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화 이글스/간략(투수))] ||
'''{{{#ffffff 오동욱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103번}}}''' || || 오흥진[br](2018) || {{{+1 →}}} || '''오동욱[br](2020~2020.8.17.)''' || {{{+1 →}}} || [[이도윤]][br](2020.9.16.~2020.10.8.)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31번}}}''' || ||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br](2011~2020.7.14.) || {{{+1 →}}} || '''오동욱[br](2020.8.18.~2020)''' || {{{+1 →}}} || [[신정락]][br](2021)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8번}}}''' || || [[신지후]][br](2020) || {{{+1 →}}} || '''오동욱[br](2021)''' || {{{+1 →}}} || [[황영국]][br](2022~2022.8.2.)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119번}}}''' || || 이주형[br](2017) || {{{+1 →}}} || '''오동욱[br](2023)''' || {{{+1 →}}} || 결번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69번}}}''' || || [[장지수(야구선수)|장지수]][br](2023) || {{{+1 →}}} || '''오동욱[br](2024~)'''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4 오동욱 프로필.png|width=100%]]}}} || ||<-2> '''한화 이글스 No.69''' || ||<-2> '''{{{+2 오동욱}}}[br]Oh Dong-Uk''' || ||<|2> '''출생''' ||[[2001년]] [[2월 4일]] ([age(2001-02-04)]세) || ||[[광주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광주서림초 - [[광주진흥중학교|진흥중]] -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진흥고]] || || '''신체''' ||185cm, 80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사이드암 스로|우사양타]] || || '''프로 입단''' ||[[2019 KBO 신인 드래프트#s-3.2|2019년 2차 6라운드]] (전체 53번, [[한화 이글스|한화]]) ||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19~) || || '''연봉''' ||3,600만원 (2024년)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br]{{{-2 (2021년 12월 13일~2023년 6월 12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화 이글스]] 소속 우완 사이드암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고교 3학년 성적이 매우 어마무시하다. '''42⅔이닝을 던지는 동안 평균자책점은 1.26'''을 기록했고, '''52탈삼진 9볼넷이라는 환상적인 볼삼비'''를 보여주었다. 이닝당 투구수도 14.9개로 고교 투수 중에서 최고 수준일 정도로 제구력과 경기 운영능력이 좋았다. 구속은 평균 130km/h 초중반대로 형성되지만 공끝이 좋고, 언더핸드에 가까운 폼이기 때문에 타자들에게 까다롭다. 또한, 프로필 상으로는 184cm, 실제로는 188~189cm 정도 되는 매우 큰 신장이라는 점에서 여러 구단들의 스카우트들이 대부분 선호하는 팔다리가 길고 마른 체격이라는 점에서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http://mlbpark.donga.com/mp/b.php?p=1&b=bullpen&id=201805060016950800&select=&query=&user=&site=&reply=&source=&sig=hgjTHl-Ag3aRKfX@hlj9Rg-ghhlq|투구움짤]] === [[한화 이글스]] === ==== 2019 시즌 ==== 부상으로 인해 재활하면서 경기에 많이 나오지 못했다. ==== 2020 시즌 ==== 전 시즌에 많은 경기를 뛰지 못해 긴 이닝 소화를 익히기 위해 2군에서 선발 로테이션을 돌고 있다. 8월 14일에는 춘천에서 열린 [[고양 히어로즈]]와의 퓨처스리그 경기에서 8⅔이닝까지 퍼펙트 게임을 기록하고 있었으나 아쉽게 9회에 연속 안타를 맞고 무산되었고, 결국 [[장민재]]와 교체되었다. 8월 18일 [[김종민(야구선수)|김종민]]이 웨이버 공시되면서 정식 선수로 전환되어 1군에 등록되었다. 정식 선수가 되면서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의 등번호 31번을 받았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8월 19일 SK전에서 2⅔이닝 4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6대 26 대패에 일조하고 말았다. 2군에서 퍼펙트 게임 직전까지 갔다 한들 2군은 2군이고 1군은 1군이었음을 보여준 아쉬운 데뷔전이었다. 중계진이 말했듯이 공의 무브먼트나 구위는 괜찮은 편이었으나, 수비에서 실책성 플레이들이 나오자 볼넷을 남발하는 등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9월 26일 NC전에서 8회말 1대 6으로 지고 있는 가운데 등판해 1이닝 3실점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10월 3일 롯데전에서 0대 8로 뒤진 6회말 등판해 볼넷 이후 땅볼과 병살타로 불을 껐으나 7회말 [[이대호]]에게 홈런을 허용하는 등 2이닝 2자책을 기록했다. 10월 29일 kt와의 경기에서 데뷔 후 처음으로 1군에서 선발로 등판할 예정이다. [[최원호]] 감독대행에 의하면 젊은 선수에게 기회다운 기회를 주고 싶었다고 한다. 