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오르페골, top2=트로이메어)]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オルフェゴール・トロイメ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오르페골 트로이메어, 일어판명칭=オルフェゴール・トロイメア, 영어판명칭=Orcust Knightmare,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레벨=7, 공격력=1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링크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오르페골 트로이메어" 이외의 기계족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묘지로 보낸 몬스터의 레벨 × 100 올린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어둠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3)] [[오르페골]] 테마의 유일한 최상급 몬스터. [[트로이메어]] 테마에도 속해 있다. 효과는 기계족 / 어둠 속성 한정 [[어리석은 매장]]. 공격력 증가 효과는 덤이고 사실상 덤핑 효과가 메인이다. 특히 오르페골과 시너지가 좋은 [[성유물(유희왕)#성유물-『성장』|성유물-『성장』]]을 쉽게 덤핑할 수 있다. [[트로이메어]] 서포트도 받을 수 있어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을 쉽게 뽑을 수 있는 점도 하나의 장점. 특히 [[기계 복제술]]과 연동되기에 기계 복제술과 함께라면 랭크 7 엑시즈나 [[성신기 데미우르기어]]도 노려볼 수 있다. 데미우르기어의 경우 전체 파괴 효과는 물 건너가지만, 효과를 안 받는 공격력 3500의 몬스터를 돌파할 수 있는 몬스터는 흔치 않다. 특수 소환 자체는 메인 덱 오르페골 몬스터 중에서 가장 쉽다. [[트로이메어]] 몬스터라 트로이메어 인어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고, 인어의 소재가 되는 다른 트로이메어 링크 몬스터는 소재 제한이 느슨한 범용 카드다. 때문에 [[종말의 기사]]처럼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을 쉽게 꺼낼 수 있는 카드나 트로이메어 링크 몬스터의 이름을 베낄 수 있는 [[포맷 스킵퍼]],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와 코스트용 패 1장만 있으면 냅다 덱에서 꺼낼 수 있다. 이렇게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인어와 합쳐 초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갈라테아를 링크 소환할 수 있고, 묘지로 간 후에도 덱 특소 효과를 가진 디베르를 덤핑해 추가적인 전개를 이어나갈 수 있다. 쓸데없이 높아보이는 레벨과 달리 범용 카드만으로도 초동을 이끌어낼 수 있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뭐든 닥치는 대로 끌어 쓸 수 있을 정도로 압도적으로 초동 난이도가 낮아진 탓에, 2019년 7월 트로이메어 인어가 금지되는 간접 하향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사기적인 두 테마명을 그대로 카드명으로 이어붙인, 강력한 효과를 지닌 몬스터라는 점은 11기에 등장한 [[티아라멘츠 크샤트리라]]와 일치하며, 이 때문에 '''원조 비추비추'''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공교롭게도 티크샤와 이 카드의 레벨은 같은 7이다. 2023년 5월 [[유희왕 듀얼링크스]] 상륙 이후 이 악명은 그대로 듀얼링크스에도 전달되었고, 결국 23년 8월 금제로 제한 2로 지정되었다. 동년 11월 금제에서는 제한 3으로 재조정되었는데, 이는 리스트 전체에서 따지는 듀얼링크스 특유의 금제 방식상 이미 3제한으로 지정된 디베르 및 범용 마함과의 매수가 줄게 되어 금제 강화에 해당한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새비지 스트라이크|SAVAGE STRIKE]] || SAST-JP021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새비지 스트라이크|Savage Strike]] || SAST-EN02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11 || OP11-EN008 || [[슈퍼 레어]] || 미국 || 절판 || || [[새비지 스트라이크]] || SAST-KR021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토리 == 닝기르수가 끝내 수호룡의 힘으로 이브를 살리는 데 성공하나 싶더니... 갈라테아가 이 모습으로 변모하고 만다. 일러스트는 갈라테아의 얼굴 겉껍데기 [[건담 헤비암즈 개(EW)|절반]]이 날아가 맨얼굴이 드러나 있으며 등 뒤에 6개의 장치가 달려있는 등, 가히 '''오르페골 버전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라 할 수 있는 비쥬얼이다. 게다가 이름에 대놓고 [[트로이메어]]가 들어간 데다 공격력 / 수비력이 [[성잔의 요정 리스]]와 같다. 즉 [[성잔을 받드는 무녀|그렇게나 좋아했던 여동생]]이 부활한게 아니라 '''[[성잔의 요정 리스]]'''가 부활하고 만 것이다. 설정상 이브의 영혼과 동화되어 있던 리스가 갈라테아의 육신을 차지한 모습이며, 일단 이브의 영혼을 소멸시킨다. 그 후 안드레이크와 유스티아를 제외한 모든 수호룡들과 이브의 시체를 흡수해 [[아스트로이메어 이드리스]]가 된다. 팔다리의 합계가 7개(왼팔 4개+오른팔 1개+다리 2개)인데,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부터 새비지 스트라이크까지 나온 성유물의 숫자와 같다. 리스가 성잔 시절부터 성유물을 찾아달라고 부탁했던 걸 생각해보면 성유물 7개를 손에 넣는 게 목적임을 나타낸 걸지도. 레벨도 성유물의 갯수와 같은 7이다. 카드 이름은 단순히 트로이메어를 붙였을 뿐인 걸로 보이나, [[트로이메라이]]란 클래식 곡이 트로이메어의 어원 중 하나이므로 이름의 법칙은 어느 정도 유지된다. == 관련 카드 == [include(틀:성잔의 요정 리스)] === [[성잔의 요정 리스]] === ===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 === === [[오르페골#오르페골 갈라테아|오르페골 갈라테아]] === === [[아스트로이메어 이드리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오르페골, version=214)] [[분류:유희왕/OCG/기계족]]