 2008년 갑자기 [[VfL 보훔]]으로 이적한다는 [[뜬금포]]가 터졌고, 결국 이적이 확정되어 유럽 무대에 재진출했다. 입단 이후 [[베르더 브레멘]]과의 데뷔전에서 2어시스트를 기록해 팀의 2:1 승리를 견인했지만, 데뷔전 활약 이후 부상으로 잦은 부침에 시달렸다. 2010년 [[J리그]] 복귀를 선언했으며, 여러 클럽들이 관심을 보인 가운데 [[시미즈 S펄스]]를 선택했다. 비록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2010 FIFA 월드컵]]에는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지 못했지만, 일본이 [[네덜란드]]에 이길 수 있다는 격려를 하기도 했다.(...)[* 그때 네덜란드 국가대표팀 감독이 오노 신지가 페예노르트에 있었을 당시 감독이었던 [[베르트 판 마르베이크]]였다.] 페예노르트 시절 [[송종국]]과 한솥밥을 먹으며 [[한국]]과 인연을 맺기도 했으며, 2007년 [[이천수]]가 페예노르트로 이적했을 때 오노 신지와 비교되기도 했다. 2023년 9월 27일, 2023 시즌을 마지막으로 25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치고 은퇴를 한다고 발표했다.[[https://www.instagram.com/p/Cxrxi0bP4va/|#]] == 기록 == === 대회 기록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998~2001 / 2006~2007) * [[J1리그]]: 2006 * [[후지 제록스 슈퍼컵]]: 2006 * [[AFC 챔피언스 리그]]: 2006-07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2001~2005) * [[UEFA 유로파 리그|UEFA컵]]: 2001-02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 (2012~2014) *[[A리그]]: 2012-13 *[[AFC 챔피언스 리그]]: 2013-14 [[분류:1979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2023년 은퇴]][[분류:누마즈시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은퇴, 이적]][[분류: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은퇴, 이적]][[분류:VfL 보훔/은퇴, 이적]][[분류:시미즈 S펄스/은퇴, 이적]][[분류: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FC/은퇴, 이적]][[분류: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현역]][[분류:FC 류큐/은퇴, 이적]][[분류:일본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선수]][[분류:일본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참가 선수]][[분류:2001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일본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4 아테네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축구 와일드카드]][[분류:1999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나이지리아 참가 선수]][[분류:1995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에콰도르 참가 선수]][[분류:공격형 미드필더]][[분류:수비형 미드필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