그런데 전날 팀이 선발 투수 포함 10명의 투수를 쏟아부은 지라 어려운 경기가 예상된다. 10월 29일 kt와의 경기에서 선발등판하였다. 1회에는 빗맞은 안타를 많이 맞으며 난타를 당하면서 3실점, 2회에는 [[심우준]]에게 안타를 맞은 이후 [[황재균]]에게 홈런으로 2실점, 5회에는 [[유한준]]에게 적시타를 허용하고 1실점하며 총 6실점 이후 마운드를 내려왔다. 비록 6실점하긴 했지만, 좋은 제구력과 시속 100km/h 초반대 커브가 돋보였다. 이대로라면 2021 시즌에 선발 후보로도 고려될 수 있을 듯. 시즌 종료 후 등번호가 103번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58번으로 교체했다.[* 한화가 [[정수빈]] 영입을 확신하고 비워놨다는 카더라가 있었지만, 31번의 새 주인은 [[신정락]]으로 결정되었다.] ==== 2021 시즌 ==== 4월 20일 [[배동현]]과 함께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4월 22일 키움전에서 [[장시환]], [[배동현]], [[주현상]]의 뒤를 이어 4번째 투수로 등판했다. 선두 타자 [[김혜성]]과 [[이정후]]는 2루 땅볼 아웃으로 처리했으나, [[서건창]]에게는 내야 안타를 내주었지만, [[김웅빈]] 역시 2루 땅볼로 처리하며 무실점을 기록했다. 다음날인 4월 23일 LG전에서 3번째 투수로 등판했다. [[윤대경]]이 2사 만루 위기를 만든 상태에서 등판했지만, [[유강남]]에게 내야 땅볼을 유도하며 실점 위기에서 벗어났다. 4월 28일 KIA전에서 0-4로 뒤진 8회 2사에서 1타자만 상대하고 내려갔다. 4월 29일 KIA전에서 [[윤대경]]이 만든 1사 만루위기에서 [[박찬호(1995)|박찬호]]에게 5구 볼넷을 내주며 11회말 끝내기 밀어내기 볼넷을 허용했다. 다만 이건 포수 [[이해창(1987)|이해창]]의 잘못도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5월 23일 kt전에 1-8로 지고 있던 9회초 1사 1루 상황에 등판해 2루수 직선타와 삼진으로 이닝을 끝냈다. 평균자책점은 11.57. 5월 28일 SSG전에 [[이승관]]의 뒤를 이어 등판했다. [[김강민]]에게 삼진을 잡아냈고 [[박성한]]에게 2루타, [[오태곤]]과 [[김성현(1987)|김성현]]에게 볼넷을 내줬음에도 평균자책점이 11.42가 되었다. 결국 다음날인 5월 29일에 [[이승관]]과 함께 사이좋게 1군에서 말소되었다. 이후 6월 19일에 다시 1군에 복귀했지만, 경기가 없던 7월 8일 [[라이언 카펜터|카펜터]]가 1군에 등록되면서 다시 1군에서 말소되었다. 9월 1일 확대 엔트리 5인에 포함되어 1군으로 콜업되었고 당일 kt전 3:8로 지고 있던 8회초 등판해 상대의 도루 실패 등 행운이 따르며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평균 자책점은 8.10까지 내려갔다. 10월 21일 광주 KIA전에서 [[김민우(1995)|김민우]]에 이어 등판했고, ⅔이닝 동안 1사구 무실점을 기록하고 [[정우람]]과 교체되었다. 10월 25일 키움전에서 5회 2사에 등판해 1구만에 1아웃을 잡았으나 6회 1사 2루에서 3루수 [[정민규]]의 실책으로 역전을 허용했고, 후속 투수들이 추가 실점하며 ⅔이닝 2실점(1자책)을 기록, 그대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시즌 종료 후 상무에 지원, 최종 합격했다. 전역일은 2023년 6월 12일이다.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입대 첫 시즌인 2022 시즌 성적은 15경기 13.2이닝 3홀드 ERA 1.32를 기록했다. 다만 7월부터 등판이 없었다. 2023 시즌에는 5경기 4⅓이닝 ERA 8.31로 영 힘을 못 쓰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2023 시즌 ==== 전역 다음 날인 6월 13일 육성선수로 전환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사이드암 투수로 빠른 구속보다는 지저분한 볼끝으로 승부하는 스타일이다. == 연도별 성적 == ||<-17>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00]]]] {{{#FFFFFF '''오동욱의 역대 KBO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 2019 ||<|5> [[한화 이글스|한화]] ||<-15> 1군 기록 없음 || || 2020 || 4 || 0 || 1 || 0 || 0 || 10 || 13.50 || 22 || 3 || 7 || 2 || 5 || 2.90 || 35.0 || -0.52 || || 2021 || 34 || 0 || 1 || 0 || 2 || 25 || 5.40 || 21 || 3 || 16 || 5 || 13 || 1.48 || 81.1 || 0.00 || || 2022 ||<-15>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23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3시즌) || 38 || 0 || 2 || 0 || 2 || 35 || 7.71 || 43 || 6 || 23 || 7 || 18 || 1.89 || 59.0 || -0.53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1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광주진흥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양타]][[분류:사이드암 투수]][[분류:한화 이글스/현역]][[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